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G001472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 G001472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목차
발간사
요 약
제1부 동아시아 통합과 세계경제
제1장 지표 분석을 통해 본 동아시아 통합 분석
제1절 동아시아 통합연구의 진행과정
제2절 지표체계의 구성
제3절 지표 분석을 위한 방법론
1. 정규화
2. 가중치의 부여
3. 결측치의 조정
제4절 지표 분석
1. 분석 국가의 위상
2. 경제분야
3. 삶의 질 분야
4. 환경분야
5. 정치?외교?행정 분야
6. 문화분야
제5절 결 론
참고문헌
제2장 지역생산망 접근을 통한 동아시아 경제통합
제1절 EU, NAFTA 및 동아시아 지역의 생산네트워크 현황
제2절 생산네트워크와 지역무역협정
1. 실증분석모형
2. 데이터
제3절 분석 결과
제4절 생산네트워크의 심화와 생산성
제5절 생산네트워크 강화와 동아시아 FTA의 경제적 효과
제6절 결 론
참고문헌
제2부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확대와 심화
제3장 동아시아 경제통합과 아세안
제1절 서 론
제2절 아세안 역내 경제협력
제3절 아세안과 한?중?일
1. 아세안 경제 개관
2. 아세안과 한?중?일 3국 간 교역 및 경제협력
제4절 동아시아 경제통합과 아세안
1.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아세안의 입장
2. 아세안의 동아시아 경제통합 참여 가능성
3. 아세안 참여에 대한 한?중?일 3국의 입장
제5절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제4장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제도화
제1절 지역협력의 제도화: 제도화의 두 가지 경로
제2절 동아시아 지역협력체의 제도화 현황 분석
1. 동아시아 지역협력체의 제도화 특징
2. 주요 동아시아 지역 협력체의 특징 분석
제3절 동아시아 협력의 제도화 전략
참고문헌
제3부 동아시아 통합과 새로운 도전
제5장 세계경제 시나리오와 한국의 대응
제1절 서 론
제2절 지역주의 확산과 세계경제에 대한 파급효과
1. 지역주의와 다자주의의 공존
2. 지역 간?대륙 간 통합 움직임의 대두
제3절 지역주의 심화에 따른 세계경제의 시나리오
1. 시나리오 설정을 위한 기본 가정
2. 세계경제의 향후 시나리오
제4절 한국의 전략적 선택
1. 동아시아 지역주의에 대한 한국의 전략적 선택
2. 시나리오 전개에 대한 한국의 전략적 선택
제5절 결 론
참고문헌
제6장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 경협의 연계
제1절 서 론
제2절 동북아와 북한의 시각 분석
1. 동북아 협력관점에서 보는 북한
2. 지역경제협력에 대한 북한의 시각
제3절 동북아와 북한의 경제관계 현황
1. 무 역
2. 투자 및 경제협력
3. 북한 대외경제교류의 주요 특징
제4절 동북아 경협을 활용한 남북한 경제협력방안 모색
1. 개 요
2. 무역협력 논의와 연계된 방안
3. 통화금융협력 논의와 연계된 방안
4. 기타 지역경제협력과 북한 연계방안
참고문헌
제7장 요약 및 결론
제1절 동아시아 통합 구상
1. 동아시아 경제통합 여건 분석
2. 동아시아 통합을 위한 구상
3. 통합전략의 실증적 근거
4. 동아시아 통합을 위한 한국의 역할
제2절 한국?중국?일본 간 분야별 협력 심화방안
1. 정부 간 협력 현황과 정치?외교 분야 협력방안
2. 통화금융분야 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3. 교육분야 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4. 문화분야 교류?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5. 환경분야 협력 현황과 확대방안
제3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에 대한 각국의 시각
1. 일본의 시각
2. 중국의 시각
3. 아세안의 시각
제4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을 위한 제도화
제5절 동아시아 경제통합의 주변환경과 대응과제
1. 동아시아 지역주의 확산의 파급효과와 한국의 대응
2. 동북아 경제협력과 남북한 경제협력의 연계
제6절 결 론
1. 동아시아 지역통합을 위한 단계적 접근
2. 동아시아 지역통합을 위한 의지와 리더십
참고문헌
ABSTRACT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