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1) | ||||
1자료실 | G0016304 | 대출가능 | - | |
지금 이용 불가 (1) | ||||
1자료실 | 00020041 | 대출중 | 2024.12.05 |
- 등록번호
- G001630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 등록번호
- 00020041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중
- 2024.12.05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1945년 남북 분단 이후, 현재 한반도는 상이한 질병구조와 보건의료체계하에 보이지 않는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통일이 갑작스럽게 이뤄진다면 재정적, 사회적으로 큰 위기 상황에 처할 수 있으며 통일 후에도 사회적 발전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최근 개성공단 폐쇄를 비롯하여 오래도록 중단된 남북 교류협력으로 인해 남북 간의 신뢰도는 계속해서 낮아지고 있으며, 현재 북한은 남측의 물자지원마저 거절 의사를 밝히고 있습니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남북한 통합 과정상 보건의료 영역을 통해 체제적 긴장관계에서 벗어나 빠른 화해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입니다. 상호적대적인 분단체제이긴 하지만 건강한 통일 조국을 위해 보건의료 영역에서의 지원과 협력의 노력이 시급합니다. 이에 따라 저자들은 남북한 통일을 대비한 효율적인 보건의료 통합을 위해 북한의 보건의료에 대한 기본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아래 다섯 가지 주제의 북한 보건의료 현황과 이슈를 종합 저술하였습니다. 첫째, 통일을 대비한 남북 보건의료 지원 ·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였습니다. 둘째, 북한 보건의료 체계의 특징과 전달체계, 인력현황 및 양성체계, 조직체계를 설명하였습니다. 셋째, 북한의 주요 보건지표 현황을 요약하였습니다. 넷째, 남한 정부와 국제사회의 대북 보건의료 지원 경향을 분석하여 파악하고자 하였습니다. 다섯째, 통일을 대비한 남북 보건의료 통합의 주요 이슈인 대북 보건의료 지원, 보건의료교류협력 방안, 탈북의사 자격 인정 및 재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본 저서에 제시된 북한의 보건의료 현황 및 지원방안이 통일을 준비하고 있는 보건의료 영역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또한 통일의료의 기본서로서 예비 통일 보건의료 전문가 양성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본 저서를 출간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신 대북 보건의료 지원활동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통일의학센터 연구진 및 자문위원분들과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관계자분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16년 12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통일의학센터 소장
신희영
목차
서울대학교통일학연구총서를 내면서 •v
추천사 •vii
머리말 •ix
약어 •xix
제1장 통일과 보건의료
통일 대비 남북 보건의료 지원·협력의 필요성 •1
제2장 북한 보건의료 체계
제1절 북한 보건의료 체계 특징 •8
1. 무상치료제 •9
2. 예방의학제도 •14
3. 의사담당구역제도(호담당의사제) •15
제2절 북한 보건의료 전달체계 •18
1. 보건의료 전달체계 개요 •18
2. 의료기관 현황 •20
3. 비공식 보건의료 전달체계: 장마당과 약품 전달체계 •32
더 알아보기 ➊ 북한의 병원 체계는 남한과 어떻게 다를까? •36
제3절 북한 보건의료인력 현황 및 양성체계 •38
1. 북한 보건의료인력 현황 •38
2. 북한 보건의료인력 양성체계 •39
xii 통일 의료: 남북한 보건의료 협력과 통합
제4절 북한 보건의료 정책· 행정 조직 체계 •48
1. 조선로동당 및 국가기구 조직 •48
2. 북한 보건의료 정책 및 행정 조직 •52
3. 대외원조 수원 조직 •58
더 알아보기 ➋ 북한 의학잡지 알아보기 •63
제3장 북한 주요 보건지표 현황
제1절 기초 보건지표 •67
1. 인구학적 특징 •67
2. 기대수명 •70
3. 사망률과 사망원인 •72
4. 질병부담 •75
제2절 모자보건 •77
1. 모성 사망률과 사망원인 •77
2. 아동 사망률과 사망원인 •81
3. 모자보건 주요 지표 현황 •83
제3절 감염성 질환 •94
1. 결핵 •94
2. 말라리아 •101
3. B형간염 •105
4. 기생충 •107
제4절 비감염성 질환 •110
1. 비감염성 질환 실태 •113
2. 위험요인 •119
3. 기타 비감염성 질환 •123
더 알아보기 ➌ 독일 통일과 주요 건강 지표 변화 •127
제4장 국내외 대북 보건의료 지원
제1절 대북 보건의료 지원의 추진 과정 및 분석 범위 •132
1. 대북지원 추진 배경 및 변천 과정 •132
2. 대북 보건의료 지원 분석 범위 •135
제2절 국외 대북 보건의료 지원 •141
1. 대북 보건의료 개발지원 •141
2. 인도적 대북 보건의료 지원 •149
제3절 국내 대북 보건의료 지원 •153
1.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대북지원 •153
2. 남북협력기금을 통한 대북 보건의료 지원 •155
제4절 요약과 결론 •174
더 알아보기 ➍ 북한을 가장 많이 지원하는 나라는 어디일까? •177
제5장 통일을 대비한 남북 보건의료 통합 주요 이슈
제1절 통일을 준비하는 대북 보건의료 지원 •181
1. 기존 대북 보건의료 지원의 역할 •181
2. 대북 보건의료 지원의 향후 역할 •187
제2절 지속가능한 남북 보건의료 교류협력 증진 방안 •190
1. 남북 보건의료 R&D의 필요성 •190
2. 남북 보건의료 R&D의 기획 •192
3. 기대효과 •198
제3절 탈북의사 자격 인정 및 재교육 방안 •198
1. 탈북의사 자격 인정 및 재교육 방안의 필요성 •198
2. 탈북의사 자격 인정 방안 •201
3. 탈북의사 재교육 방안 •206
4. 기대효과 •210
참고문헌 •211
부록1. 남북 보건의료의 교류협력 증진에 관한 법률안 •227
부록2. 남북 관계 보건의료 분야 주요 일지(1993~2016년) •234
찾아보기 •245
Abstract •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