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동북아 평화의 길: 동북아 딜레마, 협력과 상생의 출구는?

발행사항
성남 :,북코리아,,2018
형태사항
478 p. ; 24 cm
ISBN
9788963245829
청구기호
349.1 김51ㄷ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742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742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동북아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하여”

현 동북아 국제정세는 1992년 8월 24일, 한중수교를 기점으로 실질적인 변화를 모색했지만, 이에 위기를 느끼고 반발한 북한의 핵무기 개발전략에 의해 동북아 지역에서는 오히려 탈냉전 시대가 어색한 신냉전의 시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16년 7월 8일, 한미의 사드 시스템 배치 결정 이후, 한중관계는 ‘사드 딜레마’에 깊이 매몰되어 있다. … 북학의 핵무기 보유 시도와 사드 시스템 배치가 동북아 평화와 동아시아 평화로 가는 길에 결정적인 장애가 될 수는 없다. 하지만 우리는 반드시 이 문제를 함께 극복해야 한다. 동아시아의 모든 이들이 동북아 평화의 길에 이어, 동아시아 평화의 길에 함께 동참해야 한다. 이를 통해 모두가 평화로운 세상을 누릴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
국제정세와 중국의 사회구조가 급변하는 가운데 외교 및 국제관계 문제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부각되면서 존중과 비판을 동시에 받고 있다. 2010년에 중국이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올라선 이후 많은 국가들과의 외교 활동에서 ‘진통기’를 맞고 있다. 북한 문제와 영토분쟁 등 국제적 핫이슈가 민중의 이성과 외교적 지혜를 시험하고 있다. 둘째, 국내외 문제가 연동되면서 국제문제에 대한 대책이 세계정세 변화와 국내안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국제정세 변화와 돌발사태의 영향으로 국내의 분란을 유발하는 사례는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 본보기가 되고 있다. 정책 결정권자 입장에서 국제정세에 대응하고 국제사무를 처리하는 능력에 대한 요구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외교 및 국제관계 문제에 대한 학술연구는 필수적이다. 셋째, 사회매체의 신속한 발전은 공공업무과 국제사무에 대한 참여도를 전례 없이 제고하고 그 내용의 빠른 전파는 국경과 문화 차이, 그리고 가치관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은 연유로 외교와 국제관계는 단지 정치인, 외교관, 학자 등 소수가 참여하는 ‘전공학문’이 아니라 명확한 ‘평민화’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국제문제에 대한 국민의 편견과 비이성적인 주목은 국가 측면의 외교정책과 심지어 국가이익에 영향을 주고 있다. 국제문제는 종종 매우 복잡하게 얽혀 있다. 본국의 국가이익에 관련되는 국제문제에서 보통의 민중은 문제의 한 단면만을 볼 뿐 이성적 대처가 어렵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 최대한의 노력을 경주하여 국제문제에 대한 민중의 소양을 제고하는 것은 절박한 과제로, 민중의 정서와 국가의 외교정책이 상반되지 않고 맞물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목차

서언 1: ‘동북아 평화의 길’을 설계하며
서언 2: 동북아의 조화로운 발전을 위하여

제 1부 정치외교 분야
1. 동북아 평화의 길, 한중 전략적 안보협력으로 개척을
2. 인터넷 민족주의가 중한 공공외교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3. 중한관계의 문제점과 대응
4. 현 북한 정세 판단
5. 시진핑 시대 중국의 대북 정책
6. 지정학적 시각으로 본 미국의 한반도 정책 연구
7. 이원화 제도: 한반도 딜레마 해소의 길 탐구
8. 새로운 동북아 평화의 길: 공공외교로 재출발
9. 동북아시아 평화의 길을 위하여
10. 소결론: 정치외교 분야 원탁토론

제 2부 경제발전 분야
1. 한중일 경제 통합 가능성 탐색
2.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의 당면 과제
3.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구축과 동아시아 평화 촉진
4.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해외경제이익 확장
5. 중한 유라시아 협력 구상과 동북아 경제 협력
6. 뉴노멀화 시기 중·한 교역조건 영향 요인과 고도화 연구
7. 소결론: 경제발전 분야 원탁토론

제 3부 사회문화 분야
1. 중국문화의 세계화 전략 탐색
2. 동북아시아 평화의 길: 한중일 삼국 간의 각국의 역사인식
3. 한중 양국의 쌍방관계에 대한 문화 교류의 영향 연구
4. 소프트 파워, 공공외교, 미디어 외교는 국제적 발언권의 핵심 포커스
5. ‘일대일로’ 관점에서의 산동 지역 도시 외교: 비교우위와 방향 선택
6. 문화인지적 관점에서의 일대일로 건설과 한중일 협력
7. 북한의 미래
8. 한반도 안전의 평화 시스템과 방법

결론 동북아 평화의 길: 한중 협력 3대 프레임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