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한국국학진흥원 교양총서 오래된 질문을 다시 던지다 02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 선한 정감은 어디에서 오는가

개인저자
이상호 지음
발행사항
파주 : 글항아리, 2011
형태사항
259 p. : 천연색삽화, 지도, 초상 ; 22 cm
ISBN
9788993905823
청구기호
151.5 이51ㅅ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6588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6588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한국국학진흥원 교양총서
‘오래된 질문을 다시 던지다’ 시리즈 2~3권 출간


한국국학진흥원 기획 ‘오래된 질문을 다시 던지다’ 시리즈의 2권과 3권이 출간되었다. 동아시아의 삶과 문화를 이끌어온 사상사의 주요 개념을 통시적·계보적으로 짚어보는 이 시리즈는 2011년 1월 동아시아 사상의 슈퍼스타 ‘인仁’을 살펴본 『사람다움이란 무엇인가』(신정근 지음)를 제1권으로 시작되었고, 이번에 제2권으로 ‘사단칠정四端七情’의 문제를 둘러싼 철학적 담론의 역사를 밝힌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이상호 지음)와 제3권으로 인간의 삶을 질서와 억압 사이에 위치시킨 채 끊임없이 조율해온 ‘예론禮論’의 전개과정을 살핀 『예, 3천년 동양을 지배하다』(박종천 지음)를 동시에 펴냈다.
제1권이 사람다움을 추구한 사상적 흐름을 다뤘다면, 이번에는 동양적 사유에서의 ‘정감情感’의 문제와 ‘사회적 질서의 기원’이 핵심 테마로 다루어졌다. 전자는 개인적이고 즉흥적인 정감을 수양을 통해 이타利他적인 정감으로 만들어온 과정을 주로 다루었고, 후자는 사람 사이의 소통이 어떻게 일정한 형식을 이루고 제도화되는가의 과정을 탐구했다.
이번에 나온 두 책 또한 ‘오래된 질문’을 다시 던지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하지만 그 초점은 서로 약간씩 다르다.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는 동서양의 차이를 부각시킨다. 서양의 ‘필로소피philosophy’ 전통에서는 ‘정감情感’은 철학함의 주요 대상이 아니었지만, 동양적 전통에서는 중요한 사유의 대상이었고, 그에 얽힌 수많은 문헌과 논쟁이 존재한다. 『예, 3천년 동양을 지배하다』는 봉건적 예치시스템이 인간을 억눌러온 측면보다는 예禮라는 것이 추구한 인간 사이의 소통의 노력, 삶을 아름답게 꾸미는 미학적 테크놀로지에 더 주목하고 있다.

두 책의 구성과 다루는 내용

두 책의 미덕은 무엇보다 수천 년의 시공간 속에서 사단칠정과 예와 관련된 주요 문헌과 문장들을 꼼꼼히 리뷰해주는 것이다. 저자들은 해당 주제가 어떻게 처음 역사에 등장하여 서서히 형성되고 풍부한 사유로 자라났는지, 그러한 과정에서 어떠한 여러 사유들이 서로 부딪히고 길항하고 융합되었는지를 정리해나간다.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는 1장 ‘해설로 읽는 사단칠정’과 2장 ‘원문으로 읽는 사단칠정’으로 구성된다. 1장에서는 왜 ‘선한 감정四端’을 묻는가라는 연구 의의를 밝혔으며, 사람이 함께 살아가는 데 있어서 정감의 위험성이 먼저 인식되었다는 것, 그런 과정에서 우연히 선한 정감의 발견이 이루어지고, 선한 정감의 객관적 증거들이 제출되기 시작했다는 것, 이후 사단칠정 논쟁이 벌어지고, 조선 주자학 내부에서 논쟁이 어떻게 이어지고 계승되었는지를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현대적 정감 윤리’라는 것을 어떻게 정초할 수 있는지를 밝혔다.
2장에서는 총6단계에 걸쳐서 원문읽기가 이뤄진다. 『예기』에 집약된 상고시대부터의 ‘정감’에 대한 사유의 단초가 제시된 다음, 맹자와 주자를 거쳐 조선의 이황과 기대승, 이이와 한원진 등 익히 알려진 계보를 차근차근 밟아가며 소개한다.

『예, 3천년 동양을 지배하다』는 제1장 ‘풀이하는 글’에서 예禮의 기본 의미를 제사의례, 도덕실천, 문화관습, 사회제도로 나누어 살폈고, 예의 구조와 특성, 예의 역사와 예에 대한 비판적 관점 소개, 예의 현대적 가치와 의의 등을 짚었다. 제2장 ‘원전과 함께 읽는 예禮’에서는 『설문해자』 『예기』 『순자』 등의 고대문헌부터 정약용의 『여유당전서』 등 후대의 문헌까지 예를 핵심을 담고 있는 원전을 번역하고 풀이했다. 저자는 예가 ‘근본에 보답하는 의례’에서 출발하여 ‘공동체를 다스리는 질서와 제도’로 나아갔으며 ‘도덕적 실천과 문화적 관습’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거쳐 ‘문화적 제도와 문화적 통치’라는 예법禮法과 예치禮治로 확고화 되었다고 보고 있다. 즉, 4단계로 예가 제도화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사유의 원전들을 소개한 다음 5단계 ‘예의 비판자들’에서는 노자, 장자, 장유, 루쉰 등을 통해 그것이 어떤 논쟁을 불러일으켰는가도 살펴보았다. 가령 노자의 『도덕경』에서는 예를 상실과 퇴화의 산물로 보았으며, 루쉰은 『광인일기』에서 “예교가 사람을 잡아먹는다”는 표현으로 날선 비판을 응축시키기도 했다.

