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기증도서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 14

북한의 조선어학전서 연구

개인저자
권재일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1
형태사항
xv, 270 p. :. 도표 ;. 24 cm
총서사항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
ISBN
9788952112675
청구기호
701.09 권72ㅂ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358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358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북한 언어학의 모든 역량이 집대성된 『조선어학전서』를 분석하다
2005년 북한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가 발간한 『조선어학전서』 47권은 분단 이후 지난 60년간의 북한의 모든 언어학 연구 성과가 집대성된 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언어 이론과 언어 정책, 문법 구조, 의미와 어휘 구조, 역사, 방언, 사전 등을 언어학의 제 분야를 총망라하고 있다. 특히 최신의 언어공학 이론을 전면적으로 수용하여 컴퓨터를 통한 음성정보처리와 자연어처리, 검색 등까지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본서는 이러한 『조선어학전서』 분석을 통해 북한 언어학의 성과와 특징을 검토하는 최초의 연구서이다.

북한의 언어이론, 어떻게 같고 또 어떻게 다를까.
북한은 “주체의 언어리론”이라는 나름의 독특한 언어이론을 지니고 있다. 이는 “사람 중심의 철학적 세계관에 기초하여 과학적으로 해명된 새로운” 언어관으로서, 이전의 “물질과 의식의 상호관계에서 고찰된” 이론과는 전혀 다른 성격을 지닌다. 북한은 이러한 언어관을 기반으로 “언어는 자주성을 실현하기 위한 투쟁의 무기”라 주장하고 “인민대중이 언어를 발전시키는 실제적인 주인”이라 인식한다. 이러한 언어이론은 한자를 폐지하고 외래어를 적극적으로 정리하며, 언어 정화 사업을 펼치고 새로운 조어를 거리낌없이 만들어내는 북한의 언어 정책의 기반이 된다.

남북한의 언어학은 통일을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가
이 책을 집필한 권재일 서울대 교수는 지속적으로 북한의 언어 연구 전반에 대해 오랫동안 구체적인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연구한 학자이자, 그간 남북한 언어학자들의 접촉과 공동 연구에서 남측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여 온 바 있다. 특히 한국의 국어 정책을 연구하고 수행하는 중심 기관인 국립국어원장을 맡아 새터민에게 표준어를 교육하고 재외동포의 언어를 연구하는 등 한국어의 미래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을 놓지 않은 학자이기도 하다. 그는 이 책에서 남북한이 공동으로 편찬하고 있는 <겨레말큰사전>에서 어떤 식으로 남북이 의견을 교환하고 합의에 도달하는가에 대한 자료를 보여주며, 현장에 있는 학자의 고민을 숨기지 않고 드러낸다. 나아가 단순히 북한의 언어이론을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남북한이 1)언어공학 관련 학술 교류와 전자사전 구축, 2)남북 각 지역의 방언 수집, 3)전문용어 통일과 어문규범 단일화에 나서야 한다는 적극적인 제안을 함으로써 남북의 언어 연구가 현실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제1장 연구 개관 1. 연구 목적 2. 연구 대상: 『조선어학전서』의 성격 제2장 주체의 언어 이론 1. 주체의 언어 이론 개관 2. 주체의 언어 이론 특징 3. 언어 본질과 기능에 관한 이론 4. 민족어 고수에 관한 이론 5. 언어 발전에 관한 이론 6. 평양문화어 건설에 관한 이론 7. 언어생활에 관한 이론 8. 글자 개혁에 관한 이론 제3장 우리말 연구사 1. 우리말 연구사 개관 2. 우리말 연구사의 대상과 방법 3. 신지글자와 단군 시대의 연구 4. 이두와 삼국 시대∼고려 시대의 연구 5. 훈민정음 창제와 15∼17세기의 연구 6. 18∼19세기의 연구 7. 주시경과 20세기 초반의 연구 8. 조선어학회 활동과 20세기 중반의 연구 제4장 말소리 연구 1. 말소리 연구 개관 2. 모음 체계 연구 3. 자음 체계 연구 4. 소리마루 연구 5. 음운 현상 연구 제5장 문법 연구 1. 문법 연구 개관 2. 단어조성론 연구 3. 품사론 연구 4. 형태론 연구 5. 문장성분 연구 6. 문장 구성 연구 제6장 의미-어휘 연구 1. 의미-어휘 연구 개관 2. 의미의 종류 3. 단어의 의미 구조 연구 4. 문장의 의미 구조 연구 5. 담화의 의미 구조 연구 6. 변형생성문법 연구 제7장 언어사 연구 1. 언어사 연구 개관 2. 언어사의 시대구분 3. 언어사의 연구 대상 4. 문법의 변화 발전 연구 5. 문체의 변화 발전 연구 제8장 방언 연구 1. 방언 연구 개관 2. 방언 일반에 대한 논의 3. 방언의 어음 연구 4. 방언의 어휘 연구 5. 방언의 문법 연구 제9장 언어공학 연구 1. 언어공학 연구 개관 2. 글자공학 연구 3. 문법공학 연구 4. 전자사전 연구 제10장 언어규범 연구 1. 언어규범 연구 개관 2. 언어규범 일반에 대한 논의 3. 어음론적 규범화 연구 4. 어휘-의미론적 규범화 연구 5. 형태론적 규범화 연구 6. 문장론적 규범화 연구 7. 글말규범의 변화 발전 연구 8. 발음규범의 변화 발전 연구 제11장 사전편찬 연구 1. 사전편찬 연구 개관 2. 사전의 기본 개념 3. 사전의 올림말 연구 4. 사전의 뜻풀이 연구 제12장 맺음말 1. 『조선어학전서』의 연구사적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