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근대를 다시 읽는다, 2

대등서명
한국 근대 인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위하여
발행사항
서울: 역사비평사, 2006
형태사항
657 p.: 삽도; 24cm
ISBN
8976965248(2)
청구기호
911.06 윤93ㄱ
서지주기
찾아보기: p.653-657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4389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4389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목차
4부 근대성과 새로운 문화 ㅡ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 4부를 묶으며 / 천정환 1920~30년대의 책 읽기와 문화의 변화 / 천정환 9 1. 들어가면서 9 2. 1920~30년대 책 발간 추세 11 독서인구의 급격한 증가 12 1920년대 조선문 출판물 허가 건수 추세 13 검열과 출판의 자유 16 3. 매뉴얼과 포르노그래피의 시대 19 기능적 독서의 시작 / 근대의 책은 실용서 19 교재 / 수험서와 처세 / 출세를 위한 책 읽기 21 오락과 ‘취미’로서의 책 읽기 25 4. 책 읽기에 나타난 비동시적 근대 31 세대 절단 ㅡ 사회주의와 문학에 나타난 누벨바그 32 어린이의 발견과 어린이 책 40 ‘비’근대적 책 읽기 ㅡ 족보와 '정감록' 붐에 나타난 구세대의 불안 42 5. 일본어로 책 읽기 50 일본어 책을 읽는 여러 이유 51 한글과 조선어의 위기 59 이중언어, 이중구속 ㅡ 장혁주의 운명 63 ‘순한글 창작’이라는 신화 72 계급문학론의 민족문학 76 1920년대 초반의 사회와 연애 / 권보드래 87 1. 서론 87 2. 육체와 사랑 90 춘향의 첫날밤 90 처녀, 목숨을 건 자격? 92 신성한 연애 혹은 영적(靈的) 사랑 95 신성한 연애 혹은 영육일치 97 일본의 성욕학(性慾學)과 조선 99 불순혈설(不純血說)의 소설적 표현 102 성욕(性慾)과 자연과 병(病) 104 3. 연애의 죽음과 생 106 외래 풍조로서의 정사(情死) 106 정사(情死)의 소설 또는 현실 107 강명화와 윤심덕 109 1923년, 변화의 기미 114 ‘붉은 사랑’의 대중 117 4. 연애의 시대 또는 개조의 시대 119 초기 영화의 문화적 수용과 관객성 / 유선영 123 1. 식민지 초기 영화수용과 관객성의 문제 123 2. 초기 영화의 도입과정 ㅡ 활동사진 관람을 부추기는 식민지 사회 128 3. 식민지 영화수용과 경험 그리고 관객성 133 초기 영화 / 도시적 근대성의 사실적 재현물로서의 서구 영화 133 영화에 대한 충격과 시각적 오인 136 전통적 유흥감수성에 의한 시각이미지의 포획 ㅡ ‘노는 사진’과 굿 141 프로그램의 이접(離接)과 청각적 봉합 149 식민지 극장구경 ㅡ 감시와 인종차별 153 4. 식민지의 시네마 근대성 ㅡ 초기 영화시대의 지연과 지체 그리고 변조 157 문화정치기 검열정책과 식민지미디어 / 한기형 169 1. 문화정치의 미디어 허용 ㅡ 식민지 효율성의 제고 169 2. 문화정치기 검열정책의 혼란 ㅡ 미디어를 둘러싼 공방의 여파 175 3. 미디어 정책에 대한 검열당국의 회의 ㅡ 필화사건의 원인과 그 파장 181 4. "개벽"의 폐간과 문화정치의 종언 ㅡ 잡지 미디어의 분화 계기 191 ------------------------------ 5부 근대인식과 담론분석 ㅡ 언어는 권력이다 5부를 묶으며 / 허수 동양적 세계와 ‘조선’의 시간 / 차승기 209 1. 근대의 ‘위기’와 문화적 특수주의의 대두 209 2. ‘자연=과거=동양(조선)적 전통’의 세계 212 3. 전통주의의 시간의식 220 에피파니적 시간의식 221 노스탤지어적 시간의식 231 4. 전통주의와 심미주의 239 청년의 시대 / 이기훈 248 1. 머리말 248 2. 1920년대 민족주의 청년담론의 성립 ㅡ 민족의 주체, 근대의 주체 250 ‘개조’와 ‘문화’ ㅡ 1920년대 전반 식민지 조선과 문화운동 250 문화운동과 청년담론 252 3. 청년과 민족, 청년과 권력 258 민족 선도자로서의 청년 258 청년회 ㅡ ‘자수자양’의 정치적 공간 266 4. 청년과 청년성 ㅡ 어떻게 청년이 될 것인가? 269 청년성의 문제 269 수양을 통한 청년 되기 271 5. 민족주의 청년담론의 전환 281 준비하는 청년 ㅡ 급진적 청년에 대한 대응 281 농촌으로의 전환 ㅡ 농촌의 청년, 농촌으로 돌아가는 청년 285 6. 