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기증도서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 13

탈북인의 공·사적 관계와 의사소통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형태사항
xiv, 185 p. :. 도표 ;. 24 cm
총서사항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
ISBN
9788952111753
청구기호
322.95 이57ㅌ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지금 이용 불가 (1)
1자료실G0013488대출중2025.07.28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G001348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25.07.28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 이질화된 남북한의 상호이해와 심리적 통합에 기여
이 책은 북한주민들의 공·사적 관계망의 크기와 범위, 공·사적 관계에서의 의사소통과 감정표현, 공적 맥락에서의 의사소통 방식 등을 탐색함으로써 북한주민들의 표면적으로는 이중적으로 보일 수 있는 행위 뒤에 면면히 흐르는 사고와 행위의 일관성과 의미를 발견하고자 했다. 북한주민들이 보이는 공·사적 관계의 특성과 그 관계에서의 행위코드를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남한사람들을 보는 북한주민들의 시각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북한주민들의 시각을 통해 우리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공·사적 관계의 특성과 그 속에서 채택하는 행위코드에 대해서도 객관적 시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남한 내에서 남한사람과 탈북인들 간의 사회통합, 장기적으로는 통일 후 북한주민과 남한주민들 간에 이해를 촉진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어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책이다.

● 탈북인들의 사회적응과 심리적 통합 문제에 대해 지속적 연구의 결과물
저자들은 지난 수년 동안 지속적으로 탈북인들의 사회적응과 심리적 통합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했으며, 그때마다 크고 작은 결과물을 산출해왔다.『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에서는 북한주민이 북한을 떠나 제3국을 거쳐 남한사회에 진입하면서 그들의 심리·사회적 통합을 저해하는 조건이 무엇이며, 그러한 조건 속에서도 자신들의 심리적 통합과 제3국 및 남한에서 사회적 통합을 이루어내는 데 도움이 되는 조건과 과정을 탐구했다.『탈북민의 가족 해체와 재구성』에서는 탈북인의 심리·사회적 통합과정에서 가족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이 탈북과정에서 어쩔 수 없이 가족과 해체되는 경험을 하지만 결국 가족관계로 회귀되어 가는 과정을 다루었다. 그 과정 중에 탈북인의 삶 속에서 가족이 가진 의미를 조명하고 그것을 통해 인간생활에서 가족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고자 했다.『탈북민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에서는 탈북인들이 북한, 제3국 및 남한에서 자신들의 심리·사회적 통합을 성취하기 위해 동원하고 활용하는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의 유형과 중요성을 다루었다.
이 책은『탈북인의 공·사적 관계와 의사소통』은 저자들이 탐구해 왔던 탈북인의 심리·사회적 통합이라는 주제의 맥을 잇는 또 하나의 결과물이다.
목차
머리말ㆍv 제1장 서론 1. 문제제기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3. 연구 절차 4. 연구 대상 제2장 공 ㆍ 사적 관계와 관계망 크기 1. 사적 영역 침범을 허용하는 관계 2. 사적 영역 침범을 허용하는 관계망의 크기 제3장 공 ㆍ 사적 관계와 의사소통 및 감정 표현 1. 관계에서의 직면적 의사소통 2. 관계에서의 감정 표현 제4장 심리사회적 특성과 공ㆍ 사적 관계 1. 가치 정향과 공ㆍ 사적 관계 2. 사회적 박탈감과 공ㆍ 사적 관계 3. 타인의 기대에 대한 부담감과 공ㆍ 사적 관계 4. 타인의 불신에 대한 지각과 공ㆍ 사적 관계 제5장 공적 맥락에서의 의사소통 1. 학교에서의 의사소통 2. 직장 내 의사소통 제6장 탈북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공ㆍ 사적 관계 1. 탈북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 2. 탈북청소년의 자기개념과 대인관계 3. 탈북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탈북 경험 및 사회적 관계 제7장 요약 및 결론 제8장 제언 및 연구의 한계점 참고문헌 찾아보기 Abstract 부록 부록 1 탈북성인 대상 설문지 부록 2 남한성인 대상 설문지 부록 3 탈북청소년 대상 설문지
저자 소개
저자 김창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미국 컬럼비아대학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심리학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한국 청소년상담원과 계명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1999년 이후에는 서울대학교 교육학과에서 상담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초기 연구는 대인관계 및 성격문제, 집단상담과 관련된 주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최근에는 애착 및 대인관계에서 내에서 겪는 거절경험의 심리사회적 영향력과 그 결과로 파생되는 정서적 문제의 조절과정 및 정서조절과정의 신경생물학적 기제에 대한 연구로 관심영역을 확장시키고 있다. ...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진미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에서 가족학과 인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교수이며,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 자격인증교육연구부장을 맡고 있다. 대한가정학회 총무이사와 한국가족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하였고, 보건복지부 저출산·고령사회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가족정책, 가족인구학,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9권의 역 공저서와 약 35편의 연구논문을 발표하였다. 통일학연구총서와 신서로 『탈북인의 공 사적...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석사, 박사(아동학)
한국아동학회,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주요 저서: <탈북가족의 적응과 심리적 통합>(2007, 공저), <탈북민의 가족해체와 재구성>(2009, 공저), <탈북인의 사회관계망과 사회적 자본>(2009, 공저), <한국아동의 일상생활문화>(2009), <한국인의 자아정체 형성과 변화>(2010), <탈북인의 공.사적 관계와 의사소통>(2011, 공저), <북한이탈청소년과 남한...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