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성리총서 14

성리학의 개념들

대등서명
理學範疇系統
발행사항
서울 : 예문서원, 2008
형태사항
873 p. ; 24 cm
총서사항
성리총서
ISBN
9788976462411
청구기호
152.4 몽42ㅅ
일반주기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221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221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성리학의 전체적 구조와 그 발전의 문제에 대해 연구하다
성리학은 중국의 통치 사상이자 각 방면의 지배 이념이었다. 주자학이라고도 불리는 성리학은, 유가 사상의 다양한 요소들이 잘 짜여진 개념구조 안에서 체계화된 철학이며 유학이다. 성리학의 등장으로 중국의 사상은 커다란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성리학은 중국 전통사상과 문화 및 그 사유의 흐름을 하나의 체계로 끌어들여, 단순한 도덕적 사상을 체제와 방법을 갖춘 학문으로 나아가게 하였으며,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전파되어 근 천 년 동안 동아시아의 문명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성리학은 오랫동안 우주 자연과 사람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 왔다. 정치적 이념적으로 사회를 지배해 온 성리학의 목적은 결국 자연의 존재와 발전 및 인간의 문제를 풀어가는 것이었다. 성리학은 우주 자연의 존재와 발전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형이상학적인 우주론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본질을 설명하고 인간이 우주 자연계의 중심에 있음을 밝힌 인간론, 자기 자신에 대한 인식과 실천, 수양의 과정을 통해 우주론과 인간론이 가지고 있는 대립적인 측면을 극복하고 통일을 실현한 도덕론으로 이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개념들은 논리적 모순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성을 말할 때 한편으로 ‘천지지성’이라는 보편적이고 절대적인 성을 말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기질지성’이라는 개별적이고 상대적인 성을 말하기도 한다. 또 어느 곳에서는 ‘리기불상리’라고 하여 리와 기는 서로 떨어질 수 없다고 하면서도 다른 곳에서는 ‘리기불상잡’이라고 하여 리와 기는 서로 섞일 수 없다고 말하는 것 등이다. 성리학이 완성된 이래 많은 학자들은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의견을 주고받으며, 주자학적 체계 내에서 해명하고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이 책에서는 각각의 개념들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이러한 모순을 해결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성리학의 주요 사상은 대립된 개념쌍을 통해 드러난다. 리와 기, 천리와 인욕, 체와 용, 심과 성, 성과 정, 지와 행 등과 같이 성리학의 개념들은 각기 짝을 이루어 상호 연관된 유기적 체계를 구축하고, 성리학이 정립된 이후 학자들 사이에서 늘 논란의 대상이 된 논리적 모순을 극복하고 있다.

개념을 좇아 떠나는 성리학사 기행
『성리학의 개념들』은 중국 사회과학원의 몽배원 교수가 저술한 『리학범주계통理學範疇系統』을 우리말로 옮긴 책이다. 성리학의 전체적 구조와 그 발전의 문제에 대한 연구의식을 가진 저자는 성리학의 개념에 따라 중국 전통사상과 문화 및 그 사유의 특징을 모색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리기’, ‘심성’, ‘지행’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성리학의 개념들을 이해하고 있다. 원저에는 리기’, ‘심성’, ‘지행’, ‘천인’의 4편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나, 본 번역본에서는 ‘천인’편을 제외하였다. 또한 원저 각 편의 각 장에는 소목차가 없었으나, 이 책의 역자들은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송대 이전, 북송시대, 남송시대, 원명시대, 명말청초로 시대를 나누고, 각 시기를 살았던 학자들의 사상을 재조명하고 있다. 90년대 이후 중국에서 철학 연구에 관한 새로운 연구 방법이나 관점 및 저술이 뚜렷이 드러나지 않고 있음을 생각할 때, 이 책은 원전 자료가 비교적 풍부하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어 중국 성리학을 연구하고 이해하는 데 가치가 있다.
목차

제1부 리기론
총론 / 제1장 리와 기 / 제2장 도와 기 / 제3장 태극과 음양 / 제4장 리일과 분수
제5장 신과 화 / 제6장 일과 양 / 제7장 형상과 형하 / 제8장 체와 용

제2부 심성론
총론 / 제9장 성과 명 / 제10장 심과 성 / 제11장 천지지성과 기질지성
제12장 성과 정 / 제13장 미발과 이발 / 제14장 인심과 도심 / 제15장 리와 욕

제3부 지행론
총론 / 제16장 지와 행 / 제17장 격물과 치지 / 제18장 덕성지와 견문지
제19장 함양과 성찰 / 제20장 경과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