민족주의 청년담론과 성(性) 292 1920년대 청년담론의 남성중심성 292 여성 주체의 형성 ㅡ ‘여자청년(청년여자)’와 신여성 293 7. 맺음말 297 논쟁의 정치와 '민족개조론'의 글쓰기 / 김현주 301 1. 머리말 301 2. 과학적 제안서로서의 ?민족개조론? 304 '민족개조론'의 장르 ㅡ 제안서 304 제안서의 이데올로기 ㅡ 기획과 방법의 사상 307 3. 대중 통치학으로서의 ‘민족개조론’ 311 새로운 통치학의 원료 ㅡ 사회(대중)심리학 311 사회(대중)심리학의 수사학 ㅡ 계몽주의 정치언어의 해체 316 4. 맺음말 323 1920년 전후 이돈화의 현실인식과 근대철학수용 / 허수 327 1. 머리말 327 2. 사회와 개조에 대한 관심 333 3. ‘최후종교’로서의 천도교 341 4. 종교와 사회의 매개로서의 ‘철학’ 347 신칸트학설을 인내천주의에 포섭 347 이노우에 데쓰지로 철학의 영향과 함의 357 5. 맺음말 363 일제하 최남선의 불교인식과 ‘조선불교’의 탐구 / 류시현 367 1. 서론 367 2. 학문으로서의 불교와 신앙으로서의 불교체험 370 3. 당대불교계에 대한 관심과 비판 378 불교계 학자?승려와의 교류 378 한말 / 일제시대 불교계에 대한 비판과 대안 제시 381 4. 조선불교와 일본중심의 문화권논의 385 외래 종교인 불교에서 ‘조선불교’의 발견 385 조선적인 것의 고유성과 문화적 보편성과의 충돌 390 5. 결론 394 ------------------------------ 6부 ‘민중’의 경험과 기억 ㅡ 하위주체는 말할 수 있는가 6부를 묶으며 / 이용기 증언과 역사쓰기 / 양현아 407 1. 문제제기―‘할머니들의’ 기억 407 2. 전시 성폭력과 여성성 414 3. 분석대상과 방법 418 조사과정과 분석대상 418 자기재현과 증언재현 420 체험의 선별과 의미의 해독 422 4. 증언 분석 ㅡ 혼인, 자녀, 그리고 자기 자신 424 독신 ㅡ ‘양심’이라는 것 425 동거 파탄 ㅡ ‘소문’ 426 동거 파탄 ㅡ 불임 428 동거 유지 ㅡ 필요 430 동거 유지 ㅡ 자식 432 동거 유지 ㅡ ‘탈여성화’ 433 자신이 ‘보는’ 여성 ㅡ 사랑과 향수 435 5. 결론 ㅡ 타자화를 넘어서 439 마을에서의 한국전쟁 경험과 그기억 / 이용기 444 1. 들어가며 444 2. 전쟁 전의 마을 449 해방 전의 계급구성과 세력관계 449 ‘이천의 모스크바’로 불리게 되기까지 455 3. ‘인공’점령기의 전쟁동원과 마을의 대응 461 개전(開戰)과 인민위원회 결성 ㅡ ‘계급노선’의 실상 461 의용군 모집과 토지개혁 ㅡ 고통과 희망에 대처하는 방식 464 4. 대한민국의 질서회복과 국가 / 농민 관계 472 ‘수복’과 국가에 대한 공포의 충성서약 472 전후 폐허를 딛고 서는 힘의 실체 475 5. 나오며 ㅡ 전쟁의 경험 / 기억 / 구술 480 근대성과 폭력 / 김성례 488 1. 머리말 488 2. 근대성의 기념비적 역사 492 3. 생존자의 조각난 기억 494 4. 4?3 위령제 ㅡ 기념비적 재현 496 5. 4?3 명칭의 의미 ㅡ 이념적 폭력과 희생 501 6. 사건의 진실과 재현의 한계 503 7. ‘용서와 화합’ ㅡ 망각의 기만적 가면 507 8. “죽은 영혼의 울음” ㅡ 진정한 애도의례 512 1970년대 여공과 민주노조운동 / 김원 519 1. 서론 ㅡ 문제제기와 방법론 519 2. 1970년대 여성노동운동을 둘러싼 ‘민주대어용’ 담론에 기초한 해석의 검토 523 3. ‘민주대어용’ 균열구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528 청계피복노조, 지식인의 정치적 실험장 528 동일방직, 1970년대 민주노조의 신화 541 1) 어용과 민주 사이 ㅡ 어용 담론과 민주노조 541 2) 조작된 신화 ㅡ 외부화 투쟁을 둘러싼 담론 548 4. 결론 552 1970년대 여성노동자의 일상생활과 의식 / 김준 556 1.머리말ㅡ1970년대의 노동사회와 여성노동자 556 2.기존 연구와 ‘모범근로자 수기’ 분석의 의의 560 기존 연구 560 ‘모범근로자 수기’ 분석의 의의 563 3.여성노동자와 가족 564 고난의 원인이자 배경으로서의 가족 565 가족을 위한 희생 567 4.회사ㅡ새로운 세계 570 취업 570 숙련 형성 572 공장 내의 사회적 관계 576 5.주거와 일상생활 585 주거 585 송금, 저축, 소비, 그리고 여가 592 6.콤플렉스, 꿈, 그리고 정체성 597 콤플렉스와 꿈 597 정체성 600 7.결론을 대신하여 603 <자료실> 논문이 처음 실린 곳 표 미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