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1자료실 | G0015455 | 대출가능 | - | |
1자료실 | G0015456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G001545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 등록번호
- G001545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북한변화 촉진 및 남북친화성 증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정치적 저항과 사회운동 관련 일반 이론을 발굴하고, 직간접적으로 각각의 이론들에 기반한 북한변화와 전망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한다. 나아가 이 이론들과 선행연구들의 성과 및 한계에 기초하여, 거시와 미시를 연결하는 총합적 정책 모델을 설계하고 그에 따른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Ⅱ장은 정치저항과 사회운동의 일반이론이다. 이 장에서는 1960년대 이래 서방에서 전개된 새로운 사회운동이론의 출발 배경, 집합행위론, 자원동원 이론, 정치적 기회구조/정치과정론, 프레임/프레이밍 이론, 합리적 선택이론과 구조-인지 모델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 이론들의 북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제Ⅲ장은 앞서 언급한 사회운동 이론의 통찰이 한국에서의 북한변화 연구에 묵시적으로 스며들어 있다는 것으로 밝힌다. 또한 사회운동 이론의 통찰이 어떻게 북한변화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가를 밝힌다.
제Ⅳ장은 앞서 살펴본 사회운동 이론과 기존 북한변화 연구에서의 다양한 통찰을 종합하여 북한변화 촉진과 남북 친화성 증대와 관련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목차
요약 vii
Ⅰ. 서론 1
Ⅱ. 정치저항과 사회운동의 일반이론 7
1. 1960년대 새로운 사회운동이론의 출발 10
2. 자원동원이론 16
3. 정치적 기회구조론/ 정치과정론 22
4. 프레이밍 이론 30
5. 합리적 선택이론과 구조-인지 모델 39
6. 요약과 결론 47
Ⅲ. 정치적 저항과 사회운동 이론으로 본 북한변화의 논리 53
1. 북한변화 불변의 논리 구조 55
2. 집합행위론에 기반한 북한변화 64
3. 자원동원론에 기반한 북한변화 78
4. 정치적 기회구조론에 따른 북한변화 88
5. 프레임 이론에 따른 북한변화 110
Ⅳ. 이론의 적용: 정책 설계와 방향 129
1. 정책 목표 및 이론의 적용 시각 131
2. 정책 설계의 이론적 모델: 거시와 미시 연계 133
3. 정책 방향 146
Ⅴ. 결론 157
참고문헌 163
최근 발간자료 안내 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