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신착자료

신착자료

연구원발간물협동연구총서 2013-26-01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추진전략(Ⅱ): 한국의 주변4국 통일공공외교의 실태 연구 (총괄보고서)

발행사항
서울: 통일연구원, 2013
형태사항
320p. : 23cm
총서사항
협동연구총서
ISBN
9788984797482
청구기호
000 협동13-26-01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1자료실G0015071대출가능-
1자료실G001507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G001507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 등록번호
    G001507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한반도 통일문제는 우리 민족 내부의 문제인 동시에 국제적 문제라는 이중적 특성을 갖고 있다. 한반도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소의 분할점령으로 분단되었고, 그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주변국들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동북아의 국제정치적 요충지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반도 통일문제는 주변국들의 이해관계가 깊게 얽혀 있다. 이는 한반도 통일문제에 있어 남북 당사자의 노력과 주변국들의 이해와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 주변국들은 통일한국이 등장하여 동북아 세력관계의 변화가 가져올 불확실성을 경계하고 있다. 통일과정에서의 불안정성이 자국의 안보·경제적 이익을 침해할 수 있고, 통일한국이 자국에 우호적인 세력이 될 것이라는 보장이 없으며, 통일한국의 등장으로 동북아 세력구도가 재편될 가능성이 있고, 통일한국이 군사대국이 될 수 있으므로 주변국들은 한반도 통일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미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저해되지 않는 한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나, 북한지역 경제재건에 막대한 재정지출시 예상되는 한국의 경제적 부담과 한미동맹의 성격 변화를 염려하고 있다. 중국은 한반도 통일이 동북 3성의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과, 북한이라는 정치군사적 완충지대가 사라져 중국의 對한반도 영향력이 축소됨을 우려하고 있다. 일본 역시 공식적으로는 한반도 통일을 지지하나, 실질적으로는 한반도 분단 유지가 일본의 對한반도 정책 운용에 유리하다고 판단, 이를 통해 자국의 정치외교적 발언권 증대로 활용하고 있다. 러시아는 한반도에서의 경제적 확보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나, 통일과정에서의 그 영향력은 대체로 높지않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배경 2. 연구 목적과 내용 3. 연구 추진 방법 4. 연구 기대효과 Ⅱ. 한국 공공외교 수행체계와 ‘통일공공외교’의 분석틀 1. 한국 신공공외교의 추진 배경 가. 신공공외교의 정의 나. 21세기 신공공외교의 등장 배경 다. 한국에게 공공외교의 중요성 2. 한국 공공외교의 수행체계 가. 공공외교의 차원에서 본 한국 외교의 문제점 나. 한국 공공외교의 수행 주체 다. 한국 공공외교 영역에서의 추진 실태 3. 한국 공공외교의 새로운 분야로서의 ‘통일공공외교’ 가. 통일공공외교의 정의 나. 통일공공외교에 대한 5단계 분석틀의 적용 다. 통일공공외교의 전략적 구도 라. 한국의 對각국 통일공공외교 분석을 위한 제언 Ⅲ. 한국의 對주변국 통일공공외교 실태 연구 1. 한국의 對미국 통일공공외교 실태 가. 서론 나. 한국의 對미국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다. 결론: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추진에 주는 시사점 2. 한국의 對중국 통일공공외교 실태 가. 서론 나. 한국의 對중국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다. 결론: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추진에 주는 시사점 3. 한국의 對일본 통일공공외교 실태 가. 서론 나. 한국의 對일본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다. 결론: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추진에 주는 시사점 4. 한국의 對러시아 통일공공외교 실태 가. 서론 나. 한국의 對러시아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다. 결론: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추진에 주는 시사점 5. 한국의 대북 통일공공외교 사례: 북한에서의 한류현상을 통한 주민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가. 서론 나. 북한 주민들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 인식 다. 통일공공외교로서 북한에서의 한류 실태 및 의미 라. 통일공공외교로서 한류 현상의 시사점 Ⅳ. 결론 1. 설문조사 결과의 국가별 비교 가. 기본문항 나. 한국의 공공외교 일반 다. 한국의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라. 한국의 한반도 통일관련 공공외교 2. 한국의 주변4국 통일공공외교 추진 실태 비교 가. 한국의 주변4국 통일외교 비교 나. 주변4국 국민의 통일관련 對한국 인식 비교 다. 한국의 주변4국 통일공공외교 체계 비교 라. 한국의 주변4국 통일공공외교 추진 실태 비교 3. 한국의 통일공공외교에 주는 시사점 가. 통합과 조정의 통일공공외교의 추진체계 구축 나. 새로운 행위자 발굴과 행위자 다변화 다. 수신대상의 확대 라. 특화된 통일담론의 개발 마. 공공외교에 ‘통일’ 테마 결합 바. 다양한 수단과 매체의 개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