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증도서
북·중 접경지역: 전환기 북·중 접경지역의 도시네트워크
- 개인저자
- 이옥희 저
- 발행사항
- 서울 : 푸른길, 2011
- 형태사항
- 301 p. :. 천연색삽화, 지도 ;. 23 cm
- ISBN
- 9788962911510
- 청구기호
- 309.21 이65ㅂ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0001319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0001319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동북아 지역 발전의 가늠자,
북·중 접경지역의 새로운 가능성을 예측하다.
금지 구역과 교류의 장
얼어붙은 두만강에서 얼음낚시를 즐기는 중국 주민들 뒤로 북한 땅이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보인다. 고려인들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는 핫산 남쪽의 녹둔도, 핫산 역 대합실에서 고향으로 가는 열차를 기다리는 북한의 노동자들은 북한과 러시아의 출입 통로를 오가는 이웃이었다. 높은 철책이 둘러 있어 현재 교전 중임을 알려 주는 북한과 남한의 비무장지대는 비교되는 모습이다. 일반적으로 ‘접경지역’이란 나라와 나라의 영역을 가르는 국경에 인접한 지역을 말한다. 국경은 그 역할과 기능에 의하여 ‘장벽’으로, 접경지역은 쉽게 접할 수 없는 ‘금지 구역’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경계로서 국경은 인위적이고 가변적인 성향으로 인접국 간 관계에 따라 접경지역의 성격과 기능이 달라진다. 인접국과 우호적인 관계가 유지될 때에는 경제적 및 문화적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공간이 되지만, 양국이 적대적 관계에 있으면 군사적 기능이 강화되면서 교류와 접촉이 차단된 분리 및 분절의 공간이 된다. 그러나 사회주의의 해체와 세계화의 진전으로 국경의 의미와 기능이 상당 부분 변화하였다. 세계의 많은 국경이 개방되면서 국가 간의 협의에 따라 그 기능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접경지역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소외된 변방과 대륙의 관문
이 책은 이와 같은 급변의 양상을 보이는 세계 정치의 흐름 속에서, 전환기 북한의 접경지역(압록강과 두만강 양안)의 변화를 자연적·역사적·경제적 등의 측면에서 총체적인 시각으로 정리하였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학술 연구의 결과물이기도 한 이번 저작물은 중국, 일본 등에서조차 구하기 어려운 각종 통계 자료를 재구성한 도표가 접경지역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그동안 뉴스를 통해서만 접해 오던 북한 접경지역의 모습을 보다 가까이에서 촬영한 수십 장의 사진을 통해 만나 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체제가 대치하던 변방으로 여겨지며 개발 과정에서 늘 소외되어 왔던 이 지역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지도를 첨부하였다. 이를 통해 이 지역이 지리적인 근접성과 상호보완성이라는 이점을 지닌 대륙의 관문으로서 재평가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 북·중 접경지역이 변화를 통해 협력과 통합의 장소로 새롭게 성장하게 된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며, 나진항을 핵심으로 한 초국경적 도시네트워크로 나아갈 수 있는 공간적 발전 과정을 전망하여 지도로 완성하기까지 이 주제에 관하여 집대성하였다.
동북4성과 통일 한반도
북·중 간 교류와 협력의 강화는 북한의 개방을 가속화시키고 북한 경제 회복의 촉진제가 될 것이다. 그러나 협력의 성격이나 규모에 따라 중국이 북한을 독점 배후지로 전락시켜 기형적인 공간 구조를 낳게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국 중심으로 공간이 재편된다면 우리의 영향력은 축소될 뿐만 아니라, 통일 이후 한반도의 국토 발전 전략에도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 앞으로 이 지역에서 발전 계획은 계속해서 생겨날 것이다. 이는 북·중 접경지역의 거점도시가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며, 어떻게 연계되어 보다 강화된 초국경적 협력 관계를 만들어 나갈 것인지 예측해 볼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전환기에 있는 북·중 접경지역을 총체적인 시각에서 살펴보는 이유이다.
북·중 접경지역의 새로운 가능성을 예측하다.
