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1자료실 | G0015075 | 대출가능 | - | |
1자료실 | G001507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G001507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 등록번호
- G001507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한반도의 통일을 위해서는 국내 및 남북관계 차원만이 아닌 국제 차원의 기반 조성이 필요하며, 그중에서도 한반도와 밀접한 이해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주변4국에 대한 통일외교는 핵심적 사안이다. 특히, 한반도의 분단과정에서부터 깊이 개입되어 있는 미국과 중국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급부상한 중국은 국제사회와 동북아 지역에서 영향력 및 역할을 점차 확대하고 있어, 한반도를 둘러싼 미·중 역학관계의 변화에도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남북한 동시수교국이자 6자회담 의장국인 중국은 확대·확산된 자국 이익을 수호하기 위해 인접한 한반도의 분단관리와 통일과정은 물론 통일한국에 대한 깊은 관심과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통일 환경의 변화는 우리에게 한미동맹을 유지하면서도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관계를 강화해야 하는 쉽지 않은 과제를 부여하고 있다. 사실상 중국을 배제한 한반도 분단의 안정적 관리와 우리 주도의 평화통일 실현 및 통일한국의 운용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제 중국은 한반도 통일을 위한 중요한 협력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향후 중국의 협력을 어떻게 확보해내는가가 통일외교의 핵심과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범위
3. 연구 방법 및 구성
Ⅱ. 한국의 對중국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1. 한국의 對중국 통일외교 입장과 정책
가. 한국의 對중국 통일외교의 환경과 실태
나. 한국의 對중국 통일외교의 내용 및 특징
2. 한국의 對중국 통일공공외교 실태
가. 對한반도 통일관련 공공외교의 인식
나. 한국의 對중국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체계
다. 한국의 對중국 통일공공외교 추진실태
3. 전문가 인식조사
가. 전문가 인식조사의 특징
나. 전문가 인식조사 결과 분석
다. 전문가 인식의 특징
Ⅲ. 결론: 한반도 통일공공외교 추진에 주는 시사점
1. 한국의 對중국 한반도 통일(관련) 공공외교 평가
가. 한국의 對중국 통일외교 입장과 정책 평가
나. 한국의 對중국 통일공공외교 실태 평가
다. 전문가 인식조사의 특징
2. 對중국 한반도 통일(관련) 공공외교에의 시사점 및 과제
가. 한국의 對중국 통일외교 입장과 정책 시사점 및 과제
나. 한국의 對중국 통일공공외교 체계와 실태, 시사점 및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