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학연구 9

노스 코리안 디아스포라: 북한주민의 해외탈북이주와 정착실태

North Korean diaspora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11
형태사항
191 p. ; 23 cm
ISBN
9788995965689
청구기호
331.37 박34ㄴ
서지주기
참고문헌: p. 181-191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374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374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연구는 현재의 탈북현상이 보여주는 새로운 역사적 성격을 확인하기 위해 남한으로 이주하지 않고 세계 다른 지역에 정착하기를 희망하거나 정착해온 탈북자들의 이주행태를 검토한다. 세가지 문제의식에 기반해 있는데, 첫째 탈북현상은 단지 북한체제의 문제로 설명될 수 있기보다는 탈냉전 이후의 세계사적 변화와 연동하여 설명되어야 한다. 둘째, 북한주민은 탈북과 더불어 자신의 새로운 삶을 추구하기 위해 최종정착지로 반드시 남한만을 염두에 두지 않는다. 셋째, 탈북현상을 그들이 정착하는 거주국과의 관계 속에서 해명하고 이해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탈북이주 역사와 분석모형 구성, 탈북이주민의 국제이주 구조와 경로, 탈북이주민의 국제적 분포 및 정착실태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목차
제1장 탈북자들의 전지구적 확산: 또 하나의 코리안 디아스포라 1.1. 문제인식 1.2 탈북현상과 디아스포라론 1.3 탈북현상의 다차원적 성격 제2장 탈북이주 역사와 분석모형 2.1 북한주민의 해외이주 역사 2.2 사회주의권 붕괴와 탈북이주의 변화 2.3 탈북이주의 분석모형 2.4 배출-흡인 모델의 작동과 탈북이주 전망 제3장 탈북이주민의 국제이주 구조와 경로 3.1 주요 관련국가 3.2 국제기구와 NGO 3.3 이주브로커와 휴먼네트워크 제4장 탈북이주민의 국제적 분포 및 정착실태 비교 4.1 탈북이주민의 국제적 분포 현황 4.2. 탈북이주민의 해외 이주 및 정착 실태: 중국과 동아시아 4.3 탈북이주민의 해외 이주 및 정착 실태: 미주와 유렵 제5장 생존과 갱생을 향한 발걸음 5.1. 요약 5.2. 노스코리안 디아스포라를 위한 정책 제안 5.3 맺음말
저자 소개
저자 김병로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사회학 석사학위를, 럿거스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및 북한연구실장을 거쳐, 아신대학교 교수 및 북한연구소 소장, 제22대 북한연구학회 회장, 통일부·국방부·국가정보원·KBS 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 상임위원,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정책위원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한반도발 평화학』, 『북한, 조선으로 다시 읽다』, Two Koreas in Development, 『다시 통일을 꿈꾸다』 등이 있고, 공저서로는 『김정은 집권 10년 북...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박명규
서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명예교수이자 광주과학기술원(GIST) 초빙석학교수이다. 한국 사회사를 전공, 근현대 사회변동을 연구했고 테크놀로지의 문명사적 영향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쏟고 있다. 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장, 통일평화연구원장을 역임했고 하버드대, 버클리대, 베를린대에서 방문학자로 지냈다. 저서로 《국민, 인민, 시민》(2009), 《남북경계선의 사회학》(2012), 《커넥트 파워》(2019, 공저), 《사회적 가치와 사회혁신》(2020, 공저) 등이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