금지 구역과 교류의 장
얼어붙은 두만강에서 얼음낚시를 즐기는 중국 주민들 뒤로 북한 땅이 손에 잡힐 듯 가깝게 보인다. 고려인들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는 핫산 남쪽의 녹둔도, 핫산 역 대합실에서 고향으로 가는 열차를 기다리는 북한의 노동자들은 북한과 러시아의 출입 통로를 오가는 이웃이었다. 높은 철책이 둘러 있어 현재 교전 중임을 알려 주는 북한과 남한의 비무장지대는 비교되는 모습이다. 일반적으로 ‘접경지역’이란 나라와 나라의 영역을 가르는 국경에 인접한 지역을 말한다. 국경은 그 역할과 기능에 의하여 ‘장벽’으로, 접경지역은 쉽게 접할 수 없는 ‘금지 구역’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경계로서 국경은 인위적이고 가변적인 성향으로 인접국 간 관계에 따라 접경지역의 성격과 기능이 달라진다. 인접국과 우호적인 관계가 유지될 때에는 경제적 및 문화적 교류와 협력이 활발한 공간이 되지만, 양국이 적대적 관계에 있으면 군사적 기능이 강화되면서 교류와 접촉이 차단된 분리 및 분절의 공간이 된다. 그러나 사회주의의 해체와 세계화의 진전으로 국경의 의미와 기능이 상당 부분 변화하였다. 세계의 많은 국경이 개방되면서 국가 간의 협의에 따라 그 기능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접경지역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소외된 변방과 대륙의 관문
이 책은 이와 같은 급변의 양상을 보이는 세계 정치의 흐름 속에서, 전환기 북한의 접경지역(압록강과 두만강 양안)의 변화를 자연적·역사적·경제적 등의 측면에서 총체적인 시각으로 정리하였다.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된 학술 연구의 결과물이기도 한 이번 저작물은 중국, 일본 등에서조차 구하기 어려운 각종 통계 자료를 재구성한 도표가 접경지역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그동안 뉴스를 통해서만 접해 오던 북한 접경지역의 모습을 보다 가까이에서 촬영한 수십 장의 사진을 통해 만나 볼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체제가 대치하던 변방으로 여겨지며 개발 과정에서 늘 소외되어 왔던 이 지역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지도를 첨부하였다. 이를 통해 이 지역이 지리적인 근접성과 상호보완성이라는 이점을 지닌 대륙의 관문으로서 재평가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 북·중 접경지역이 변화를 통해 협력과 통합의 장소로 새롭게 성장하게 된 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며, 나진항을 핵심으로 한 초국경적 도시네트워크로 나아갈 수 있는 공간적 발전 과정을 전망하여 지도로 완성하기까지 이 주제에 관하여 집대성하였다.
동북4성과 통일 한반도
북·중 간 교류와 협력의 강화는 북한의 개방을 가속화시키고 북한 경제 회복의 촉진제가 될 것이다. 그러나 협력의 성격이나 규모에 따라 중국이 북한을 독점 배후지로 전락시켜 기형적인 공간 구조를 낳게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국 중심으로 공간이 재편된다면 우리의 영향력은 축소될 뿐만 아니라, 통일 이후 한반도의 국토 발전 전략에도 차질이 생길 수밖에 없다. 앞으로 이 지역에서 발전 계획은 계속해서 생겨날 것이다. 이는 북·중 접경지역의 거점도시가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며, 어떻게 연계되어 보다 강화된 초국경적 협력 관계를 만들어 나갈 것인지 예측해 볼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전환기에 있는 북·중 접경지역을 총체적인 시각에서 살펴보는 이유이다.
목차
머리말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지역
3. 연구방법
4. 선행연구
Ⅱ. 접경지역의 변화와 국경 도시네트워크의 형성: 이론적 배경
1. 개방화와 접경지역의 변화
1) 접경지역의 의미와 기능의 변화
2) 접경지역에서의 상호 협력과 교류
2. 국경 도시네트워크의 형성과 도시체계 이론
Ⅲ. 북ㆍ중, 북ㆍ러 접경의 지역특성
1. 자연지리적 특성
1) 지형 특성
2) 기후 특성
2. 천연자원의 분포와 개발
1) 삼림자원
2) 수력
3) 광물자원
3. 이주 조선인의 점이지대 형성 과정
1) 19세기 중엽 - 정치ㆍ사회적 혼란과 조선 이주민의 잠입(潛入)
2) 19세기 말 - 봉금령의 해제와 조선 이주민의 정착
3) 일제의 조선 침략 초기 - 파산 농민의 이주
4) 일제의 만주점령기 - 파산 농민의 강제 이주
4. 국경선과 잠재된 국경 분쟁
1) 국경선과 영토 문제
2) 국경 하천의 이용과 문제점
Ⅳ. 국경 연결로와 변경도시
1. 국경 연결로
1) 국경 출입 통로
2) 접경지역의 교통로
2. 변경도시의 발달
1) 변경도시의 형성
2) 주요 변경도시의 분포와 특성
Ⅴ. 북ㆍ중 변경무역과 국경 도시네트워크
1. 변경무역과 변경구안의 발달
1) 북ㆍ중 변경무역의 발달
2) 북ㆍ중 변경구안의 분포와 특성
2. 접경지역의 교류와 국경 도시네트워크의 형성
1) 화물과 사람의 교류
2) 물류 이동과 국경 도시네트워크
Ⅵ. 동북아 지역 협력 개발과 초국경 도시네트워크
1. 두만강 개발계획과 거점도시의 출현
2. 경제특구의 조성과 변경도시의 발전
3. 동북진흥전략과 초국경적 협력 개발
4. 나진-핫산 프로젝트와 해양-대륙 연계로
Ⅶ. 결론: 초국경 도시네트워크의 발전 전망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