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G0013652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G001365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홍재환]
제1절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제2장 시민사회와 국제개발협력 [한재광]
제1절 개념과 특징
1. 국제개발협력
2. 시민사회
3. 개발NGO
4. 시민사회단체(CSO)
제2절 이론적 논의
1. 국제개발협력과 시민사회의 참여
2. 신정책의제와 시민사회 참여의 확대
제3절 역사적 배경
1. 1940년대 이전
2. 1950-60년대
3. 1970년대
4. 1980년대
5. 1990년대
6. 2000년대
제3장 선진공여국의 시민사회지원정책 [한재광]
제1절 선진공여국의 시민사회지원 현황
1. 지원방식
2. 지원목적
3. 지원규모
4. 재정지원방식(Funding Mechanism)
제2절 선진공여국 시민사회지원 정책의 주요흐름
1. 공여국 개발원조정책과의 '조화와 일치'
2. CSO의 개발효과성 제고
3. 국제개발협력에서의 비전통적 시민사회단체(CSO)의 참여확대
제4장 해외사례 분석 [홍재환]
제1절 OECD/DAC 10개 회원국의 시민사회협력정책 분석
1. 뉴질랜드
2. 덴마크
3. 룩셈부르크
4. 벨기에
5. 스위스
6. 아일랜드
7. 이탈리아
8. 캐나다
9. 포르투갈
10. 호주
제2절 네덜란드, 스웨덴,영국 3국의 시민사회협력정책 분석
1. 네덜란드의 ODA의 시민사회협력 정책
2. 스웨덴의 시민사회협력정책
3. 영국의 시민사회협력정책
제5장 한국 ODA의 시민사회 협력정책의 현황과 평가 [홍재환ㆍ한재광]
제1절 한국 ODA의 국제개발협력 시민사회 지원 정책의 현황과 특징
1. 지원 역사와 규모
2. 지원사업 지역과 분야
3. 지원프로그램
제2절 한국 ODA의 '국제개발협력분야의 비전통적 시민사회 단체(CSO)'지원의 현황과 과제
1. 개념규정
2. 국제개발협력분야에서의 전통적 시민사회단체인 개발NGO 현황
3. 국제개발협력분야에서의 비전통적 시민사회단체(CSO) 참여현황
4. 비전통 시민사회단체에 대한 ODA지원 관련 이슈 및 과제
: 시민사회 및 정부 관계자 간담회를 중심으로
제6장 한국 ODA의 시민사회협력프로그램 개선방안 [홍재환ㆍ한재광]
제1절 정책 방향
제2절 프로그램 방안
1. 단기적 방안: 2012-2015년
2. 중ㆍ장기적 방안
제3절 프로그램 추진 방안
1. 1단계: 2012-2015년
2. 2단계: 2016년 이후
참고문헌
부록
부록 A. OECD/DAC 10개 회원국의 시민사회 협력 프로그램
부록 B. 영국의 시민사회 협력 프로그램 참가 단체
부록 C. 국내외 인터뷰 대상자 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