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한중 교류의 기원: 문학과 사상 그리고 학문의 교섭
- 개인저자
- 홍석표
- 발행사항
-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 형태사항
- 406 p. :. 삽화, 초상 ;. 23 cm
- 총서사항
- 이화학술총서
- ISBN
- 9791185909202
- 청구기호
- 820.907 홍53ㄱ
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G0015686 | 대출가능 | - |
- 등록번호
- G0015686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일제 치하에서 주권을 상실한 한국은 주체적으로 중국과 교류할 수 없었다. 그 결과 이 시기 양국의 교류는 주로 비공식적이고 개인적인 차원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책은 현장 답사를 비롯해 당시의 신문·잡지, 경찰 신문조서, 일기 등 한국과 중국의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근대 시기 한중 교류의 구체적인 사실(史實)을 실증적으로 밝혀내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예컨대 이 책에서는 그동안 미비했던 이육사의 전기적 사실을 보충하고 이육사가 중국 현대문학에 관심을 갖게 된 객관적인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 그가 베이징의 ‘중국대학’에 유학했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중국대학은 중국 공산당이 집권한 후인 1949년에 폐교되어 관련 자료가 거의 남아 있지 않은데, 저자는 중국대학 졸업생들을 인터뷰하고 일본 경찰에 의해 작성된 이육사의 신문조서 등 관련 자료를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지금까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았던 이육사의 중국대학 유학 시기와 그가 재학했던 당시의 캠퍼스 위치를 새롭게 밝혀내고 있다.
더불어 이 책에서는 이육사와 루쉰의 문학, 김태준과 후스의 문학사 서술 관점, 장아이링과 최승희의 예술관 등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근대 한중 지식인들의 사상적·예술적 연관성 및 공통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독립을 위해 힘썼던 이육사와 류수인의 중국에서의 활동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일제 치하 한국의 정체성과 당시 전개되던 독립운동의 실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하다.
▣ 책 내용
이 책은 총 4부 8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1부에서는 이육사가 중국 현대문학에 관심을 갖고 이를 한국에 소개한 계기가 된 베이징의 ‘중국대학(中國大學)’ 유학과 관련된 사실을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대학 졸업생들을 인터뷰하고 경찰 신문조서 등의 실증적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이육사가 1926-1927년에 중국대학에 유학했으며 베이징의 시단에 위치한 정왕부(鄭王府) 캠퍼스에 다녔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내고 있다. 또한 한국 문인으로서는 최초로 중국의 문호 루쉰과 대면하는 기회를 가졌던 이육사가 루쉰과 만난 장소를 실증하고, 이육사가 문학의 예술성과 실천성을 동시에 추구했다는 점에서 그의 문학과 루쉰의 문학 및 중국 현대문학이 관련성이 있음을 고찰한다.
2부에서는 경성제국대학 중국어문학과 재학 시절 졸업논문 자료를 수집하러 베이징에 다녀온 김태준이 중국 신문학에 자극을 받아 이를 매개로 근대학문을 시작하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또한 김태준과 경성제국대학 중국어문학과 교수였던 카라시마 타케시(辛島驍)의 호혜적 학문적 교류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고, 김태준의 조선소설사 연구와 루쉰 및 일본의 중문학자 시오노야 아쯔시(鹽谷溫)의 중국소설사 연구의 비교를 통해 김태준이 이들과 학문적 성과를 공유하면서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학문 연구를 진행하고자 했음을 논증한다. 이와 더불어 김태준의 『조선한문학사』와 후스(胡適)의 『백화문학사』를 비교함으로써 김태준의 학문적 독자성을 입증하고 전통 한문학으로부터 독립해 ‘조선문학’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했던 그의 학문적 입장을 고찰한다.
3부에서는 ‘화이관(華夷觀)’ 등의 전통 관념에서 벗어나 근대 민족국가 관념에 의거해 한국을 이해하려고 했던 루쉰의 ‘조선’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다. 또한 1920년대 경성제국대학 중국어 담당 교수로 서울에 체류하면서 균형 잡힌 시각으로 한중 관계를 다루고 일제 치하 조선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소개했던 웨이젠공(魏建功), 베이징에 칩거하던 한국의 독립운동가를 소설로 형상화한 타이징농(臺靜農) 등 루쉰의 제자들을 통해 공존과 호혜의 이념에 입각한 한중 지식인들의 교류를 조명한다.
