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투표행태의 이해

Introduction to voting behavior

판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파주 :,한울아카데미 :,한울엠플러스,,2017
형태사항
282 p. : 도표 ; 23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ISBN
9788946062887
청구기호
344.7 조79ㅌ
일반주기
학생판임
서지주기
참고문헌(p. 257-279)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지금 이용 불가 (1)
1자료실00019162대출중2024.05.13
지금 이용 불가 (1)
  • 등록번호
    0001916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중
    2024.05.13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누가, 왜, 어떻게 투표하는가?
투표행태에 관한 국내 최초의 교과서


다가올 대통령선거에서 유권자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투표를 결정할까? 각 후보가 내놓은 정책을 비교하거나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유권자 자신과 비슷한 입장을 취하는 후보를 탐색할 것이다. 또한 가족이나 동료가 지지하는 후보를 똑같이 선택할 수도 있고, 투표에 아예 참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처럼 투표행태를 이해하고 그 결과를 예측하는 것은 민주주의에서 매우 중요하다. 시민은 투표를 통해 정책결정 과정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투표행태를 이해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중요한 속성을 이해하는 것과도 같다.
이번 개정판에서는 두 가지가 달라졌다. 첫째, 각 장의 이론적인 설명을 수정하거나 보강했다. 특히 제2장과 제3장은 완전히 새로 썼다. 둘째, 각 장 후반부의 한국 사례를 최근 선거 결과로 대체했다. 여기서 소개하는 이론은 기초적이며 끊임없이 수정되고 발전하고 있다. 이 분야에 입문하려는 이들에게 이 책이 좋은 출발점이 되었으면 한다.

가난한 사람이 왜 보수정당에 투표하는가?
다양한 이론으로 분석하는 투표행태


‘유권자는 정당과 후보자를 어떻게 선택하는가?’라는 질문은 정치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었다. 그러나 그 해답을 구하려는 정치학자들의 노력은 20세기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때가 되어서야 일반 유권자에게까지 투표권이 확대되었고, 투표행태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절감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게 긍정적이지만은 않다.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명쾌한 해답을 아직 내놓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표행태를 설명하는 이론은 다양할 수밖에 없다. 주목할 점은 이론의 내용이 서로 배타적이지 않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투표행태를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를 ‘이론의 발전사’라는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 책에서는 본격적인 투표행태에 대한 연구인 ‘컬럼비아 학파(Columbia School)’의 사회학적 관점에서부터 ‘제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신제도주의까지 여러 이론을 살펴본다. 즉, 투표행태를 설명하기 위해 새롭게 등장한 이론이 기존 이론의 어떤 내용을 비판하고 있고 어떤 부분을 받아들이고 있는지, 혹은 이후 어떻게 자체적으로 수정되고 발전되는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한국의 투표행태를 분석하며 ‘살아 있는’ 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다!
최근의 선거 결과로 한국 사례를 대체한 개정판


한국의 유권자들은 무엇을 기준으로 투표를 결정하는가? 한국 사회는 농촌의 경우 전근대적 문화가 여전히 남아있던 반면, 경제성장과 산업화로 도시의 근대화는 급속히 진행되었다. 따라서 전통적 가치관이 지배적인 농촌 지역 유권자들은 권위주의 정치체제를 지탱하고 있던 여당에 투표했다. 반면 상대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민주주의 가치를 중시하게 된 도시 유권자들은 야당을 지지하게 된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떠한가? 여전히 농촌과 도시의 구분이 한국의 투표행태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는가? 2002년 제16대 대통령선거는 기존 선거와는 다른 모습을 보였는데 바로 세대에 따라 지지하는 후보가 다르게 나타난 것이다. 20대와 30대는 진보적 성향을 띠면서 노무현 후보를 지지했다. 반면 50대 이상은 보수적 성향을 강하게 보이면서 이회창 후보를 선택했다.
투표율은 어떠한가? 1980년대 중반 민주화 이후 한국의 투표율은 서구 민주주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하락 추세를 보이다 200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물론 거주 지역, 소득수준, 연령, 성별에 따라 투표율 또한 모두 다르다.
이처럼 이 책은 한국의 역대 대통령선거, 지방선거, 국회의원선거 결과를 바탕으로 투표행태 이론의 적합성을 따져본다. 투표행태 이론을 개괄하는 것 이상으로 그 이론의 실효성을 확인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 책에서 분석하는 한국의 역대 주요 선거 결과를 통해 다양한 투표행태 이론을 이해할 수 있으며 한국 사회를 설명하는 가장 적합한 이론을 찾을 수 있다.