『사단칠정 자세히 읽기』의 특징과 원문

저자는 지금까지 사단칠정四端七情의 논의가 누가 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가에 집중하는 서양의 필로소피 방식으로만 살펴져왔다는 문제제기를 먼저 던진다. 그에 따르면 사단칠정 논쟁의 목적은 개인적으로 즉흥적인 개인의 정감을 수양을 통해 이타적인 정감으로 만들어가는 데 있었다. 올바른 수양의 방법을 확보하기 위한 이론의 설정 과정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논쟁의 결과를 통해 제시되는 ‘올바른 수양의 방법’은 실천의 영역이며 동시에 글로 표현될 수 없는 영역이다. 서양 필로소피의 전통에서는 이러한 것을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개인의 수양이 필로소피의 대상이 아닌 한, 필로소피를 통해 사단칠정 논쟁을 이해하기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것이 저자의 인식이다.
저자는 또한 ‘선한 정감’에 대한 이론적 차이가 구체적 수양의 차이를 낳으면서, 이 과정에서 사단칠정 논쟁이 터졌다는 관점을 가지고 논쟁의 의미를 정리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이론적 차별성이 학파적 양상으로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조선 사회에서 사단칠정 논쟁의 역할도 살펴보고 있다. 아래는 본문에 나오는 원문의 일부이다.

“나에게 있는 네 가지 선한 정감의 실마리를 넓히고 넓혀서 마음 전체로 가득 채워擴充갈 줄 알면, 마치 불이 처음에는 조금씩 타다가 급격히 번져가고 샘이 갑자기 솟아오르는 것과 같아진다. 이렇게 실마리를 확장하여 마음 전체에 채우게 되면 온 천하를 도덕적으로 다스릴 수 있는 사람이 된다. 그러나 이것을 마음 전체로 채우지 못한다면, 부모님도 섬기지 못할 것이다.”(『맹자』 「공손추상」 6)

“본성은 마음이 가야 할 길이자 이치이고, 마음은 몸을 주재하는 것이다. 선한 정감(사단)도 정감情이니, 이는 마음이 정감의 활동으로 드러난 것이다. 선한 정감의 씨앗은 마음에서 발아한 것이니, 이렇게 될 수 있는 까닭은 사람의 본성으로 주어진 하늘의 이치가 마음속에 있기 때문이다.”(『주자어류朱子語類』 「성정심의등명의性情心意等名義」)

“선한 정감四端도 정감이고 일반 정감七情 역시 정감입니다. 그런데 이 둘 모두가 정말 같은 정감이라면 굳이 선한 정감이니 일반 정감이니 하면서 달리 부르겠습니까? 공께서 보낸 편지에서 말한 것처럼 ‘가리켜 말하는 바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이치理와 기氣는 서로 짝하기 위해 기다리는 상태가 그 자체가 본질적 모습體이며, 이 둘이 짝하여 합하게 되면 다양한 형태나 모습으로 드러나는 것用입니다. 진실로 이치 없는 기는 없고, 기 없는 이치도 없습니다. 이 때문에 가리켜 말하는 것이 다르다면 구별해야 마땅하겠지요. 옛날 성현들께서는 언제 이치와 기에 대해서 말하면서 이 둘을 뭉뚱그려 하나의 존재에 불과하다고 하면서, 구별하지 않고 말한 적이 있었습니까?”(『양선생사칠리기왕복서』 「퇴계답고봉사단칠정분리기변退溪答高峰四端七情分理氣辯」
목차

책머리에

Ⅰ. 해설로 읽는 사단칠정
1. 왜 ‘선한 정감’을 묻는가
2. 정감의 위험성과 선한 정감의 발견
3. 선한 정감의 객관적 근거
4. 사단칠정 논쟁-선한 정감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5. 논쟁의 계승과 전개-조선 주자학의 학파 분리
6. 현대적 계승, 정감 윤리의 정초

Ⅱ. 원문으로 읽는 사단칠정
1. 01단계_ 일반 정감과 정감 윤리의 출발
2. 02단계_ 선한 정감의 발견과 수양
3. 03단계_ 우주의 보편적 이치와 선한 정감
4. 04단계_ 사단칠정 논쟁과 선한 정감의 근거
5. 05단계_ 선한 정감과 퇴계학파의 사단칠정론
6. 06단계_ 선한 정감과 율곡학파의 사단칠정론

Ⅲ. 원문 및 함께 읽어볼 자료
1. 원문
2. 더 참고하면 좋은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