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이 글은 대북제재를 둘러싼 세 가지 논쟁을 소개한다. 첫째, 대북제재의 효과와 관련해서는 대체로 경제적 효과가 있다는 의견이 다수이지만 정책적 효과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고 있다. 하지만 최근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약속한 후 중국이 경제지원을 약속하자 다시 강경한 태도로 나오는 것을 볼 때 제재의 정책적 효과 또한 있다고 보인다. 둘째, 제재완화의 요건과 관련해서는 제재 유용론을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비핵화가 불가역적 단계에 도달하기 전에는 제재를 완화해서는 안 된다고 보는 반면, 제재의 경제적 혹은 정책적 효과 무용론을 주장하는 입장에서는 단계적 비핵화에 따라 ‘행동 對 행동’ 원칙에 따라 제재를 단계적으로 완화해야 한다고 본다. 이와 별도로 유엔제재 해제와 5.24 조치 해제를 어떻게 연계해야 하는가를 둘러싸고 새로운 쟁점이 형성되고 있다. 셋째, 남북경협 재개의 조건과 관련해서는 현 제재국면에서 남북경협 추진이 가능한지, 가능하다면 어떤 분야에서 어느 수위로 추진해야 할 것인지를 둘러싸고 논쟁이 전개되고 있다. 또한 유엔제재 해제 이후 한반도 신경제구상 추진과 관련하여 미국의 독자 제재를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측과 한국의 이니셔티브를 강조하는 측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미리보기

대북 경제제재PDF
첨부
번호 | 제목 | 유형 | |||
---|---|---|---|---|---|
1 | 대북 경제제재 | 1.5 MB |
- 1대북 경제제재PDF1.5 MB
주제어
같은 분류의 자료
- 최근 북한의 위협과 우리 정부의 대응책
- North Korean Human Rights: Recommendations for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the U.S. Congress
- 개성공업지구 노동규정의 운영상황 분석과 향후 제도 개선방향
- 웹자료A New U.S. Policy toward Korea: Korean American Recommendations for Real Change
- 남북관계 긴장국면 속에 가려진 북한주민, 무엇을 생각하고 무엇을 꿈꾸는가
검색 페이지에서 더 많은 자료를 확인해 보세요.더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