4부에서는 중국의 대표적인 여성작가 장아이링과 한국의 무용수 최승희가 상하이에서 만나 좌담회를 가졌던 사실을 당시 중국 잡지에 소개된 글을 통해 밝혀내고, 좌담회 내용을 토대로 장아이링과 최승희 모두 전통문화를 바탕으로 하여 각기 문학과 무용에서 자국의 정서와 양식을 현대화해 표현하고자 했다는 공통점이 있었음을 설명한다. 또한 김일성 사망 소식을 알리는 신문을 들고 찍은 장아이링의 사진과 한국전쟁을 다룬 그녀의 장편소설 『적지지련』을 분석해 냉전체제의 이념을 극복하고 초월하고자 했던 장아이링의 심화된 문학적 주제를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이 외에 책의 말미에는 보론을 실어 1884년에 창간된 중국의 그림신문 『점석재화보』에 수록된 조선 관련 자료를 바탕으로 당시 조선의 사회 상황은 어떠했는지, 중국이 조선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살펴본다. 이와 더불어 이육사, 김태준, 루쉰, 장아이링의 전기적 사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각각의 연보도 함께 실었다.
목차
저자 서문
서장: 근대 한중 교류의 윤곽
제1부 이육사: 중국 유학을 계기로 중국 현대문학을 소개하다
제1장 이육사의 중국 유학
1. 절망적 현실과 무지개의 꿈
2. 베이징 ‘중국대학(中國大學)’ 유학
3. 베이징 중국대학의 실체와 학적 상황
4. 중국어 독해 능력과 중국어 번역
5. 전통과 근대의 내면화
제2장 이육사의 루쉰 대면과 중국 현대문학 소개
1. 동양 고전시와 중국 현대문학에 대한 열정
2. 루쉰 대면과 ‘문학적 실천’
3. 예술성과 사상성의 통일
4. ‘자기의식’과 ‘조선적 전통’ 또는 ‘동양적인 것’
제2부 김태준: 중국 신문학을 매개로 근대학문을 시작하다
제3장 김태준의 학문 연구와 동아시아 지평 속의 학문적 교섭
1. 경성제국대학의 새로운 학문 분야
2. 중국 신문예의 소개
3. 루쉰 문학의 이해와 학문 성과의 공유
4. 중국소설사에 대한 인식과 그 차이
5. 동아시아 지평 속의 학문적 교섭
제4장 김태준과 후스의 근대적 문학사 서술
1. 자국 문학사 서술
2. 중국 신문화운동의 자극
3. 전통문학의 이원대립적 구조
4. 민간문학·속문학의 중시와 학술문화운동
5. 한문학의 정체성
6. 시대적 한계와 문화운동의 특수성
제3부 루쉰(魯迅): 전통 관념에서 벗어나 한국을 이해하다
제5장 루쉰의 근대적 ‘조선’ 인식
1. 홍커우공원에서 루쉰공원으로
2. ‘신생의 희망’
3. ‘소리 없는’ 조선
4. 신언준과 카라시마 타케시의 루쉰 방문
5. ‘망국노’의 철학과 근대적 ‘조선’ 인식
제6장 루쉰과 그 제자들의 심화된 ‘조선’ 이해
1. 루쉰과 그 제자들
2. 웨이젠공의 조선 체험
3. 타이징농의 소설에 나타난 조선인 형상
4. 리지예가 소개한 일화: 김구경과 어느 일본인
5. 루쉰으로부터 받은 정신적 영향
제4부 장아이링(張愛玲): 한국과의 인연으로 문학적 주제를 심화하다
제7장 장아이링과 최승희, 그리고 한국전쟁 서사
1. 장아이링과 한국
2. 상하이 여작가와의 좌담회: 최승희와 장아이링의 만남
3. 『적지지련』의 한국전쟁 서사: 이념 대립의 극복과 초월
4. 『대조기』의 마지막 ‘몽타주’ 사진: 김일성 사망 소식
5. 장아이링과 선총원, 그리고 루쉰
제8장 장아이링의 서사 전략: 축적된 곤경의 기억
1. 대도시 상하이와 ‘경계지대’의 경험
2. 비극적인 시간의식과 시대문명에 대한 회의
3. ‘불철저’한 정체성과 ‘엇섞인 대조’의 묘사법
4. 순간의 진실과 기억의 슬픈 서사
5. 곤경의 기억과 실상의 계시
보론: 『점석재화보(點石齋畵報)』의 조선 재현 양상
1. 『점석재화보』의 내용
2. 『점석재화보』의 성격과 조선 관련 화보
3. 조선 관련 화보에 반영된 시각과 욕망
4. 조선 인식과 재현 양상
5. 화이관(華夷觀)을 넘어
연보
참고문헌
출전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