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1자료실 | G0008932 | 대출가능 | - | |
1자료실 | G0008933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G000893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 등록번호
- G0008933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목차
Ⅰ. 서 론
1. 문제제기
2. 주요 연구내용 및 접근 방법
Ⅱ. 경제공동체 개념과 기존의 논의
1. 기본 개념
2. 우리 사회의 경제공동체 논의
3. 북한의 경제공동체에 대한 인식
Ⅲ. 경제통합에 대한 이론적 검토
1. 경제통합에 대한 인식론
2. 경제통합의 방법론
Ⅳ. 경제통합과정의 주요 이슈와 시사점
1. 지역간 격차의 해소
2. 경제통합의 경제성장 효과
3. 경제 주권과 경제적 고유성 유지
4. 경제적 상호의존성과 분쟁 감소
Ⅴ. 한반도 경제통합 모형
1. 한반도 경제의 특성과 ‘한반도 경제공동체’
2. 새로운 경제통합 모형의 가능성 모색
3. 한반도 경제통합 모형
Ⅵ. 결 론: 정부의 정책 과제를 중심으로
1. 최근의 상황 전개와 시사점
2. 정부의 접근 전략: 평화프로세스와 경제협력 병행 추진
3. 정부차원의 추진 과제: 경제분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