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현대 일본경제의 역사: 안정성장기에서 구조개혁기까지(1973~2010)

대등서명
(岩波講座) 日本經濟の歷史
발행사항
서울 :,해남,,2023
형태사항
xvii, 415 p. : 도표 ; 24 cm
ISBN
9788962381757
청구기호
320.913 심38ㅎ
일반주기
원저자명: 深尾京司, 中村尙史, 中林眞幸 권말부록: 생산·인구·생산요소 투입·분배율·생산성·물가·환율·임금률의 시계열(1970~2017) 등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2006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2006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이 책은 총 6권으로 기획된『일본경제의 역사』 시리즈 중 가장 마지막인 여섯 번째 책이다. 각 권은 총론에 해당하는 서장, 노동과 인구(제1장), 금융(제2장), 농업과 토지 이용(제3장), 광공업(제4장), 상업과 서비스(제5장), 생산·물가·소득의 추정(권말 부록)으로 기획되어 있다. 따라서 시리즈 전체를 읽는다면, 일본경제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부문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가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다.

1973~2010년을 다루고 있으므로 최근의 일본경제를 알고 싶은 독자라면 필독서가 되기에 충분하다. 특히 이 시기의 후반부는 ‘일본화’로 통칭되는 장기침체의 시대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 책의 많은 부분은 ‘잃어버린 30년’을 다루고 있다. 잃어버린 30년은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난 것이 아니다. 거기에는 역사적 맥락이 있었다. 고도성장의 시대까지 형성되었던 구조적 특징이 이 시기에도 남아 때로는 한계로 작용하였고, 때로는 저력을 발휘하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인들은 구조개혁을 회피할 수 없었다. 개혁이 지연되었다는 평가가 많은데, 그렇다 보니 아직도 남아 있는 문제들이 꽤 있다. 하지만 일찍부터 개혁을 서둘렀던 문제도 있었다. 이 대목에서 역자는 긴장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물론 각론에 들어가면, 관점은 실로 다양하다. 이 책은 다양한 관점을 비교하면서 그중에서 가장 타당한 결론을 도출하려 한다.

역사는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충분조건은 아닐지 모르지만 필요조건인 것만은 분명하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독자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게 될 것이다. 지금부터 노력하지 않는다면, 몇 년 후 우리나라에서 나타날 수밖에 없는 것은 무엇일까? 역사적 맥락에서 한국경제가 갖게 된 한계는 무엇이고, 저력은 무엇일까?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 당장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 우리에게 현대의 일본경제사는 생생한 실험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목차

서장
제1절 성장과 거시경제
1. 고도성장에서 안정성장으로, 그리고 장기정체로
2. 저축초과 문제
3. 공급 측면으로부터 본 경제성장 둔화의 원인
4. 자본축적은 왜 둔화되었는가?
5. 총요소생산성(TFP)의 정체
제2절 정부의 역할
1. 1970년대 이후의 재정운영 - 개관
2. 일반정부로부터 본 재정
3. 정부지출·재정수지의 장기적 변화
4. 사회보장급여의 확충과 그 영향
5. 재정조달 방법에 관한 선택
6. 국민저축으로부터 본 정부
7. 저출산 고령화에의 대응
제3절 소득과 자산의 분배
1. 소득불평등화
2. 소득불평등화와 연령구조, 세대 유형의 변화
3. 노동분배율의 추이
4. 노동시장의 변화
5. 자산의 분배
6. 빈곤 문제
7. 세제와 재분배정책
8. 결론을 대신하여 - 피케티 비판
참고문헌

제1장 노동과 인구 현대의 노동시장과 생활수준의 변천
제1절 노동시장의 변화 - 안정성장기·저성장기·인구감소기
1. 네 가지 관점으로부터 본 노동시장
2. 생산연령인구(15~64세)와 노동인구의 변화
3. 산업 구성과 종업자 구성의 변화
4. 임금과 평균근속연수의 변화
5. 비정규 노동자 수의 변화
6. 노동시간의 변화
7.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
8. 일본 노동시장의 변천과 향후의 전망
제2절 생활수준의 전후사 - 소비와 여가의 관점에서
1. 실질임금의 상승과 소비수준·잉여시간
2. 소비·여가 선호의 검토
3. 전후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변화
참고문헌

