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국제관계이론과 동아시아안보

발행사항
서울:,북코리아,,2014
형태사항
570 p.; 26 cm
ISBN
9788963243696
청구기호
349.1 주843ㄱ
일반주기
원저자명: 朱鋒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524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524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단순히 권력과 정치의 각도에서 출발한 동아시아 안보연구는 이미 힘을 잃었다. 이미 강대한 ‘안보공동체(Security Community)’와 지역적 제도 구조를 건설한 유럽과 달리 세계경제의 3대 대륙이면서도 동아시아의 안보에는 자유제도주의의 지탱뿐만 아니라, 정신과 가치상의 통일된 자유민주제도의 보우 또한 없다. 미래의 동아시아는 도대체 어떠한 협력구조를 형성할 것이며, 어떠한 안보체제를 만들어낼 것인가. 역사적 전환의 시대, 저명한 국제관계이론 학자인 북경대 주펑 교수의 15년간의 연구를 엮은 이 책을 통해 지역안보 협력체제를 모색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 1
서문 . 9

제1장 변혁 중의 동아시아안보: 이론적 시야의 확장

제1절 국제안보: 포스트냉전시대의 논쟁과 변혁 . 3
1) 안보개념의 정의 -월퍼스에서 코펜하겐학파까지 . 3
2) 안보에 대한 정의 -위협의 성질과 종류 . 6
3) 3개의 세계, 5가지 안보 . 4
4) 안보의 개념과 정의 -논쟁성의 이론 패러다임 . 5
5) 결론 . 10

제2절 동아시아안보: 문제변화, 패러다임의 다양화와 이론 창조 . 113
1) 문제변화 과정에서의 동아시아안보 . 114
2) 동아시아안보 -문제변화 과정에서의 중국요소 . 123
3) 동아시아안보 -문제변화 과정에서의 미국요소 . 132
4) 동아시아안보 -문제변화 과정에서의 일본요소 . 144
5) 동아시아안보 -문제변화 과정에서의 북핵요소 . 154
6) 문제변화와 지역전환 -안보 거버넌스는 동아시아의 미래인가 . 160
7) 포스트냉전시대의 동아시아안보 연구 -낙관주의와 비관주의 . 167
8) 동아시아안보 연구 -자유제도주의와 구성주의 . 175
9) 동아시아 지역안보 -문제와 패러다임 그리고 이론 . 183
10) 패러다임의 절충주의와 미래 동아시아안보 연구 . 189
11) 지역안보 거버넌스 -이론적 가능성과 현실성 . 193

제2장 동아시아안보와 북핵문제

제1절 6자회담: 북핵문제인가 아니면 북한문제인가 . 233
1) 무엇이 북핵문제 배후의 북한문제인가 . 233
2) 부시정부의 정책 -눈으로는 북핵문제를 주시, 마음으로는 북한문제를 생각 . 237
3) 북핵문제와 북한문제 -어떤 것을 더 쉽게 해결할 수 있나 . 240
4) 결론 . 244

제2절 제1차 6자회담 이후의 북핵위기: 문제와 전망 . 246
1) 6자회담의 역할과 의미 . 246
2) 6자회담과 미국의 전략 선택2 . 50
3) 6자회담체제의 문제와 전망 . 56

제3절 북핵문제 제2차 회담 이후의 전망분석 . 262
1) 부시정부 2기 임기의 북핵정책 . 262
2) 6자회담 재개의 장애물 . 266
3) 6자회담의 전망 . 271
4) 결론 . 276

제4절 제3차 북핵 6자회담: 미국의 전략은 전환하기 시작하였는가 . 278
1) 제3차 6자회담 성과에 대한 평가 . 278
2) 제3차 6자회담에서 나타난 이견과 논쟁 . 282
3) 미국이 제시한 새로운 방안의 원인 분석 . 285
4) 미국의 양보는 전략적인 것인가, 비전략적인 것인가 . 290

제5절 제4차 6자회담 이후의 북핵문제: 새로운 전망과 오래된 문제 . 294
1) 「공동성명」은 6자회담 실질적 진전의 상징 . 294
2) 제4차 6자회담이 이룬 돌파의 원인 분석 . 298
3) 경수로, 6자회담을 막는 다음의 장애물인가 . 203
4) 6자회담 미래의 작업 -로드맵을 위한 간격 좁히기 . 207

