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한국 사람 만들기. Ⅰ: 제1부 조선 사람 만들기 제2부 친중위정척사파

개인저자
함재봉 지음
발행사항
서울 :,아산서원,,2017
형태사항
450 p. : 삽화, 초상, 사진 ; 23 cm
ISBN
9791196193416 9791196193409(세트)
청구기호
309.1 함72ㅎ
서지주기
참고문헌(p.430-437)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1자료실00016512대출가능-
1자료실G001724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0001651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 등록번호
    G001724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한국 사람은 누구인가?’ 유태인(Jew)들은 어디에 살든 유태인이다. 중국 본토 바깥에 사는 모든 중국 사람들 또한 어디에 살든 모두 ‘화교’라고 불린다. 그러나 한국에 사는 사람들을 ‘조선 사람’이라 하지 않고, 북한에 사는 사람들은 ‘한국 사람’이라 하지 않는다. ‘코리안’이라는 불리는 우리에겐 비단 공통의 단어만 없는 것이 아니다. 한국 사람과 조선 사람(북한 사람), 재미 교포와 재일 교포, 조선족과 고려인 사이의 공통점도 사실 찾아보기 힘들다. 이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것이 있는가? 언어인가? 이념인가? 종교인가? 과연 ‘한국 사람’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것은 무엇인가?

저자 함재봉은 이 책에서 “‘한국 사람’이란 무엇이다”라고 규정하지 않는다. 그는 ‘한국다움’이 무엇인지, 무엇이 ‘한국 문화’인지, 누가 ‘한국 사람’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다음 다섯 가지 담론의 틀로 풀어나간다. ‘조선 사람’이 해체되고 ‘한국 사람’이 탄생하는 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해 온 정치적, 지정학적, 이념적 요소들을 압축적으로 망라하는 이 다섯 가지 담론의 틀은, ‘친중위정척사파’, ‘친일개화파’, ‘친미기독교파’, ‘친소공산주의파’, ‘인종적 민족주의파’로 정리된다. 저자는 해당 담론들을 입체적으로 묘사하며, ‘한국 사람’이라는 의미의 망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 사람’의 기저를 형성하고 있는 다섯 가지 인간형의 정치적, 국제 정치적, 사상적 배경을 추적한다.

총 5권의 시리즈로 진행될 『한국 사람 만들기』 제 1권의 1부 <조선 사람 만들기>에서는 한국 사람이 대체하고 있는 조선 사람의 형성 과정과 정체성을 추적한다. 2부 <친중위정척사파>에서는 17세기, 조선 초기의 급진 개혁을 통해 탄생한 조선 사람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과정을 소개하며, 그 시대적·사상적·정치적 계보를 추적한다.
목차

한국 사람 만들기 서문
‘한국 사람’은 누구인가? 5
한국 사람은 20세기 후반에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8
‘조선 사람’에서 ‘한국 사람’으로 9
다섯 종류의 한국 사람 11
‘한국 사람’이라는 담론의 틀 13
한국 사람의 계보학 17
방법론에 대하여 19
감사의 말씀 23

제1부 조선 사람 만들기
서론 34

제1장 고려 사람 대 조선 사람 40
1. “장가가지 말고 시집가라” 40
2. 장가만 갔던 고려 사람들 43
3. 고려의 근친혼 풍습 49
4. 처가살이한 조선 사람들 51
5. 제사를 거부한 조선 사람들 53

제2장 주자성리학의 정치경제 58
1. 중국의 강남 개발 59
2. 강남농법과 송의 경제 혁명 66
3. 송대의 국가-시장 관계 71
4. 송의 영화 75

제3장 ‘선비’의 탄생 80
1. 과거제도와 ‘사’의 탄생 81
2. 문학에서 도학으로 85
3. 주자와 강남농법 87
4. ‘사’와 예의 부활 89
5. ‘사’와 종법제도의 부활 92
6. 주자가례의 완성 96
7. 명의 대안 101

제4장 조선의 혁명 104
1. 원과 고려: 주자학 문명 도입의 창구 104
2. 세종의 급진 개혁 109
3. 조선의 농업 혁명 114
4. 조선 향촌 질서의 구축 117
5. 족보와 집성촌의 탄생 123

결론 126


제2부 친중위정척사파
서론 132

제1장 병자호란과 명의 멸망 138
1. 명의 쇠퇴와 여진족의 등장 143
2. 누르하치의 부상 145
3. 팔기군의 탄생 148
4. 몽골의 항복과 요동 함락 152
5. 청태종과 도르곤 155
6. 청의 성공 요인 162

제2장 청의 대륙 정복과 중국 지식인들의 반응 170
1. 중국 지식인들의 반응 171
2. 황종희의 주자학, 양명학 비판 174
3. 고염무와 왕부지, 안원의 주자성리학 비판 178
4. 고증학의 태동 182

제3장 청의 대륙 정복과 조선의 대응 184
1. 소현세자: 닫히는 조선의 첫 희생양 185
2. 송시열과 「기축봉사」 192
3. 숭명반청 이념의 체제화 198
4. 제1차 예송 199
5. 제2차 예송 206
6. 예송의 세 가지 논점 207
7. 주자성리학 근본주의와 도통이론 213
8. 주자성리학 근본주의와 남존여비 사상 217
9. 양주일기의 기록 222

제4장 천주교의 도전 226
1. 예와 신앙 227
2. 이익: 주자성리학과 천주교의 만남 232
3. 주자학적 금욕주의와 천주교의 침투 236
4. 정약용과 상제의 역할 244
5. 신앙으로서의 천주교 248
6. 강희제와 교황 클레멘트 11세의 전례 논쟁 250
7. 조선의 전례 논쟁과 제사 거부 253
8. 천주교 박해의 시작: 신유박해 257
9. 황사영 백서 사건 261
10. 파리외방전교회와 조선 선교의 시작 263
11. 기해박해와 프랑스 함대의 출현 266

제5장 아편전쟁과 태평천국의 난, 동치중흥 272
1. 제1차 아편전쟁 273
2. 제2차 아편전쟁 278
3. 베이징 함락과 원명원 약탈 281
4. 태평천국의 난과 후난학파 294
5. 상군의 결성 300
6. 상군의 성공 요인 303
7. 상승군의 역할 308
8. 동치중흥의 실패 311

제6장 위정척사파와 쇄국 정책 314
1. 양이의 출현 315
2. 조선의 중국 정세 정탐 317
3. 병인박해 319
4. 제너럴셔먼호 사건 324
5. 병인양요 328
6. 이항로의 척사 사상 334
7. 신미양요 343

제7장 위정척사파와 흥선대원군의 대립 354
1. 조선 경제의 모순 355
2. 조선 정치의 모순 361
3. 흥선대원군의 개혁 362
4. 마지막 선비 최익현 364
5. 왕도 정치 대 부국강병 372
6. 고종의 친정과 조선 경제의 몰락 377

결론 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