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동유럽 공산정권의 붕괴와 체제전환

발행사항
서울: 인문과교양, 2021
형태사항
348 p.; 23 cm
ISBN
9791185939803
청구기호
340.92 이91ㄷ
일반주기
공저자: 윤성원, 김철민, 이하얀, 손동기, 송병준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895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895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책에서 연구진은 폴란드를 비롯한 동유럽 8개국의 사례를 통해 공산정권의 특성과 정권 붕괴의 요인을 파악하고자 했다. 국가별 사례연구를 통해 볼 때, 정권 붕괴의 공통적 요인은 무엇보다도 계획경제의 실패로 인한 경제위기였다. 여기에 더해 고르바초프의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 정책이 동유럽으로 파급되면서 동유럽 공산정권 내부에 개혁파가 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겼고 시민들도 변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루마니아와 불가리아의 1인 독재체제가 붕괴되는 과정은 다른 중동부유럽이나 발칸, 발트국가의 사례와는 상이했으며, 유고슬라비아의 정권 붕괴 과정 역시 민족주의의 등장에 따른 사회적 갈등과 충돌, 더 나아가 내전과 전쟁으로 이어져 앞선 중동부유럽의 사례와 그 원인 및 과정이 상이했다.
따라서 연구진은 기존 동유럽 공산정권의 붕괴, 체제전환 연구에서 강조했던 “단일한 요인에 의해, 단일한 과정을 거쳐, 단일한 결과에 이르렀다.”라는 가설이 완전히 잘못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동유럽 공산정권은 각각 상이한 원인으로 붕괴되었음을 파악했고, 이후 연구에서도 국가별 사례연구를 통해 동유럽 국가들이 상이한 과정의 체제전환을 거치면서 그것이 상이한 결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것이다.
동유럽 인문학 연구자와 사회과학 연구자들은 동유럽학 자체가 지니는 학문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동유럽의 인문, 역사, 사회가 우리에게 주는 함의를 파악하는 데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동유럽에서 공산정권이 붕괴되어 체제전환이 시작되고 또 이들 중 11개 국가가 EU에 가입한 현시점까지 많은 연구를 통해 이 지역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지만, 사실 현재까지의 연구는 산발적이며 이슈-중심적인 연구가 많았다. 이런 측면에서 연구진은 보다 거시적이며 포괄적인 시각으로 본 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동유럽 대전환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고 그것이 향후 한반도의 전환에 대비하는 우리에게 어떤 함의를 주는지 주목할 것이다.
목차

서문

제1장 폴란드: 공산체제 붕괴의 원인, 과정 및 결과

01 머리말
02 폴란드 공산정권 붕괴의 원인
03 민주화의 물결과 시련
04 민주화 과정
05 폴란드 공산정권 몰락의 주요 요건

제2장 체코슬로바키아 공산정권의 수립과 붕괴에 대한 고찰: 경제적 이유를 중심으로

01 머리말
02 체코슬로바키아 공산정권의 특징
03 체코슬로바키아 공산정권 시기의 경제
04 체코슬로바키아 공산정권 시기 계획경제의 문제
05 맺음말

제3장 헝가리의 냉전질서 편입과 체제전환

01 머리말
02 헝가리 공산체제의 탄생과 특징
03 체제전환의 과정
04 체제전환의 결과
05 맺음말

제4장 ‘소비에트형 인간’을 거부한 1989년 11월 체코슬로바키아의 벨벳혁명

01 머리말
02 ‘거짓된 삶’ 벗어던지기: 혁명의 시작
03 경제침체가 벨벳혁명을 유도했나
04 ‘거짓된 삶’에서 벗어나려는 용기와 변화에 대한 기대
05 ‘소비에트형 인간’이 되길 거부하다

제5장 루마니아 공산정권의 붕괴 과정

01 머리말
02 공산정권의 특징
03 붕괴의 원인
04 붕괴의 과정
05 맺음말

제6장 유고슬라비아 체제전환 배경과 기원 연구: ‘티토이즘’ 붕괴와 ‘문화적 민족주의’ 부활의 관점에서

01 머리말
02 비동맹주의와 자주관리제도, 의미와 쇠퇴
03 1980년대 경제위기와 티토이즘 붕괴
04 티토 재평가 확산과 유고슬라비즘의 약화
05 문화적 민족주의 부활의 시발, 코소보 갈등
06 맺음말

제7장 불가리아 공산체제의 특징과 붕괴

01 머리말
02 불가리아 공산체제의 특징
03 불가리아 공산정권의 붕괴 원인과 과정
04 맺음말

제8장 발틱 3국의 공산주의 붕괴와 체제전환

01 머리말
02 발틱 3국의 공산주의
03 발틱 3국의 공산주의 붕괴 동인
04 발틱 3국의 체제전환 과정
05 발틱 3국의 공산주의 붕괴와 체제전환의 함의

미주
참고문헌

저자 소개
저자 김철민
유고슬라비아 베오그라드 국립대학교에서 동유럽 역사학(국제관계사 전공)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한국유럽학회 부회장, 한국중동부유럽학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학 대학 세르비아크로아티아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저서(단독)로는 『보스니아 역사: 무슬림을 중심으로』, 『동유럽 민족분쟁: 보스니아, 코소 보, 마케도니아』, 『한국전쟁과 동유럽』, 『또 하나의 유럽, 발칸 유럽을 읽는 키워드』(2010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저서), 『발칸 유럽 민족문제의 이해: 민족기원과 민족주의』(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우...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송병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관계학과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HK+ 연구교수
주요 저서
『유럽연합 거버넌스 2』, 2016, 높이깊이
『유럽연합 정책결정시스템』, 2018,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조약으로 보는 유럽통합사』, 2016, 통합유럽연구회, 높이깊이 (공저)
『통합과 갈등의 유럽연합』, 2017, 높이깊이 (공저)
『유럽 언론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2017,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저)
『한-EU 관계론』, 2019,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공저)
『중소기업의 중동부유럽 진출을 위한 거시환경 ...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안상욱
국립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
프랑스 파리 3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현재 국립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심분야는 EU 대외관계와 EU의 기후변화 대응이다. 주요 저서로는 『EU 미국 동아시아의 에너지정책』(2018, 한국학술정보), 『세계화의 진전과 도전』(2019, 한국학술정보)가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천연가스 공급망 안보: 폴란드와 독일 사례 비교”(『한독사회과학논총』32권 4호, 2022), “EU의 핵심광물 공급망 안정성 확보정책”(『유럽연구』41권 1호, 2023) 등이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