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연구원발간물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한반도 통일 공공외교 추진전략(Ⅰ): 공공외교의 이론적 조명과 한반도 주변4국의 대한국 통일 공공외교 2012-12-04

중국의 對한국 통일 공공외교 실태

발행사항
서울 : 통일연구원, 2012
형태사항
160 p. ; 24 cm
ISBN
9788984796973
청구기호
000 협동12-12-04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1자료실G0014448대출가능-
1자료실G0014449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G001444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 등록번호
    G001444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1. 연구 목적 미국의 저명한 정치학자 저비스(Robert Jervis)가 지적한 대로 국제관계에서 한 국가의 바람직한 이미지와 평판은 그 국가가 가진 군사적·경제적 파워보다 더 유용할 수 있다.1 나이(Joseph Nye)도 카(E. H. Carr)의 ‘여론에의 파워’라는 개념을 발전시켜 ‘소프트 파워(Soft Power)’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는데,2 소프트 파워란 매력과 관심을 끌어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국가의 능력을 말한다. 근래에 모든 국가가 자국의 이미지와 평판이 매우 중요한 전략적 자원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도 예외는 아니다. 특히중국 위협론이 확산되고 있는 요즈음 중국만큼 이에 관한 논의가 무성하고 그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나라도 없다. 현재 중국의 핵심적인 국가전략은 “안보를 굳건히 하면서 발전을 위한 안정된 정치·경제적 환경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는 중국의 지도부가 극복해야 하는 서로 연관된 안팎의 두 가지 도전들을 반영한 것이다. 안으로는 국민의 기대 상승과 급속한 사회 변화에 직면하여 어떻게 안정을 유지하느냐, 밖으로는 중국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국제 환경을 어떻게 확보하느냐이다. 본 연구는 중국이 후자의 과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직면하는 광범위하고 복잡한 문제들을 주제로 하고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비약적인 경제발전으로 중국의 ‘하드파워(hard power)’는 분명히 급성장하였지만, 중국의 지도부나 일반 국민 모두는 그 발전을 지원하고 유지시키는 데 필요한 ‘소프트파워’가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국제사회에서 책임감 있는 경제적 동반자이자 협력자로서 경계할 필요가 없는 대국으로 비쳐지기를 희망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국내외적으로 인권 문제, 민주화, 소수 민족, 대만 문제, 무역 불균형, 위안화 평가 절상, 기후 변화 원인 제공, 식품 안전 문제 등으로 자국의 매력 확산에 장애를 겪고 있다. 따라서 최근 중국은 자국의 정책과 행위들에 대해 좀 더 우호적인 국제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대외소통(foreign communication)’과 ‘공공외교(public diplomacy)’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폭넓게 정의하면 공공외교는 외국 국민과 소통하려는 국가의 의식적인 커뮤니케이션이다.3 그것은 일방적일 수 있고, 쌍방향적일 수도 있으며, 상호 협력일 수도 있다.4 전반적으로 보면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이 바깥세계에 주고자 하는 자신의 이미지를 어떻게 생산·관리하고, 어떤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전파하며, 나아가 그것을 통해 자신과 바깥 세계 사이에 어떤 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자신의 목표와 정책을 관철하려 하는지를보여 주는 것이다. 2. 연구 범위 좋지 않은 국가 이미지와 평판, 우리의 대외정책에 대한 주변국들의 몰이해는 정책적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주변국 국민들과 우리 국민들의 불필요한 갈등을 불러와 대외정책 추진에 불리한 환경을 조성한다. 따라서 우리정부가 대외정책의 하나인 대북정책이나 통일정책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한반도 주변국 국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이해시켜 정책 추진에 유리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문제는 이것을 어떻게 실현하느냐, 즉 그 구체적 실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실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진행되는 3개년 계획의 1차년도 연구이다. 최종 3차년도에 우리의 통일관련 공공외교 개선 방안이 제시되는데, 그 선행작업으로서 2차년도에는 우리의 통일관련 공공외교실태가 조사되고, 1차년도에서는 공공외교의 이론적 조명과 함께 한반도주변 4강의 대한반도 공공외교, 특히 대한반도 통일관련 공공외교가 연구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3. 연구 방법과 보고서의 구성 Ⅱ. 중국의 공공외교 체계 및 운영 1. 중국의 공공외교 수용과 발전 가. 중국 외교의 목표와 특성 나. 중국의 공공외교 수용 과정과 추진 배경 2. 중국의 공공외교 추진체계 가. 중국 외교 추진체계 나. 중국 공공외교 추진체계 3. 사례연구: 중국의 대대만 공공외교 가. 대대만 공공외교 추진 조직과 기구 나. 대대만 공공외교 추진 목표와 방식 다. 대대만 공공외교 수단 라. 대대만 공공외교 성과 4. 중국의 공공외교 특성과 평가 Ⅲ. 중국의 대한반도 통일공공외교 1. 중국의 대한반도 통일관련 입장과 정책 가. 중국의 대한반도 정책 나. 중국의 한반도 통일에 대한 기본 입장 다. 중국의 한반도 통일 과정에 대한 입장 2. 중국의 대한반도 통일관련 공공외교 실태 가. 대한반도 통일관련 공공외교의 필요성 나. 대한반도 통일관련 공공외교의 목표와 주요 내용 다. 대한반도 통일관련 공공외교 정부 조직 체계 및 프로그램 라. 대한반도 통일관련 공공외교 민간 체계 및 프로그램 3. 전문가 인식조사 가. 중국 전문가 인식조사의 특징 나. 중국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분석 다. 중국 전문가 인식의 특징 Ⅳ. 결론: 통일관련 한국 공공외교에의 시사점 1. 중국의 한반도 통일관련 공공외교에 대한 평가 2. 대중국 통일관련 공공외교에의 시사점과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