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1자료실 | G0015051 | 대출가능 | - | |
1자료실 | G0015052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G001505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 등록번호
- G0015052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경제난과 자생적 시장화의 경험 속에서 북한 주민들의 의식과 심성체계가 변화하였고, 이는 북한 사회의 결속력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사회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김정은 시대 북한체제의 통치기반인 젊은 세대의 특징은 김정은 체제의 안정성이나 북한 사회의 변화와 관련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북한의 새로운 세대의 등장과 특질을 ‘세대’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경제난과 시장화가 진행된 시기에 유년기와 성장기를 보낸 북한 청소년들이 특정한 사회·역사적 과정 속에서 ‘세대’로서 어떠한 공통의 세대경험을 하였는지를 신체와 언어, 장소와 사물, 관계와 문화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북한 청소
년들의 생애 사례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삶 속에서 다양한 세대경험이 어떻게 누적되고 상호 결합하면서 한 인간을 형성해내고, 그 집합체로서의 세대를 형성해내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북한 청소년들의 생애 사례와 다양한 세대경험 속에서 이들을 하나의 세대로 결속하는 ‘정서의 병목현상’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세대경험을 서로 다른 방법으로 소화함으로써 서로 상이한 특질을 지니게 되는 ‘세대단위’의 맹아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목적 및 연구내용
2. 연구방법
Ⅱ. 새로운 세대의 세대공간
1. 인구사회학적 배경
2. 정치경제적 사건
3. 사회문화적 환경
Ⅲ. 육체와 언어의 경험
1. 주체의 호명과 수행
2. 빈곤과 계층화의 육체적 경험
3. 국가와 내면 사이의 언어적 경험
4. 소결
Ⅳ. 사물과 장소의 경험
1. 화폐세대의 물신화된 정체성
2. 사물의 경험과 문화 정체성 형성
3. 장소적 경험과 공간적 정체성 형성
4. 소결
Ⅴ. 관계와 친밀성의 경험
1.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와 친밀성, 하위문화, 정체성
2. 또래관계와 친밀성
3. 또래집단과 하위문화
4. 가정의 해체와 재구성
5. 국가 및 최고지도자에 대한 인식31
6. 소결
Ⅵ. 생애사적 체험과 세대의 특성
1. 사례 재구성
2. 세대경험의 특성과 세대의 분화
Ⅶ.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