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경제지리학의 이해

Economic geography

개인저자
한주성 지음
판사항
제2개정판
발행사항
파주 :,한울아카데미,,2015
형태사항
878 p. : 삽화, 도표, 지도 ; 25 cm
총서사항
한울아카데미
ISBN
9788946058293
청구기호
320.98 한77ㄱ
서지주기
참고문헌(p. 816-856)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940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940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2006년 초판, 2009년 개정판 이후 6년 만에 출간된 제2개정판

국민경제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경제의 글로벌화가 이루어지면서 경제지리학 분야 연구는 그 영역의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세밀화되었으며, 인접 학문과의 융합화 등으로 어려움이 더욱 커졌다. 즉, 단편적인 연구만으로 제대로 된 지식 탐구와 정보 전달을 하기 어려워졌으며, 복합적인 차원에서 살펴봐야 할 현상이 많아졌다고 할 수 있다.
시시각각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또 급변하는 초고속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6년이라는 시간은 경제지리학 분야의 논의의 초점을 심화, 확장시켰다.
이 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 오늘날 한국 사회와 전 지구적 차원에서의 경제지리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모든 지식과 정보를 집대성한 것이다.

2009년 이후 한국과 전 세계의 경제지리학은 어떻게 급변해왔는가
6년 만에 출간되는 <경제지리학의 이해> 제2개정판


<경제지리학의 이해> 개정판을 출간하고 6년이 지나는 동안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지식은 매년 폭발적으로 증가해 경제지리학 관련 연구물 발표가 홍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의 흐름에 부응하기 위해 제2개정판에서는 많은 부분을 수정·보완하고 새로운 내용을 추가했다.

제1장에서는 경제지리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내용을 추가·보완하고, 한국경제지리학의 체계화를 위한 시도에 관해서도 기술했다. 이 내용들이 현재 경제지리학 연구에서 이슈가 되는 접근방법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3장에서는 자본 순환과 공간 불균등 발전에 관한 이론적 틀로 마르크스의 자본 순환, 불균등 발전, 공간적 회피 등의 내용을, 제4장에서는 노동가치설과 최근 관심을 끄는 간접고용 및 노사관계를 나타내는 발전양식과 노동편성에 대한 내용 등을 추가했다. 제5장은 글로벌 경제에서의 국가의 역할과 영역적 전략이 경제적 기회나 경제력 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새로운 장으로 구성했다. 제6장에서는 최근 선진국에서 먹을거리의 양과 질, 안전성 문제가 이슈로 떠오른 만큼 식료지리학(food geography)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다. 제7장에서는 최근 활발해진 초국적 기업의 경제활동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고, 또 신경제공간학파의 산업집적론을 보완해 기술했는데, 특히 클러스터의 중요성을 감안해 이에 대한 내용을 많이 보강했으며, 공간경제학에 대한 내용도 추가했다. 제8장에서는 공정무역 내용을 추가했으며, 세계 시스템의 관점에서 상품사슬에 대한 내용도 추가했다. 제11장에서는 지식기반의 유형화, 지식유동과 사회 네트워크론, 창조산업에서의 공간에 대한 내용 등을 추가했으며, 제12장에서는 자연·생태계에서의 산업입지, 쓰레기 문제 접근방법에 대한 내용을 추가했다. 그 밖에 각 장마다 부분적으로 새로운 내용을 첨가했으며 통계적 기법에 대한 내용을 서술한 부분에서는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박스 안에 관련 기법의 내용도 덧붙였다.
목차

제1부 경제지리학의 본질과 연구방법의 발달
제1장 경제지리학의 본질과 연구방법의 발달

제2부 경제활동의 주요 주체
제2장 자원의 지역적 분포
제3장 자금·자본의 지역적 순환
제4장 노동력의 공간구조와 이동
제5장 경제지리학에서의 국가

제3부 산업의 입지와 공간체계
제6장 농업의 입지와 공간구조
제7장 공업의 입지와 네트워크
제8장 유통·서비스업의 입지와 공간체계
제9장 경제적 중추관리기능의 지역구조
제10장 교통·정보의 공간적 네트워크
제11장 지식산업의 공간집적
제12장 환경문제와 입지론

제4부 경제지역과 지역개발
제13장 경제지역
제14장 경제발전과 지역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