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1자료실 | G0011833 | 대출가능 | - | |
1자료실 | G0011834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G001183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 등록번호
- G001183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북한문제의 국제화로 인해, 북한체제의 안정적 전환에는 미.일.중.러를 비롯한 국제사회의 역할이 중요하고, 따라서 체제전환 과정이 한반도 평화와 통일로 이어지도록 하는 미.일.중.러 등 한국의 동북아 4국 협력 전략에 관한 연구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주의 체제전환과 북한체제 전환의 전략적 과제
1. 사회주의 체제전환의 유형별 사례연구
가. 중국
나. 쿠바
다. 소련
라. 동유럽
2. 북한체제 전환과 전략적 과제
가. 사례연구의 시사점
나. 북한체제 전환의 전략적 과제
Ⅲ. 미?일?중?러 4국의 대북전략 기조와 체제전환의 전략적 과제를 위한 역할
1. 미국의 대북전략 기조와 전략적 역할
가. 미국의 대북전략 기조와 역할
나. 북한체제 전환을 위한 미국의 전략적 역할
2. 일본의 대북전략 기조와 전략적 역할
가. 일본의 대북전략 기조와 북?일관계
나. 북한체제 전환을 위한 일본의 전략적 역할
3. 중국의 대북전략 기조와 전략적 역할
가. 중국의 대북전략과 북?중관계
나. 북한체제 전환을 위한 중국의 전략적 역할
4. 러시아의 대북전략 기조와 전략적 역할
가. 러시아의 대북전략 기조와 북?러관계
나. 북한체제 전환을 위한 러시아의 전략적 역할
Ⅳ. 한국의 동북아 4국 협력전략
1. 전략기조
2. 세부전략
가. 대미전략
나. 대일전략
다. 대중전략
라. 대러전략
미리보기

북한체제 전환을 위한 전략적 과제와 한국의 동북아 4국 협력전략PDF
첨부
번호 | 제목 | 유형 | |||
---|---|---|---|---|---|
1 | 북한체제 전환을 위한 전략적 과제와 한국의 동북아 4국 협력전략 | 3.8 MB |
- 1북한체제 전환을 위한 전략적 과제와 한국의 동북아 4국 협력전략PDF3.8 MB
주제어
같은 분류의 자료
- 중국 9기 전인대 2차회의 결과분석 : 수정헌법 분석을 중심으로
- 연구원발간물북한동향 : 계간, 1998.9
- 북한인권백서, 1999
- 연구원발간물남북한 사회통합 : 비교사회론적 접근
- 미국의 대중·대베트남 관계정상화 과정 비교 :북·미관계 개선에 대한함의
검색 페이지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해 보세요.더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