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기증도서

동아시아의 안보분업구조와 반(反)기지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curity Share System and Anti-base Movements in East Asia

개인저자
정영신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 2012
형태사항
xii, 447 p. :. 도표 ;. 26 cm
청구기호
349.1 정64ㄷ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410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410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목차
제 1장 서론 1절 문제제기 2절 선행연구 검토와 이론적 자원 1) 선행연구 검토 (1) 한미동맹과 미군기지에 관한 제도적·역사적 연구 (2) 미군의 전세계 기지네트워크와 기지정치에 관한 연구 (3) 평화운동, 반기지운동에 관한 연구 2) 이론적 자원 (1) 동아시아 분단체제론 (2) 사회운동론의 공간, 장소, 스케일의 정치 3절 연구대상과 분석틀 1) 연구대상: 동아시아 반기지운동 2) 분석틀 3) 분석대상 4절 연구방법과 자료 1) 연구의 시각과 방법: 비교사회학적 접근과 문헌연구 2) 자료 5절 논문의 구성 제 2장 동아시아 분단체제와 안보분업구조 1절 동아시아 분단체제의 형성과 변동 1) 한국전쟁 이후 동아시아 분단체제의 형성 (1) 미국의 전후질서 구상과 도전: 점령에서 냉전으로 (2) 동아시아 전후질서의 성격: 다층적 분리·분단의 제도화와 양자적 동맹 관계 2) 베트남전쟁과 오키나와반환, 1968~72 3) 한국의 북방외교와 중국의 부상, 1988~92 2절 미국의 군사전략과 동아시아 기지네트워크 1) 미국 헤게모니의 부상과 해외 기지네트워크의 형성 2) 미국의 군사전략과 동아시아 미군기지 배치구조의 변동 (1) 공세(roll back)와 봉쇄의 혼합: 한국전쟁에서 베트남전쟁까지 (2) 동북아 중심의 봉쇄형 배치: 베트남전쟁에서 탈내전까지 (3)수세적 배치에서 공세적 배치로의 재편: 탈냉전과 9·11의 영향 3) 한국과 일본 미군기지의 형성과 변동 (1) 주한미군의 기지네트워크: 전방집중형의 지속 (2) 주일미군의 기지네트워크: 수도권집중형에서 오키나와집중-전국분산형으로 3절 미군재편과 동아시아 안보분업구조의 재편성 1) 전쟁의 세계화와 미국의 군사변화 전략 2) 한국과 일본에서의 동맹재편과 미군기지재편 (1) 일본: 동맹의 일체화, 전국분산형 배치의 지속 (2) 한국: 전략적 유연성, 전후방 분산배치형 미군기지재편 3) 동아시아 안보분업구조 재편의 전망 제 3장 국가와 지방의 안보제도와 기지정치 1절 기지국가의 혀성과 안보제도 1) 동아시아에서 전쟁, 점령, 국가형성 2) 기지국가의 유형과 안보제도 (1) 한국: 전방기지국가의 '3+1제도' (2) 일본: 후방기지국가의 '3+1제도'와 '보상의 정치' 3) 전방과 후방 기지국가 형성의 연관성 2절 국가 스케일 기지정치의 동학 1) 기지정치의 국내적 측면 (1) 한국: '억압의 정치' (2) 일본: '보상의 정치' 2) 기지정치의 국제적 측면 (1) 한국: 전장의 동맹군, '미군 철수의 정치' (2) 일본: '밀약의 정치'와 '오키나와의 예외화' 3) 2000년대 미군재편과 기지정치의 행방 3절 지방 기지도시의 유형과 지속 1) 기지도시의 유형 2) 기지도시의 지속을 둘러싼 갈등 (1) 기지도시의 형성과 지속: 평택을 중심으로 (2) 평화도시로의 전환을 둘러싼 갈등: 요코스카의 구군항시전환법을 중심으로 제 4장 국가와 지방 스케일 반기지운동의 변동 1절 국가 스케일 반기지 운동: 체제변혁운동과의 융합에서 분리로 1)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반기지운동, 1950~1990년대 (1) 반기지운동의 부재와 일상 속에서의 저항, 1950~1987 (2) 민주화 이후 반기지운동의 네트워크화 2) 일본 반안보·반기지운동의 폭발과 쇠퇴, 1950~1990년대 (1)반안보·반기지 운동의 폭발과 분파화, 1950~1972 (2) 기지문제의 비가시화와 운동의 고립화, 1972~1990년대 2절 지방 스케일 반기지운동: 일상의 저항에서 조직적 운도으로 1) '전투형' 기지도시의 일상과 저항, 운동 (1) 미군범죄를 둘러싼 기지촌의 일사과 저항 (2) 계속되는 군사훈련과 저항: 오키나와 2) '후방' 기지도시의 일상화된 반기지운동 (1) 요코타와 아쯔기기지의 폭음소동 (2) 요코스카의 해상시위와 기지감시운동 3절 국가와 지방 반기지운동의 동아시아 스케일 비교분석 1) 시간적 차이: 체제변혁운동과 반기지운동의 시간적 연속과 불연속 (1) 반기지운동의 고양: 민주화와 민족주의 (2) 반기지운동의 쇠퇴: 억압과 발전주의 2) 공간적 연속: 안보분업구조-기지정치-반기지운동의 초국적 상호작용 제 5장 동아시아-국가-지방 스케일 반기지운동의 융합과 분리 1절 지방-국가 스케일 기지정치와 반기지운동의 융합과 분리 1) 지자체의 부재와 국가의 전면화: 매향리투쟁 (1) 지방 스케일 주민운동의 폭발과 정체 (2) 국가-지방 스케일 융합과 반기지운동의 재고양, 2000년 이후 2) 지자체의 순응과 지방정치를 둘러싼 갈등: 요코스카 주민투표운동 3) 지자체의 반란: '요코하마 방식' 4) 국가의 반격: 이와쿠니의 주민투표와 시장선거 2절 지방과 국가 스케일의 융합과 확장: 평택 1) 스케일 융합의 배경: 민주화운동의 지방화와 지방운동의 네트워크화 (1) 지방정치의 부재와 반기지운동의 지방적 토대 혀성: 1990년대 (2) 지방운동의 초기 활성화: 팽성대책위와 평택대책위의 조직과 활동 2) 스케일 융합의 양상: 지방정치의 후퇴와 국가 매개적 연대운동 (1) 평택시 지방정치의 후퇴와 평택범대위의 조직과 활동 (2) 한국과 일본 반기지운동의 국가 매개적 연대운동 3절 지방과 동아시아 스케일의 융합과 확장: 오키나와 1) 국가 스케일 부재의 배경: '오키나와처분' (1) 오키나와 미군기지 건설과 반기지운동의 특수성: 군용지 문제를 중심으로 (2) 지방 스케일 반기지운동의 폭발과 지속: 세 번의 '섬전체투쟁' 2) 스케일 융합의 양상: 자립·자치운동과 탈국가적 연대운동 (1) 자립·자치·평화운동의 원천: 오키나와전쟁과 류큐왕국 (2) 동화주의적 복귀운동에서 '오키나와처분' 비판으로 (3) 오키나와 연대운도의 탈국가적 성격 4절 스케일 융합과 분리의 유형과 조건 1) 한일 반기지운동의 궤적과 스케일 융합의 유형 2) 스케일 융합의 조건들: 공감과 연대 (1) 공감 (2) 연대 3) 스케일 분리의 조건들: 봉쇄와 고립, 발전주의 제 6장 결론 1절 연구의 결과 2절 함의와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