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연구원발간물연구총서 2012-05

김정은체제의 권력엘리트 연구

발행사항
서울 : 통일연구원, 2012
형태사항
309 p. ; 24 cm
총서사항
연구총서
ISBN
9788984796638
청구기호
000 연구12-05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1자료실G0014275대출가능-
1자료실G0014276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G001427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 등록번호
    G001427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Ⅰ. 김정은 체제가 빠른 시일 내에 탄탄하게 구축되고 앞으로 안정성있게 유지되느냐는 그를 둘러싼 상층 권력엘리트들이 얼마나 단합하여 지원하는가에 달려있다. 권력엘리트들의 단합 또는 분열은 김정은 체제의 착근 또는 안착 여부, 그 안정성에 있어서 핵심변수이다. 김정은 체제의 안정성과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서 북한 권력엘리트의 갈등을 분석하는 데 적용할 수 있는 모델로는 정책경향모델, 관료정치모델, 파벌주의-권력모델, 후원자- 추정자관계모델 등이 있다. 이 모두는 개혁·개방과정에서 정책과 노선을 둘러싼 권력엘리트 상호 간 분화와 이합집산의 동기와 그 결과를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는 이 모델들을 염두에 두고 김정은 체제의 권력엘리트 특징과 구조, 상호네트워크 등을 분석한다. Ⅱ. 2010년 9월 28일에 열린 노동당 대표자회를 통해 선출된 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및 후보위원들의 인구사회학적 분포를 보면 남성이 절대 다수이며, 연령대로는 70대, 출신지역으로는 평안도,출신학교로는 김일성종합대학이 가장 많다. 인구사회학적 분포에서 나타난 주요 특징은 권력엘리트의 고령화와 권력의 지속성, 절대 다수 남성 중심의 권력구도 등으로 집약된다. 또한 세대연고, 지역연고, 학교연고, 혈통연고, 직업·장연고, 측근연고 등을 통해 본 중앙위 위원·후보위원의 네트워크에 있어 특징적인 것은 항일빨치산 1세를 비롯한 혁명 1세대의 퇴조와 3·4세대의 부상, 특정지역 출신의 상대적 우위, 권력엘리트의 분야별 전문성, 권력의 응집성 등이다. 노동당과 국가기구를 중심으로 하여 각 기관별로 주요 직책을 맡고 있는 권력엘리트들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로는 정치국의 노령화, 출신지역(평안도·함경도) 및 출신학교(김일성종합대학·만경대혁명학원)의 편중, 항일빨치산 2세를 비롯한 혁명 2세대·3세대의 약진, 주요 직책의 겸직과 권력의 중첩성 등이 특징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제3차·제4차 당 대표자회를 통해 당·국가기구·군 등의 권력기관에서 요직을 맡아 했거나, 또는 맡아 하고 있는 인물 52명을 대상으로 상위 권력엘리트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절대 다수가 남성(50명)이며 여성은 2명에 불과하다. 이들의 연령대는 70대가 가장 많고 총 52명 가운데 70대 이상이 6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로써 상위 권력엘리트의 고령화를 나타낸다. 출신지역으로는 평안도와 함경도가 가장 많으며 출신학교는 김일성종합대학과 만경대혁명학원이 가장 많다. 그리고 연고 및 권력(주요 직책)의 중첩성, 권력의 지속성 등을 보면, 특히 60대의 권력엘리트들 가운데 권력의 집중성이 높은 인물은 장성택, 김경희, 그리고 최룡해이다. 장성택, 김경희, 최룡해등 세 인물은 연고(지연·학연·직연) 및 권력(주요 직책)의 중첩성·지속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이른바 ‘백두 혈통,’ ‘항일빨치산 혈통’등의 연고로 권력의 집중성이 더 높아진 인물들이라 하겠다. Ⅲ. 최고인민회의 11기 기간인 2003년 9월부터 김정일 건강 악화시기인 2008년 8월까지를 1시기, 김정일 와병기간인 2008년 9월부터 김정은이 대중 앞에 공식 등장하기 이전의 과도기를 2시기, 김정은이 후계자로 공개된 2010년 10월부터 2011년 말 김정일이 사망하기까지를 3시기, 김정일 사후부터 2012년 7월까지를 4시기로 구분하여 현지지도 수행을 통해 형성되는 권력엘리트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방법과 연구보고서의 구성 Ⅱ. 권력엘리트 이론과 사회주의체제에 대한 적용 1. 권력엘리트에 대한 이론적 접근 2. 개혁·개방 시기 사회주의체제의 권력엘리트 변화 3. 북한의 권력엘리트 분석 모델 Ⅲ. 인구사회학적 변수로 본 권력엘리트 네트워크 1. 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및 후보위원의 인구사회학적 분포 2. 중앙위 위원·후보위원의 네트워크 3. 주요 기관별 권력엘리트 네트워크 4. 상위 권력엘리트의 네트워크 Ⅳ. 상호접촉으로 본 엘리트 네트워크 1. 김정일시대 엘리트 네트워크 2. 김정은시대(2012.1~2012.7) 엘리트 네트워크 3. 엘리트 네트워크의 변화와 지속성 Ⅴ. 신진 권력엘리트 1. 김정일정권의 권력엘리트 2. 김정은정권의 권력엘리트 3. 세대교체와 신진 권력엘리트의 주류 4. 신세대의 경향과 지향 Ⅵ. 결론 참고문헌 최근 발간자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