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북한 일상생활연구 1

북한의 일상생활세계: 외침과 속삭임

발행사항
파주 : 한울, 2010
형태사항
519 p. ; 23cm
ISBN
9788946052123
청구기호
309.1115 박57ㅂ
일반주기
기획: 동국대학교 북한일상생활연구센터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2239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223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 이 책은

역사학계에서는 1990년대부터 정치·경제사가 아니라 개인의 일상생활을 분석해 사회변동의 원인을 찾으려는 일상연구방법론이 각광을 받았다. 1990년대 중반부터 탈북자가 급증하고 냉전 이데올로기가 해체되는 등 남북한을 둘러싼 사회변화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런 상황 하에 북한 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변화를 해석하는 데 권력과 공식문헌 중심의 연구에 한계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일상연구방법론을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북한의 변동이 가져올 다양한 파급에 대비해야 할 남북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북한 주민의 일상생활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이 책의 필자 중 한 명이 김종욱 동국대학교 북한일상생활연구센터 연구교수는 1990년대 이후 북한의 증여 시스템(배급제)이 붕괴된 이후 주민들의 지배권력에 대한 일상적 저항-노동자들이 공모를 통해 집단적으로 출근을 거부하고, 시장의 상행위에 참가해 사적 이익을 도모하거나, 작업장에서의 고의적인 태만, 지각 등-에 주목한다. 또 다른 필자인 김기봉 경기대학교 사학과 교수는 “여전히 주체사상이 북한사회를 지탱하는가”라는 질문에 일상 분석을 통해 답할 수 있다고 하면서 아리랑 축전 준비과정에 대한 탈북자의 증언을 예로 든다.

일상연구는 아래로부터의 역사를 연구한다. 아래층에서 이루어지는 일들은 때로는 지도자나 중앙관료의 힘보다 사회의 모습을 결정짓는 데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런 관점에서 북한 일상사연구는 단순히 아래층의 일상을 관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북한 주민의 생활모습 변화가 어떤 사회적 압력으로 작용해 북한 체제의 변화와 연결되는지를 검토하는 상호작용 모델로서 기능한다.


⊙ 출간의의

동국대학교 북한학과 북한일상생활연구센터가 한국연구재단 연구과제[북한 일상생활세계의 아카이브 구축과 연구방법론 개발: 체제변화 동학과 일상생활세계의 연계모델(KRF-2007-322B00006)]를 수행하면서 내놓는 연구결과다. 북한학 연구계에서 북한의 일상사를 다루는 시도는 처음 있는 일이다. 북한 일상생활연구에 대한 분석 틀을 서구의론에 의존하지 않고 독창적으로 만드는 한편, 북한의 일상생활을 들여다볼 수 있는 연구자료를 발굴하고 수집해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이를 기초로 실제 각 주제영역(시장, 노동, 관료, 교육)별로 사례연구를 수행해 이념과 체제 아래 감추어져 있던 북한의 생활세계를 드러내는 데 한걸음 다가섰다.
목차
프롤로그 제1부 일상생활연구의 이론과 실제: 독재와 파시즘, 그리고사회주의체제 제1장 스탈린 체제 일상사연구의 현황과 쟁점 _박원용 제2장 중국 기층사회에서 일어난 문화대혁명과 인민의 일상 _장윤미 제3장 일상사연구와 파시즘: ‘사소한 것’을 특별하고 진지하게 다루기! _김보현 제4장 북한에 대한 일상사연구의 가능성과 의미 _김기봉 제5장 일상에서 보물찾기: 일상생활의 사회학 _정영철 제2부 북한 일상생활연구의 접근방법 모색 제6장 북한 일상생활연구의 방법론적 모색 _박순성·고유환·홍민 제7장 북한 일상생활 연구자료의 생성과 해석: 구술자료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_이희영 제8장 북한 관료들의 일상생활세계: 회색의 아우라 _김종욱 제9장 북한 시장일상생활연구: 그로테스크와 부조리극 ‘사이’에서 _홍민 제10장 북한의 붉은 공장과 노동일상세계: ‘아우라’ 없는 노동일상에 관한 접근 _차문석 제11장 북한 교육일상연구: 과제와 접근방법 _조정아 좌담_일상생활연구의 가능성과 북한 이해 그림 및 원고 출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