책의 구조
이 책은 투표행태의 이해를 위한 이론들을 각 장에서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투표행태 연구의 시발점으로 평가되는 컬럼비아 학파의 사회학적 이론을 정리하며, 제2장에서는 이를 심화·발전시킨 사회균열론에 근거한 투표행태 분석을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미시간 학파의 사회심리학적 이론, 특히 정당일체감과 투표행태의 관계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다. 제4장에서는 합리적 선택 이론을 다룬다. 집단을 강조한 이전의 논의에서 학문적 관심을 개인으로 전환시킨 합리적 선택 이론의 주요 내용과 투표행태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제5장에서는 선거에서 쟁점이 투표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정리한다. 합리적 선택 이론에서 발전한 공간 이론이나 방향성 이론 등을 소개한다. 제6장에서는 인지심리학적 이론을 다룬다. 스키마나 휴리스틱스 같은 인지심리학적 개념에 기초를 둔 투표행태의 이해를 소개하고, 대중매체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한다. 제7장에서는 투표행태를 설명하기 위한 신제도주의적 접근과 그 연구 성과를 요약한다. 선거제도에 의해 투표행태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논의한 주요 학자의 주장과 사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제8장에서는 ‘투표 참여와 기권’의 문제를 다룬다. 이 장은 유권자들이 어떻게 선택하는지의 문제가 아니라 왜 투표장에 가는지 혹은 왜 기권하게 되는지를 살펴본다. ‘참여와 기권’이라는 질문에 대해 앞의 장들에서 소개된 각각의 이론이 서로 다른 해답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목차

개정판 머리글
초판 머리글

서 문 투표행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_ 전용주
1. 선거와 투표 󰠁 2. 경쟁하는 이론들 󰠁 3. 이 책의 구성

제1장 유권자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투표행태: 사회학적 관점 _ 임성학
1. 들어가며 󰠁 2. 사회학적 접근법의 주요 이론적 내용과 방법론 󰠁 3. 한국에서의 사회학적 접근법 적용 󰠁 4. 나오며

제2장 사회균열과 투표행태: 정치사회학적 관점 _ 전용주·이동윤
1. 들어가며 󰠁 2. 정치사회학적 관점의 주요 이론적 내용 󰠁 3. 한국에서의 정치사회학적 접근의 적용 󰠁 4. 나오며

제3장 정당일체감과 투표행태: 사회심리학적 관점 _ 최준영·한정택
1. 들어가며 󰠁 2. 정당일체감: 사회심리학적 미시간 모델 󰠁 3. 정당일체감을 둘러싼 논쟁: 수정주의자들의 비판 󰠁 4. 한국에서의 정당일체감 󰠁 5. 나오며

제4장 합리적 선택 이론과 투표행태: 경제학적 관점 _ 엄기홍
1. 들어가며 󰠁 2. 합리적 선택 이론과 투표행위: 이론과 적용 󰠁 3. 한국에서의 합리적 선택 이론 적용 사례 󰠁 4. 나오며

제5장 선거 이슈와 투표행태 _ 최준영
1. 들어가며 󰠁 2. 이슈 투표: 이론과 쟁점 󰠁 3. 한국에서의 이슈 투표 연구 󰠁 4. 나오며

제6장 인지구조와 대중매체, 그리고 투표행태: 인지심리학적 관점 _ 이소영
1. 들어가며 󰠁 2. 인지심리학적 접근법의 주요 이론적 논의 󰠁 3. 한국에서의 인지심리학적 접근법 적용 󰠁 4. 나오며

제7장 선거제도와 투표행태: 신제도주의적 관점 _ 조진만
1. 들어가며 󰠁 2. 신제도주의와 유권자의 투표행태 󰠁 3. 선거제도와 유권자의 투표행태 󰠁 4. 한국의 선거제도와 유권자 투표행태 연구 󰠁 5. 나오며

제8장 투표 참여와 기권 _ 조성대
1. 들어가며 󰠁 2. 민주주의와 선거 󰠁 3. 투표 참여와 기권에 대한 이론과 논의 󰠁 4. 한국에서의 투표 참여와 기권 연구 󰠁 5. 나오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