제6절 북핵문제 6자회담과 중재외교: 북핵문제의 외교적 해결은 왜 어려운가 . 314
1) 중재외교이론과 6자회담에서의 중재외교 . 314
2) 6자회담체제 형성 . {발전 과정에서 중재외교의 역사적인 효과 . 318
3) 6자회담체제에서 중재외교의 어려움 . 322
4) 결론 . 326

제7절 미사일 실험발사, 6자회담과 다자협상 중의 안보딜레마 . 328
1) 북한은 왜 미사일 실험발사를 하려 하는가
-습관적 행위 배후의 아이덴티티 경화 . 329
2) 북한 미사일 실험발사 -아이덴티티 대립 아래 악화된 안보딜레마 . 334
3) 6자회담 중의 안보딜레마 낮추기 -문제와 도전 . 339

제8절 북한 핵실험이 가져온 위협과 동아시아 지역안보의 전망 . 344
1) 북한 핵실험의 동기 분석 . 345
2) 북한 핵실험이 가져온 손해 . 348

제9절 북핵 6자회담과 동아시아 대국관계: 북한 핵포기과정이
동아시아 대국협조 형성을 추진할 수 있는가 . 359
1) 북한 핵실험과 대국관계의 복잡성 . 360
2) 대국협력, 위기관리와 핵실험 후 시대의 한반도 정세 . 370
3) 북핵문제의 장기화와 대국협조 . 79

제10절 6자회담의 제도건설과 동북아 다자안보체제 . 386
1) 6자회담과 동북아 다자안보 . 387
2) 북핵문제의 긴박성과 관련성 . 391
3) 6자회담의 제도화건설과 북핵문제 해결 . 397
4) 결론 . 402

제11절 6자회담과 북한 핵포기: 다자주의는 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가 . 403
1) 다자주의와 문제해결 능력 -이론과 분석 . 045
2) 미국의 정책조정과 6자회담의 진전 . 409
3) 남북정상회담과 6자회담 중 하위국가의 역할 . 414
4) 북한의 살라미전술과 미래의 동북아 안보체제 . 418

제12절 2차 핵실험 후 북핵위기: 6자회담과 강압외교 . 425
1) 북한의 행동, 그 진실된 의도 . 425
2) 북핵문제 해결에 필요한 새로운 사고 . 429
3) 1874호 결의안 후의 북핵정세 -미래 발전적 가능성 분석 . 435
4) 결론 . 438

제13절 포스트 천안함 시대 한반도 비핵화 과정에 대한 평가와 분석 . 440
1) 한반도 정세의 변화와 불변 . 440
2) 한-미-일동맹의 협조체제 및 대북정책 . 445
3) 6자회담 VS 한-미-일동맹 협조체제 . 449
4) 한반도 비핵화 과정의 출로는 어디에 있나 . 453

제14절 한반도 비핵화, 여전히 실현 가능한가
: 3차 핵실험 후의 정세에 대한 평가와 분석 . 457
1) 북한은 왜 한반도 위기를 악화시켰는가 . 458
2) 북한의 충돌형세 악화의 부정적 영향 . 462
3) 중국은 더 나은 정책을 선택할 수 있나 . 466
4) 결론 . 471

제3장 동아시아의 대국관계

제1절 권력변동과 아이덴티티 대립 그리고 전략선택: 중일관계 전략의 미래 . 513
1) 중일관계 -가장 복잡한 대국관계인가 . 515
2) 동아시아의 권력변동과 일본의 전략선택 . 520
3) 국내정치, 정책결정 과정과 중일관계모델 . 526
4) 결론 . 532

제2절 중미관계와 동아시아안보 질서: 조정과 변혁 . 534
1) 동아시아안보 질서가 직면한 5대 신도전(新挑戰) . 534
2) 중미관계의 안정만이 동아시아안보를 안정시킬 수 있다 . 539

제3절 오바마정부의 아시아 회귀전략과 중미관계 . 542
1) 아시아 회귀전략의 기본 내용 . 543
2) 아시아 회귀전략의 기본 특징 . 547
3) 아시아 회귀전략의 형성 원인과 목표 및 영향 . 552
4) 결론 . 57

역자후기 .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