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연구원발간물

중국의 부상에 따른 동북아 전략환경의 변화와 한반도

개인저자
배정호 편
발행사항
서울 : 통일연구원, 2011
형태사항
258 p. ; 26 cm
ISBN
9788984796294
청구기호
000 기타11-03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1자료실G0013348대출가능-
1자료실G001334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G001334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 등록번호
    G001334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동북아 전략환경은 미국이 미·일동맹을 기반으로 하여 주도하였으나, 미국발 금융위기가세계 경제 위기로 확산되면서 미국의 국력도 약화되는 조짐을 보였다. 반면, 중국은경제력의 성장을 기반으로 소위 ‘G2’로까지 부각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의 국력과 정치적 영향력에 대해 과대평가를 함은 물론, 북한과 관련된 중국의 역할에 대해서도 그릇된 기대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중국의 대북전략은 지극히 단기적이고 협소한 차원의 자국 국익에 역점을두고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통일을 지향하는 한국의 기대와는 상당한 괴리가 있다.한국은 중국에 대해 협력의 대상뿐 아니라 극복의 대상으로서도 인식하여야 하며, 아울러 중국의 국력의 허와 실, 중국의 대외전략과 대외관계 그리고 대북전략 등에 대해서도 냉철하게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중국의 경제력 규모가 G2로까지 성장하였지만, 중국 지도자들이 고민하고 있는 것처럼, 내부적으로 해결하기 쉽지 않은 많은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중국의대북전략도 북한을 개혁·개방으로 이끌기에는 상당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서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중국의 G2 부상이 동북아 전략환경에 어떤 변화를 초래하며, 한반도 통일의 대외적 환경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등에관해 분석·연구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서는 제1부에서는 중국의 G2 부상과 동북아 전략환경의 변화를 대주제로 다루었고, 이에 대한 이해와 분석의 심도를 높이기 위해 제2부에서는 중국의 G2 부상과 중동·중앙아시아의 전략환경 변화를 다루었으며, 제3부에서는 극동지역의 개발과 한·중·러 전략적 이해관계 등을 대주제로 다루었다. 본 연구서가 단행본으로 출간되는 데는 통일연구원의 이효민 연구원을 비롯한 고의찬연구원, 박지숙 연구원, 신은미 연구원 등이 교정 및 편집을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주었다. 편저자의 입장에서는 이 연구서가 동북아에서의미·중관계, 중·러관계, 중·일관계등에 대한 이해를 비롯하여 중동·중앙아시아에서의미·중·러 전략적, 상하이협력기구, 두만강 및 극동시베리아 개발과 한·중·러 전략적 이해관계 등을 이해하는 데 유익한 학문적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목차
서문 서장. 중국의 부상과 한반도/ 배정호(통일연구원 국제관계연구센터 소장) 제1부. 중국의 부상과 동북아 전략환경 변화 Ⅰ. 중국의 부상 이후, 미국의 대중 안보전략과 미·중 전략적 관계/ 박재적(통일연구원 국제관계연구센터 부연구위원) Ⅱ. 변화와 조정: 동아시아의 미·중관계 및 안보 원동력/ Zhu Feng(북경대학교 국제관계학원 교수) Ⅲ. 중국·러시아의 전략적 관계: 협력과 우려/ Alexander Lukin(모스크바 국제관계대학 교수) Ⅳ. 중국의 부상 이후, 미·러 전략적 관계/ Sergey Sudakov(모스크바 국제관계대학 교수) Ⅴ. 변화하는 동아시아 질서 속의 중·일관계/ Gui Yongtao(북경대학교 국제관계학원 교수) 제2부. 중국의 부상과 중동·중앙아시아의 전략환경 변화 Ⅵ. 경쟁과 연계: 중앙아시아에서의 러시아, 중국, 그리고 미국/ Abraham Denmark(미국 해군분석센터 선임연구위원) Ⅶ. 중동에서의 미·중·러 전략적 이해관계/ 인남식(외교안보연구원 유럽·아프리카 연구부 부교수) Ⅷ. 중국의 대외전략과 상하이협력기구/ 이기현(통일연구원 국제관계연구센터 부연구위원) Ⅸ. 중국의 부상과 티베트, 신장지역의 지전략적 함의/ 서정민(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 제3부. 극동지역의 개발과 한·중·러 전략적 이해관계 Ⅹ. 두만강유역 개발과 중국의 전략: ‘창지투 개발계획’을 중심으로/ 원동욱(동아대학교 국제학부 중국학과 교수) XI. 러시아 극동 시베리아 개발과 한·러 전략적 이해관계/ 우평균(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HK연구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