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한국문학전집 30

추월색: 안국선·이해조·최찬식 소설선

개인저자
안국선, 이해조, 최찬식 [지음]; 권영민 책임 편집
발행사항
서울: 문학과지성사, 2007
형태사항
341 p.; 21 cm
총서사항
한국문학전집
ISBN
9788932017761 9788932015521(세트)
청구기호
813.6 문30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38-339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250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250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개화.계몽 시대와 일제 식민지하에서 활동한 신소설의 중요 작가인 이해조, 최찬식, 안국선의 대표작을 한자리에 모은 선집이다. 이들 신소설은, 고전소설에서 빈번하게 등장했던 신화적 상상력과 그 서사의 설화성이 서서히 물러나고 새로운 제도, 새로운 이념, 새로운 사물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해조는 여성과 신교육으로 집약되는 토론의 모습을 서사 담론의 기술 방식으로 그대로 활용한 '자유종'과, 구시대적 인습에 대한 신랄한 비판이 담긴 '구마검' 등으로 신소설의 대중적 기반을 확대한 대표적 인물이다. 그의 작품들은 정치의식과는 다소 거리를 두지만, 사회적 풍속과 세태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신소설 가운데 가장 널리 읽히는 작품 중 하나인 '추월색'의 작가 최찬식은 일제 식민지 시대에 접어든 1910년대에 들어서서 활발하게 작품활동을 한 인물이다. 안국선의 '금수회의록'은 '꿈'이라는 장치를 활용하여 우화적인 공간을 설정하고, 동물들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현실을 비판하는 풍자적 색채가 짙은 작품이다.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전집의 서른 번째 책으로 출간되었다. 한국문학전집은 작가의 대표작을 중심으로 구성하되 대표작으로 인정되는 작품들과 숨겨진 수작들도 다양하게 실었다. 또한 작품의 원본을 토대로 연재본과 다른 판본과의 대조로 오류를 수정했다.

각 작가의 전공자들인 책임 편집자들이 충실한 낱말 풀이와 해설, 주석을 통해 작품에 대한 길잡이를 제공한다.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변환 작업에는 가급적 현대어 표기를 적용시켰고, 저작권 관련 사항도 정식 계약을 체결하여 진행했다.
목차
일러두기 금수회의록 禽獸會議錄 자유종 自由鐘 구마검 驅魔劍 추월색 秋月色 주 작품 해설 개화*계몽 시대 신소설의 서사적 성격/ 권영민 작가 연보 참고 문헌 기획의 말
저자 소개
저자 안국선
경기도 안성 출생. 호는 천강(天江). 개화기 시대 신소설 작가. 구한말 개화를 부르짓은 대표적 정치가 안형수의 양자로, 1895년경 일본에 건너가 제1회 관비 유학생으로 도쿄전문학교에서 정치학을 공부함. 독립협회 활동으로 투옥되어 참형을 선고받았다가 진도에 유배되었다. 1908년 탁지부 서기관에 임명되었고 1911년 청도군수를 지내기도 함. 저서로는 최초의 근대적 단편소설집 《공진회》와 우화소설 〈금수회의록〉 등이 있음.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이해조
친일 개화 노선을 지향한 이인직(李人稙, 1862∼1916)과 달리 애국 계몽 노선을 표방했다. 경기도 포천에서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麟坪大君)의 10대 손으로, 이철용(李哲鎔)의 3남 1녀 중 맏아들로 태어났다. 호는 열재(悅齋), 이열재(怡悅齋), 동농(東濃)이며, 필명은 선음자(善飮子), 하관생(遐觀生), 석춘자(惜春子), 신안생(神眼生), 해관자(解觀子), 우산거사(牛山居士) 등을 사용했다.
1906년 11월부터 잡지 《소년한반도(少年韓半島)》에 소설 《잠상태(岑上苔)》를 연재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주목...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최찬식
소설가. 호는 해동초인(海東樵人), 동초(東樵). 1881년 음력 8월 16일 경기도 광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언론인인 영년(永年)이며, 어머니는 청송 심씨이다. 어릴 때 한학을 공부하여 사서삼경을 배우고, 1897년 아버지가 광주에 설립한 시흥학교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공부한 뒤 서울로 올라와 관립한성중학교에서 수학하였다.

1907년에 중국 상해에서 발행한 소설전집 《설부총서》를 번역한 뒤 현대소설의 토대가 된 신소설 창작에 몰두하여 〈자선부인회잡지〉 편집인과 〈신문계〉 〈반도시론〉 등의 기자를 역임하고, 《추월색》 《안의 ...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