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중국의 대북정책

개인저자
문대근 지음
발행사항
서울:,늘품플러스,,2013
형태사항
337 p.: 표; 22 cm
ISBN
9788993324488
청구기호
349.12 문222ㅈ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49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49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중국의 대북정책에 관한 최초의 본격 연구서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관계에 대한 통찰력 제공


이 책은 중국의 대북정책 20여 년을 총정리하면서, ① 중국의 대북정책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핵심요인은 무엇인가? ② 중국은 어떤 상황·조건에서 대북정책을 어떻게 조정해 왔는가? ③ 또 중국의 대북정책과 관계가 어떤 패턴과 특징을 보여 왔는가를 규명하고 있다.

저자는 탈냉전기 중국의 대북정책은 주로 동아시아 질서의 구조 속에서 대미관계를 고려해 결정되어 왔다고 본다. 중국은 미중관계가 우호·협력적일 때 중북관계를 다소 느슨하게 관리했고, 갈등·대립적일 때 강화하는 패턴을 보였다. 한미의 대북정책에 의해 북한의 위기가 가중되고 위협을 느낄 때 중북관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했다.
한마디로, 중국의 대북정책 결정 요인은 중북 양자 간의 관계보다 강대국 관계와 관련된 지정학적·전략적 이해라는 것이다. 중국이 문제아인 북한을 안고 갈 수밖에 없는 이유는 미국과의 관계에서 북한이 자국의 안보문호(완충지역)이기 때문이다. 중국에게 중요한 것은 ‘북한’이라는 나라, 정권·체제가 아니라 북한지역이라는 ‘땅’의 보존이다.
같은 맥락에서 이 책은 미중관계가 세력변화 과정에서 협력보다 경쟁·대립으로 치달을 경우 중국의 북한 보호 태도는 쉽게 변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특히 북한문제가 양안통일문제와 직결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대북정책 변화는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북 인식과 정책에서 일부 미세한 변화·조정에도 불구하고 근본적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사실, 2006년 북한의 1차 핵실험 이후 중국은 칼집(韜)에서 칼날(光)을 빼내 북한을 치려는 의도였다기보다 화난 표정으로 칼날을 빼내 보이는 정도였다. 북한의 2차 핵실험 이후에는 오히려 중북관계를 강화해 나갔다. 중북관계의 본질은 변하지 않았고, 일부 상황 변화에 따라 중국의 입장과 태도가 흔들렸을 뿐이다. 중국은 국제사회의 책임대국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고, 북한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할 말과 할 일을 할 뿐, 북한을 처벌하거나 등을 돌리지 않았다.
이 같은 중국의 대북정책과 결정 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설명은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관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 주고 있다.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 여부는 물론, 한반도 통일에 대한 입장도 예측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한국의 대북·통일정책에 유용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해 주고 있다.
목차

Ⅰ.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 20
제2절 기존 연구의 문제점 / 25
1. 국내 연구 / 25
2. 국외 연구 / 29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5
1. 연구의 범위 / 36
2. 연구의 방법과 분석 틀 / 38

Ⅱ. 중국의 대북정책
제1절 정책목표 / 56
제2절 정책원칙과 기조 / 58
1. 북한체제의 안정 / 61
2. 대북 영향력 유지·확대 / 64
3. 북한의 개혁개방 촉진 / 66
4. 북한 핵문제 해결 / 72
제3절 접근전략·방침 / 78
1. 견제와 균형(이중성) / 79
2. 중요 사안의 분리접근 / 82
3. 전략적·장기적 고려 / 84
4. 적극적 관리·통제 / 87
제4절 주요 쟁점에 대한 입장 / 93
1. 대북 원조·경제협력 / 93
2. 대북 영향력 행사 / 99
3. 북미관계 개선 / 105
4. 중북동맹조약 / 110
5. 한반도 통일 / 116

Ⅲ. 대북정책과 중북관계 전개 양상
제1절 소원기(1991∼1999) / 129
1. 체제수준의 동아시아 질서 변화 / 129
2. 단위수준 이슈의 정치화 / 133
3.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관계 / 136
제2절 복원/조정기(1999∼2006) / 142
1. 체제수준의 동아시아 질서 변화 / 142
2. 단위수준 이슈의 정치화 / 146
3.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관계 / 149
제3절 냉각기(2006∼2009) / 156
1. 체제수준의 동아시아 질서 변화 / 156
2. 단위수준 이슈의 정치화 / 159
3.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관계 / 160
제4절 정상화기(2009∼2012) / 165
1. 체제수준의 동아시아 질서 변화 / 165
2. 단위수준 이슈의 정치화 / 172
3.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관계 / 175

Ⅳ. 대북정책 결정 요인 분석
제1절 구조 수준의 요인 / 189
1. 미중 관계 / 189
2. 한반도의 지정학 / 205
제2절 행위자 수준의 요인 / 211
1. 중국의 내외 상황 인식 / 211
2. 국가 대전략과 외교노선 / 218
3. 동북아 전략 / 241
4. 대한반도 인식과 정책 / 244
제3절 관계 수준의 요인 / 249
1. 중국의 북한(지역)에 대한 인식 / 249
2. 북한의 대중 인식과 정책 / 260

Ⅴ. 대북정책 결정의 특징
제1절 구조가 행위자의 정책 제한(가설?) / 268
제2절 구조·행위자, 행위자(중북) 간 상호작용(가설?) / 273
1. 중국 간의 동맹의 딜레마 / 274
2. 중국 간의 정체성·이익의 차이 / 275
3. 책임대국으로서의 역할·위상 / 277
4. 북한의 위기관리·통제 필요성 / 279
제3절 행위자의 위협인식이 정책 강화(가설?) / 281
제4절 대북정책의 일관된 패턴 유지 / 284
1. 대북정책의 지속성 / 284
2. 중북 특수관계의 요인 / 291

Ⅵ. 결론

참고문헌 /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