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1자료실 | 00013381 | 대출가능 | - | |
1자료실 | 0001338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0001338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 등록번호
- 0001338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중국의 부상은 한반도에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가? 현재의 강대국 관계와 한국의 위상은 친중이냐 아니냐의 단선적 선택을 요구하지도 허용하지도 않는다. 부상하는 중국이 한국에 가져오는 전략적 딜레마를 보수/진보의 이분법을 벗어나 균형 있게 다룬 이 책은 학계와 정책서클 모두에게 필독서가 될 것이다.” 한승주(고려대 명예교수, 전 외무부 장관)
목차
서문
제1장 중국의 ‘부상,’ 미국, 그리고 한반도의 미래
1. 중국의 ‘부상’: 대전제의 평가
2. 중국의 부상, 미국, 그리고 동아시아의 불확실성
3. 한반도의 과거와 미래: 역사, 인식, 구조적 제약
4. 자료와 방법론에 대하여
5. 책의 구성
제1부 냉전기의 중국과 한반도
제2장 냉전기의 한-중 관계
1. 적대관계에서 상호 간의 관심으로
2. 한-중 관계 변화의 배경과 동인(動因)
제3장 냉전기의 북-중 관계
1. 북-중 관계의 형성: 1950년대의 동학(動學)
2. 중-소 분쟁과 1960년대의 북-중 관계
3. 1970년대의 데탕트와 북-중 관계
4. 냉전기의 북-중 관계: 소결
제2부 전환기의 중국과 한반도
제4장 전환기의 한-중 관계(I): 교류 확대의 정치경제
1. 한-중 간 상호 탐색기(1979-1983)
2. 관계 개선의 초기단계(1984-1987)
3. 관계 개선 초기의 한-중 간 경제교류
4. 한-중 관계에 대한 정치적 제약
제5장 전환기의 한-중 관계(II): 관계 회복의 정치경제
1. 도약기의 한-중 관계(1988-1990)
2. 관계 회복기의 한-중 관계(1991-1992)
3. 한-중 교역(1988-1992)
4. 한국의 대 중국 투자(1988-1992)
5. 한-중 관계 기반 구조의 발전
6. 한-중 관계 발전에 대한 외부적 제약
제6장 한-중 국교 정상화의 정치
1. 엘리트의 인식과 비공식 채널의 역할
2. 관료정치의 제(諸) 요인
3. ‘동해사업’(東海事業): 사실과 교훈
제7장 전환기의 북-중 관계
1. 전환기 북한 대외관계의 주요 변화
2. 북한의 대외환경 변화에 대한 논의
3. 북한의 대내적 환경 변화에 대한 평가
4. 한-중 관계의 개선과 북-중 관계의 변환
5. 소결
제3부 탈냉전기의 중국과 한반도
제8장 수교 이후 탈냉전 시기의 한-중 관계
1. 탈냉전기 동아시아의 전략적 불확실성
2. 수교 이후의 한-중 관계: 보완, 경쟁 및 협력의 정치경제
3. 경제협력을 넘어서: 전략적 제휴 가능성의 모색
제9장 한-중 밀월기(蜜月期)의 종언: 통상 갈등의 정치경제
1. 마늘분쟁의 기원: 한국 내 정치역학
2. 중국의 보복조치: 정치경제적 배경
3. 분규 타결의 정치
4. 비교적 관점에서 본 한-중 마늘분쟁
5. 2005년 김치파동의 급습: ‘정상적 관계’의 정착?
제10장 한-중 역사분쟁과 ‘연성 갈등’의 도전
1. 한국 내 대 중국 인식의 변화
2. ‘동북공정’: 한-중 간 역사관의 충돌
3. 한-중 관계에서의 ‘연성 갈등’과 전망
제11장 북-중 관계의 변환과 한반도의 국제정치
1. 북핵 문제와 북-중 관계
2. 중국의 대 북한 영향력 평가
3. 북-중 관계의 변환 가능성과 ‘정상적 관계’로의 전환
제4부 중국의 부상, 미국, 그리고 한국의 전략적 선택
제12장 중국의 부상과 한-미 관계: 인식과 정책의 변화
1. 중국의 부상과 한국의 대 중국 인식 변화
2. 대 중국 인식의 양면성과 모호성
3. 한-미 관계의 경색: 균열의 공간?
제13장 동맹과 동반자 사이에서: 한국의 전략적 선택은 무엇인가?
1. 중국의 미래에 대한 전망: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서
2. 전략적 대안의 범위와 합리적 선택
3. 미-중 간의 수렴점(收斂點)과 한국의 선택
4. 21세기의 불확실성과 한국 외교
제14장 명민외교를 위한 제언
1. 명민외교의 개념과 내용
2. 뒤집어 보는 사례: 만약 명민외교가 이루어졌다면?
3. 책을 맺으며
부록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