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기증도서동북아역사재단 기획연구 ;기획연구 6565

광개토왕비의 탐색

Exploring the Gwanggaeto stele

발행사항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15
형태사항
294 p. :. 삽화(일부천연색), 계보 ;. 23 cm
총서사항
기획연구 ; 동북아역사재단 기획연구
ISBN
9788961873710
청구기호
003 기획 65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6032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603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목차

학술 연구 과정에서 느낀 몇 가지 소감 : 호태왕비 연구를 중심으로 | 박진석
I. 머리말
II. 학술 토론에서 얻은 소감
III. 학술 연구와 자료의 관계
IV. 맺음말

호태왕비 발견과 초기 탁본 제작에 관한 새로운 자료 : 이초경의『 요좌일기』를 중심으로 | 쉬젠신
I. 호태왕비 발견과 초기 묵본 제작
II. 베이징에서 발견된 이른바1 881년본 묵본과 그 의문점
III. 이초경의『 요좌일기』 발견과 초보적 연구

퉁화시박물관 소장 호태왕비 탁본 | 겅톄화
I. 탁본 현황
II. 탁본의 문자 상황
III. 탁본 제작연대

광개토왕비와 문헌사료 : 근대 일본의 광개토왕비 해석과 고구려 왕계 소고 | 이노우에 나오키
I. 머리말
II. 전래기의 광개토왕비와 문헌사료의 고증
III. 광개토왕비와 기년 논쟁
IV. 광개토왕비와「 여기」에 보이는 왕계에 대한 선행연구 정리와 과제
V. 5세기 위궁에서 연까지의 고구려 왕계 : 『위서』「고구려전」의 고구려 왕계와 「여기」의 왕계 검토
VI. 5세기 초 궁에서 위궁까지의 고구려 왕계 :『위서』「고구려전」의 고구려 왕계와 「여기」의 왕계
VII. 대조대왕·신대왕·차대왕의 창조와「여기」의 왕계
VIII. 광개토왕비에 보이는 광개토왕의 왕계와「여기」의 왕계

광개토왕비와 지안고구려비 비교 연구 | 정호섭
I. 머리말
II. 비의 형태와 위치에 대한 비교 검토
III. 비의 내용 구성 및 성격 비교 검토
IV. 맺음말

광개토왕릉비의 건국설화와 왕위계승 기사 검토 :지안고구려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여호규
I. 머리말
II. 광개토왕릉비 서언의 단락 구성
III. 건국설화에 나타난 유교식 용어의 수용과 변용양상
IV. 왕위계승 기사에 나타난 일계적 왕통의식
V. 맺음말

광개토왕릉비의 4면비 특성과 동북아시아적 전통 : 주변국가의 석비 및 기념물과의 비교 | 조법종
I. 머리말
II. 고구려에 수용된 판비형 2면비문화
III. 고구려에서 시작된 석주형 4면비문화
IV. 4면비문화의 확산
V. 맺음말

김육불의 광개토왕비 연구 | 김현숙
I. 머리말
II. 1920년대 김육불의 광개토왕비 연구
III. 1930년대 이후 김육불의 광개토왕비 연구
IV. 맺음말

저자 소개
저자 박진석
1926년 8월 현재의 圖門市 樺田洞에서 출생
1952년 10월 연변대학 역사학부를 필업그 후 주로 이 학교 조선문제연구소와 역사학부에서교학과 연구사업에 종사역사학교수
1991년 5월 이직 휴양(離休).

주요 저서
<朝鮮通史> 1~3分冊(공역)
<朝鮮簡史>(공저)
<中國境內高句麗遺蹟硏究>(공저)
<中朝經濟文化交流史硏究>
<東夏史硏究>
<호태왕비와 고대조일관계 연구>
<高句麗好太王碑硏究>
<好太王碑拓本硏究>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

주제어
같은 분류의 자료

검색 페이지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해 보세요.더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