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G001408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001408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연구목적 및 의의
제3절 연구문제
제4절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제5절 논문의 구성
제2장 전지구화시대의 민족국가 정체성
제1절 정체성 개념 고찰
제2절 근대 민족국가와 민족국가 정체성
제3절 전지구화(globalization) 시대의 민족국가 정체성
제4절 소결
제3장 북한 주민의 정체성과 탈북의 의미
제1절 북한 주민의 정체성 형성과 구조
1. 북한의 정치·경제와 계층 구조
1) 북한의 정치·경제 체제
2) 북한 사회의 계층 구조
2. 북한의 주체사상과 민족주의
1) 북한의 주체사상
2) 북한의 민족주의
3. 북한 주민의 가치관과 삶의 방식
제2절 북한 주민의 탈북 동기와 과정
1. 북한 주민의 탈북 동기
2. 탈북 과정과 경로
제3절 북한 주민의 탈북과 그 의미
1. 탈국경의 경험
2. 정체성의 혼란
1) 새로운 삶과 정체성의 혼란
2) 가족 해체와 정체성의 혼란
제4절 소결
제4장 재중 탈북자의 이주와 정체성의 변화
제1절 재중 탈북자에 대한 관련국의 인식
1. 중국과 국제 사회의 재중 탈북자 인식
2. 북한과 남한의 재중 탈북자 인식
제2절 재중 탈북자의 삶과 정체성의 문제
1. 비법월경자(非法越境者)로서 재중 탈북자의 삶
2. 재중 탈북자의 한국에 대한 환상
제3절 한국으로의 이주와 망명 과정
제4절 재중탈북자의 한국행과 그 의미
1. 민족국가 정체성의 변화
2. 재중탈북자의 디아스포라
제5절 소결
제5장 한국 사회의 탈북자 정체성과 탈남의 의미
제1절 한국 사회의 탈북자 정체성
1. 한국 사회의 탈북자 인식
1) 탈북자의 입국현황
2) 관련법의 변천
3) 탈북자를 구성하는 상징적 질서들
2. 탈북자 정체성에 관한 호명
1) 시니피앙으로서의 ‘탈북자’
2) 탈남인가 위장망명인가?
제2절 탈북자의 탈남 동기와 과정
1. 탈북자의 탈남 배경과 동기
1) 문화적 이질성
2) 경제적 빈곤과 불안
3) 사회적 관계망의 부실
4) 탈북자의 정체성 혼란
5) 가치관의 급격한 변화
6) 한국에서의 탈북자 디아스포라
2. 영국으로의 탈남과 디아스포라
1) 탈북자의 탈남 현황과 망명 절차
2) 망명 신청자(Asylum Seeker)로서의 삶
3) 난민(Refugee)으로서의 삶
4) 영국에서의 탈북자 디아스포라
제3절 탈북자의 탈남 의미와 정체성
제4절 소결
제6장 결론과 제언
제1절 결론 및 요약
제2절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