제2장 금융 저성장하의 일본 금융시스템 - 버블·위기·정체하의 안정
제1절 경제 환경·금융제도와 금융구조
1. 금융제도의 변화와 금융시장·금융기관
2. 금융구조의 변화
3. 기업금융과 은행관계
제2절 자산 가격 버블의 형성과 붕괴 - 1980년 후반~1990년대 초
1. 버블의 실태와 성질
2. 버블과 신용팽창
3. 버블의 확대 요인과 금융정책
제3절 불량채권 문제와 금융위기 - 1990년대~2000년대 초
1. 불량채권 문제와 금융위기의 실태
2. 불량채권 문제·금융위기의 요인
제4절 잃어버린 20년과 금융 - 1990년대~2000년대
1. 요인(1): 금융기관의 건전성과 대출 기피
2. 요인(2): 금융기관의 건전성과 비효율적인 대출
3. 요인(3): 금융정책과 남아도는 돈
4. 금융인가 실물인가?
참고문헌

제3장 농업과 토지이용 전환기의 일본 농업과 도시 부동산업
제1절 농산물 과잉과 감반정책
1. 포스트 고도경제성장기의 일본 농업
2. 농산물 과잉과 감반정책
3. 감반은 어떻게 진행되었던 것인가
제2절 1970년대 이후의 농지 문제
1. 정책적 우대 수혜자로서 농업자
2. 농지 문제의 특성
3. 농협의 역할
4. 1990년대 농정의 전환
5. 농지제도의 변천
6. 일본 농업의 나아갈 길
제3절 도시 부동산업과 버블/디플레이션
1. 토지 신화의 붕괴와 부동산기업
2. 도시 부동산업 시장의 동향
3. 버블/디플레이션기의 부동산업
4. 버블 붕괴와 부동산기업 - 미쓰이부동산의 사례
참고문헌

제4장 광공업 구조 변화와 생산성 정체
제1절 제조업의 장기적 동향
1. 거시경제에서 차지하는 제조업의 비중 저하
2. 제조업 내의 구조 변화
3. 무역마찰 및 생산의 해외 이전과 새로운 국제분업의 전개
제2절 1990년대 이후 TFP 상승 둔화의 원인
1. 어떤 산업이 제조업 전체의 TFP 상승을 둔화시켰는가
2. 생산성 동학으로부터 본 TFP 상승 둔화의 원인
3.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생산성 격차 확대
제3절 1960년대 이후 건설업 - 정부투자의 역할과 생산성에 대한 영향
1. 건설업의 개요
2. 건설업과 정부투자의 관계
3. 건설업의 노동생산성
참고문헌

제5장 상업과 서비스 서비스산업의 전개와 정책
제1절 서비스경제화의 가속과 다양화
1. 서비스경제화의 동향과 구조 변화
2. 서비스경제화의 메커니즘
3. 서비스산업 정책의 전개
4. 서비스경제화와 경제·사회
제2절 무역수지 흑자와 해외직접투자의 진전
1. 일본의 무역수지 흑자
2. 수입 경쟁과 국내 산업
3. 해외직접투자의 진전과 무역구조의 변천
4. 변화가 예상되는 일본의 국제무역
제3절 운수와 지역경제
1. 자동차·항공·해운의 추이
2. 자동차
3. 고속도로망의 건설
4. 항공
5. 해운
6. 운수정책과 지역경제
참고문헌

권말 부록 생산·물가·소득의 추정
부표 1 생산·인구·생산요소 투입·분배율·생산성·물가·환율·임금률의 시계열(1970~2017)
부표 2 노동생산성 상승의 원천-성장회계분석
부표 3 산업별 부가가치와 생산요소 투입(1970, 80, 90, 2000, 12년)
부표 4 명목 및 실질 사회자본스톡의 추이
부표 5 명목 국내총지출의 구성(1970~2017)
부표 6 산업별 명목 총산출액과 그 용도 및 명목부가가치의 구성(1970, 80, 90, 2000, 12년)
부표 7 저축·투자균형의 추이(명목GDP 대비 비율, 1955~2016)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