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시민사회와 국제개발협력: 한국 개발NGO의 현황과 과제

개인저자
손혁상
발행사항
서울 :,집문당,,2015
형태사항
xxi, 323 p. : 도표 ; 23 cm
ISBN
9788930316842 9788930315005 (세트)
청구기호
339 손94ㅅ
일반주기
권말부록: 역량개발 프레임워크와 교육기관
서지주기
참고문헌: p. 295-310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38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38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서구 개발NGO 이론 및 현황에 대한 비판적 분석에 초점을 두고 이를 통해 한국 개발NGO의 현황과 과제를 조망하는 학술 입문서이다. 서구이론 및 사례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개발NGO 분야에 관한 본격적인 학술연구를 시도하고, 한국의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 개발NGO의 고유한 장점과 특성을 살리는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물론 이 책에서는 개발NGO와 관련된 모든 주제를 망라하여 다루지는 않는다. 이 책의 부제가 “한국 개발NGO의 현황과 과제”인 것처럼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한국 개발NGO의 역사, 역량, 정부와의 파트너십, 책무성, 모니터링 및 평가 등의 주제는 한국 개발NGO의 현 주소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분석대상인 동시에 한국 개발협력 시민사회가 풀어가야 할 핵심 과제이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규모 및 내용 면에서 성장하고 있는 한국 개발NGO에 대한 기존 연구와의 간극을 메우는 데 주력하였다.
이 책에서 다루지 못한 개발NGO의 프로젝트 효과성 제고, 애드보커시 활동, 개발NGO 리더십 이양과 글로벌 네트워크 등의 주제는 증보편에서 보완할 예정이다.

목차

머리말
약어

제1장 문제제기

제2장 개발NGO의 발전과정과 현황
1. 개발NGO의 역할
2. 서구 개발NGO의 발전과정과 현황
1) 1950년대 이전: 자선과 구호, 개발NGO의 출발기
2) 1960~1970년대: 구호와 재건에서 개발로의 전환기
3) 1980년대: 개발NGO 역할의 확장기
4) 1990년대: 핵심 개발파트너로의 전환기
5) 2000년대 이후: 개발의제 형성 참여 및 자기 성찰기
6) 개발NGO의 국제 현황
3. 한국 개발NGO 성장의 역사
1) 개발NGO의 등장
2) 1980년 이전
3) 1980년대
4) 1990년대
5) 2000년대 이후
4. 한국의 개발NGO 현황
1) 한국 개발NGO의 활동 유형
2) 한국 개발NGO의 재정
3) 한국 개발NGO의 해외사업 현황

제3장 개발NGO의 역량
1. 이론적 접근
1) 역량개발의 필요성
2) 역량개발의 개념
3) 역량 요소 분석
2. NGO 역량개발의 주요 흐름과 프로그램
1) NGO 역량개발의 흐름
2) 주요 역량개발 프로그램
3) 역량개발의 발전 방향
3. 한국 개발NGO의 역량 분석
1) 역량강화 프로그램 현황
2) 한국 개발NGO 역량분석
3) 한국 개발NGO 역량강화를 위한 제언

제4장 정부와 파트너십
1. 이론적 접근
1) 거버넌스 모델
2) 신정책의제
3) 결사체로서의 시민사회
4) 제4영역으로서의 개발NGO
2. 개발협력 파트너십의 역사
3. 정부-시민사회 파트너십의 국제현황
4. 한국의 정부-개발NGO 파트너십
1) KOICA 민관협력 사업 추진현황
2) 한국의 개발협력 파트너십을 위한 제언

제5장 책무성
1. 책무성의 개념과 역사적 흐름
1) 책무성의 개념
2) 개발NGO 책무성의 역사적 흐름
2. 개발NGO 책무성 제고의 해외 사례
1) 정부 주도의 책무성 제고 사례: AusAID
2) NGO 자체의 책무성 제고 사례
3. 한국 개발NGO의 책무성
1) 한국 개발NGO의 책무성 논의 현황
2) 한국 개발NGO의 책무성 제고 노력
3) 한국 개발NGO 책무성 제고를 위한 제언

제6장 모니터링 및 평가
1. 개발NGO 사업평가의 국제적 동향
2. 개발NGO 사업평가의 주요 이슈
1) 평가의 질 확보(quality assurance)
2) 프로젝트에서 프로그램으로 전환에 따른 평가의 어려움
3) 영향 평가
4) 평가 활용
5) 평가자(evaluators) 참여 방식
3. 개발NGO 평가프레임 사례
1) NGO-IDEAs의 평가프레임: 영향 도구상자(Impact-Toolbox)
2) NGO1의 평가프레임: NGO1 Methodology
3) Oxfam GB-Global Performance Framework
4. 한국 개발NGO의 평가 방향 제언

제7장 한국 개발NGO의 발전 방향 모색

참고문헌
<부록> 역량개발 프레임워크와 교육기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