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인문언어학총서 2

내러티브 연구의 현황과 전망

발행사항
서울 : 박이정, 2014
형태사항
322 p. ; 23 cm
ISBN
9788962926552
청구기호
802 연53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577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577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내러티브 연구의 현황과 전망>은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인문한국(HK)사업단이 ‘인간의 삶과 사회’를 조망한 내러티브 연구 성과를 엮은 책이다. 이 책에서는 국내외 내러티브 연구의 동향, 언어학에서의 내러티브 연구를 전반적으로 다루고 있다.

흔히 ‘이야기’, ‘서사’ 등으로 번역되는 내러티브는 인간이 자신의 행동, 사고, 기억, 욕구, 심성 등을 언어로 구조화하고 표상하여 지식과 가치, 사회와 문화를 구성하는 원리다. 롤랑 바르트의 말처럼, 내러티브는 인간의 삶의 모든 영역에 현재하면서 언어와 매체를 통해 생산되고 소통되며 인간의 삶과 정체성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 내러티브는 개인이나 집단마다의 서로 다른 기억, 경험, 욕망, 심성을 반영하고 그것에 기반한 소통과정에서 공감과 갈등을 수반한다. 특히 후기자본주의사회, 기식기반사회, 다문화?다언어사회에서 인간은 전례 없이 다양한 내러티브를 생산하고 소비하고 있으며, 그 양상 또한 다면적이고 복잡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연세대학교 인문한국사업단은 이 책에서 ‘내러티브’와 ‘소통’을 키워드로 삼아 이야기를 통해 지식과 가치, 사회와 문화를 재현하고 구성하는 인간의 능력과 인지 구조에 대해 분석한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국외 내러티브 연구의 동향”에서는 언어론적 전회(Linguistic Turn) 이후 영미, 프랑스, 독일, 일본에서 이루어진 내러티브 연구의 이론적 배경과 최근 연구의 동향을 소개한다. 제2부 “국내 내러티브 연구의 현장”에서는 지난 10여 년 간 한국의 인문사회과학 각 영역에서 내러티브 연구와 관련하여 첨예한 문제의식을 드러낸 성과들을 엄선해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제3부 “언어학과 내러티브 연구의 전망”에서는 한국어 사용 소수자를 중심으로 전개된 질적 연구, 한국어교육, 말뭉치언어학의 영역에서 이루어진 내러티브 연구의 성과들을 조망하고, 내러티브와 소통 문제와 관련한 응용언어학의 전개 방향을 살핀다.
목차

머리말

제1부 국외 내러티브 연구의 동향
내러티브 분석의 이론 동향― 영미권 사회언어학, 담화 연구의 주요 논의를 중심으로
서사성(narrativity): 프랑스 서사학(narratology)의 시선
인문-사회과학의 핵심 주제로서의 ‘서사’의 의미와독일철학에서의 연구동향
이론과 실천의 거점, 중심으로서 내러티브 연구― 언어론적 전회, 내러티브로의 전회와 일본의 인문사회과학

제2부 국내 내러티브 연구의 현장
언어적 전회와 내러티브의 철학적 기반
역사학, 구술사를 만나다― 역사학자의 관점에서 본 구술사의 현황과 과제
서술의 유형학에서 발화 행위의 프락시스(praxis)로
질병체험과 서사

제3부 언어학과 내러티브 연구의 전망
개인 경험 이야기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의 실제― 국내 질적 연구의 학제적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에서의 내러티브 연구 동향과 상호 소통의 한국어교육 실천가능성
구어 내러티브 말뭉치의 연구 동향

저자 소개
저자 한송화
<현대 국어 자동사 연구>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이용기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이다. 역사문제연구소 연구원과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근대를 다시 읽는다>(2006, 공저),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2013, 공저) 등의 책과, 「역사학, 구술사를 만나다」(2009), 「‘새로운 민중사’의 지향과 현주소」(2010), 「일제시기 모범부락의 내면과 그 기억」(2010) 등의 논문을 썼다.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이양수
미국 조지아대학교에서 폴 리쾨르의 정의 개념을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폴 리쾨르』(2016), 『프랑스 철학의 위대한 시절』(공저, 2014), 『현대 정치철학의 테제들』(공저, 2014), 『내러티브 연구의 현황과 전망』(공저, 2014), 『정의로운 삶』(2007/2013), 『무엇이 정의인가』(공저, 2011), 『공동체주의와 공공성』(공저, 2008)이 있다. 역서로 『정의의 한계』(2012), 『법률가의 논리』(2010), 『휴머니티』(공역, 2008)가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