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연구원발간물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012-11-05

북한의 인프라 개발을 위한 국제사회 협력 프로그램 추진방안

발행사항
서울 : 통일연구원, 2012
형태사항
143 p. : 도표 ; 24cm
ISBN
9788984796850
청구기호
000 협동12-11-05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1자료실G0014427대출가능-
1자료실G0014428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G001442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 등록번호
    G001442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북한의 인프라부문 재건은 북한경제의 회생을 좌우할 핵심 과제이며,이러한 측면에서 구체적인 개발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북한에게 매우 시급하면서도 중요하다. 식량, 에너지 등 북한경제 회생을 위해 필요로 하는 분야의 개발방안을 모색해서 북한경제 발전의 중요한 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현실적으로 이러한 개발방안을 도출할 주체는 북한 외에 우리와 국제사회뿐이다. 남북협력이나 국제협력을 통해 인프라분야의 개발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북한의 유일한 대안인 것이다. 2012년 집권한 북한의 신정부는 경제회생을 위해 국제사회와의 협력을희망하고 있으며, 향후 본격적인 추진이 예상되고 있다. 현재 북한 정부가가장 역점을 두는 것은 농업문제 해결과 경공업부분의 정상화이며, 이를위해서는 전력, 석탄, 금속, 철도 등 자원과 기반시설부문의 현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북한경제 회생의 핵심 과제인 농업 및 에너지, 교통부문의 개발과 관련한 국제협력은 북한으로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북한의 인프라 개발은 남북경제통합을 거쳐 통일시대를 지향하는 우리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과제이다. 남북 간의 인프라 격차 해소 없이 남북경제통합은 요원한 일이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로서도 남북간 협력과 더불어 북한 개발과 관련한 국제협력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북한이 추진 가능하고 또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는 국제협력의 구체적인 방안을 연구해서 우리 정부가 이것을 북한과 국제사회에 권고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우리 정부가 북한의 국제사회 복귀를 측면에서 지원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국제협력방안을 현 시점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우리정부로서는 남북협력과 국제협력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벗어나 남북협력의 틀을 확대한 국제협력, 국제협력의 틀 하에서 가능한 남북협력 등 다양한협력 가능성에 대해서 창의적 대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국토연구원은 북한의 인프라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2011년에 체제전환국의 인프라 개발관련 국제협력관련사례연구1를 수행한 바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정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북한의 인프라 개발관련 국제협력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북한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하고, 지속 가능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것이다. 본 연구는 북한경제 개발을 위한 교통, 에너지, 농업기반분야의 국제협력전략과 협력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북한 정부가 주체가 되어 우리를 포함한 국제사회와 국제협력을 추진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교통, 에너지, 농업기반분야는 현재 북한이 가장 필요로 하는 인프라분야이고 향후 북한의 개혁·개방과정에서 우선적으로 국제협력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은분야다. 따라서 우리가 배제되는 북한과 국제사회 간의 국제협력이 아니라우리까지 포함한 다자간 국제협력의 추진을 전제로 하고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가. 연구의 범위 나. 연구의 방법 3. 1차년도 선행연구(인프라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 사례와 시사점, 2011)의 주요 결과 4. 인프라 개발관련 국제협력 프로그램의 개념과 구도 Ⅱ. 북한 인프라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 프로그램의 추진 방향과 추진 전략 1. 북한의 인프라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 프로그램의 필요성 가. 북한의 인프라 실태 나. 인프라 개발을 위한 국제협력 프로그램의 필요성 다. 프로그램 수립 대상분야의 선정 2. 북한 인프라 개발의 기본 구도 가. 남북한 및 북?중?러 접경지역 중심의 인프라 개발 추진 나. 서부와 동부의 항만도시를 중심으로 한 인프라 개발 추진 다. 서해안축과 동해안축을 중심으로 한 통합적 인프라 개발 추진 3. 인프라 개발관련 국제협력 프로그램의 목표와 추진 방향 가. 목표 나. 추진 방향 4. 국제협력 프로그램 추진 전략 Ⅲ. 교통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 1. 교통분야 국제협력의 필요성 및 추진 방향 가. 교통분야 실태 나. 북한 교통분야의 국제협력 동향 다. 국제협력의 필요성 및 추진 방향 2. 서울~신의주 남북 육상교통망 현대화 프로그램(중단기 완료) 가. 추진 필요성 나. 목표 다. 추진 방향 라. 단계별 추진계획 마. 기대효과 3. 두만강 교통·물류 촉진 프로그램(장기 완료) 가. 추진 필요성 나. 목표 다. 추진 방향 라. 단계별 추진계획 마. 기대효과 Ⅳ. 에너지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 1. 에너지분야 국제협력의 필요성 및 추진 방향 가. 에너지분야 실태 나. 국제협력의 필요성 및 추진 방향 2. 지역에너지협력체를 활용한 정책역량 강화 프로그램(중단기 완료) 가. 추진 필요성 나. 목표 다. 추진 방향 라. 단계별 추진계획 마. 기대효과 3. 국제금융기구 가입을 통한 에너지시스템 복구 프로그램(장기 완료) 가. 추진 필요성 나. 목표 다. 추진 방향 라. 단계별 추진계획 마. 기대효과 Ⅴ. 농업기반분야 국제협력 프로그램 1. 농업기반분야 국제협력의 필요성 및 추진 방향 가. 농업기반분야 실태 나. 국제협력의 필요성과 추진 방향 2. 특구 배후지역의 선도적 농업개발 협력 프로그램(중단기 완료) 가. 추진 필요성 나. 목표 다. 추진 방향 라. 단계별 추진계획 마. 기대효과 3. 황폐산지 복구협력 프로그램(장기 완료) 가. 추진 필요성 나. 목표 다. 추진 방향 라. 단계별 추진계획 마. 기대효과 4. 자연재해지역 복구협력 프로그램(장기 완료) 가. 추진 필요성 나. 목표 다. 추진 방향 라. 단계별 추진계획 마. 기대효과 Ⅵ. 국제협력 프로그램 추진과 관련한 정책적 고려사항 1. 프로그램 추진의 우선순위와 추진 체계 가. 추진의 우선순위 나. 추진 체계 2. 프로그램 추진을 위한 통합적 추진체의 구축 및 연계추진 가. 통합적 추진체의 구축 나. 종합적인 마스터플랜의 수립을 통한 분야별 프로그램의 추진 조율 다. 서울~신의주 구간의 농업, 에너지, 교통 프로그램 연계 추진방안 3. 우리 정부의 역할과 과제 가. 북한의 프로그램 참여 유도 나. 북한 당국의 제도적 개선 유도 다. 국제사회와의 협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