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1자료실 | G0013816 | 대출가능 | - | |
1자료실 | G0013817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G001381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 등록번호
- G0013817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I. 문제제기
○북한 내 체계적이고 중대한 인권침해 실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관심표명과 개선 촉구는 유엔 등 국제사회 개별국가 민간단체 차원에서 다양하게 추진되어 왔음
-정부도 북한인권 개선을 주요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국내외 협력체계를 강화하고자 노력함
-김정일 사망 이후 김정은 후계체계 구축과정 및 핵 미사일문제 등으로 인해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의제 다변화 노력도 다시 강화되고 있음
-탈북자 북송금지 캠페인과 함께 북한 인권문제 전반에 대한 홍보노력도 확산되고 있음
○북한체제의 구조적인 인권침해를 보다 극명하게 부각시키기 위해 정치범 수용소 내 인권상황 등을 바탕으로 반인도범죄에 대한 형사적 처벌방안 논의가 지속되고 있음
-북핵문제 등에 비해 북한 인권문제가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다는평가에 기반 함
- 유엔차원의 북한 인권조사위원회 설립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본 연구는 최근 국제사회의 북한인권 관련 동향을 유엔기구 개별국민간단체 차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우리 정부의 국제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3월 통과된 유엔인권이사회의 대북 인권결의를 중심으로 유엔인권기구의 동향을 검토함
-개별국가 차원에서는 미 하원을 통과한 미국 북한인권법 재승인 법(2012)과 2004, 2008년 법안의 내용을 비교분석함
-민간단체차원에서는 북한 인권조사위원회 설립 촉구를 중심으로 활동상황 및 의미 등을 파악함...
목차
I.문제제기 /1
II.유엔의 북한인권 관련 최근 동향 /2
1.인권이사회 북한인권결의 무투표 채택 /2
2.북한인권결의 반대국가들의 입장 /3
3.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 보고서 제출 /5
III.2012 미국 북한인권재승인법안 /11
1.2012 북한인권재승인법안 내용 /11
2.구법과의 비교 /12
3.2012 북한인권재승인법안의 특징 /13
IV.국제형사재판 회부 및 북한인권조사위원회 설립 촉구 /14
1.관련 단체 활동 /15
2.유엔 조사위원회 활동사례 /16
3.평가 및 시사점 /24
V.정책과제 /25
1.북한인권 실태조사 강화 /25
2.북한인권 개선 실행전략 구체화 /26
3.한국의 북한인권법 논의 구체화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