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성균중국연구총서 31

전환시대 중국정치의 논리

대등서명
當代中國政治思潮
발행사항
서울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1
형태사항
499 p. ; 23 cm
ISBN
9791155504574
청구기호
340.912 류13ㄷ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8660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8660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 현대 중국의 정치사조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정치사조는 현대 중국의 정치발전과정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가?
- 중국 정치사조는 이후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
- 현대 중국 정치사조가 한국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정치사조는 한 시대의 음표와 같다. 역사의 밀물과 썰물 속에서 우리는 사회변혁과 정치변혁이 만들어내는 리듬과 선율을 듣게 된다. 정치사조는 물질적 제약과 현실적 유혹의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한 시대를 가장 직관적으로 포착한 사상의 사진이다. 정치사조는 가치와 사상, 그리고 언어를 통해 정치적 개입을 이뤄내는 문화적 역량이다.

정치사조는 관념사 속에서의 영원불변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한 시대의 정치적 주제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자신의 자주적 진화를 추구하는 데 있지 않고, 특정 시대의 핵심 문제에 대한 생각을 밝히는 것이다.

이 책은 당대의 중국 정치사조를 체계적으로 연구한 첫 번째 저서로, 정치학의 시각으로 정치사조 변천의 궤적과 논리를 추적했다. 또한 각종 사조의 정치적 입장과 실천적 지향점을 분석하고, 각종 사조의 실천 노선과 정치적 위치를 집약했다. 이 책은 개혁개방 이래 30여 년간의 정치적 기억을 되살려낸 작업이자, 미래 중국정치에 대한 숙고를 담고 있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제1장 정치사조에 대한 개론적 이해

1. 정치사조의 함의
2. 정치사조 부상의 외재적 조건
3. 정치사조 발전의 내재적 논리
4. 정치사조의 주제

제2장 가치의 재건을 위한 현대 중국의 정치사조

1. 인도주의: 국가이데올로기에 대한 재평가
2. 신전통주의: 가치재건을 위한 정치적 노력

제3장 권위체제 개조를 위한 현대 중국의 정치사조

1. 서구화 사조: 권위체제에 대한 급진적 개조
2. 신권위주의: 권위체제의 실용화 개조
3. 엘리트주의: 권위체제에 대한 지식화 개조
4. 정치생태주의: 급진과 보수의 조화

제4장 국가-사회 관계의 재구성을 위한 현대 중국의 정치사조

1. 시민사회 사조: 국가-사회 관계 재구성을 위한 노력 (1)
2. 자유주의: 국가-사회 관계 재구성을 위한 노력 (2)
3. 신좌파: 국가-사회 관계 재구성을 위한 혁명적 시도
4. 자유주의와 ‘신좌파’의 논쟁

제5장 정부 개혁을 위한 현대 중국의 정치사조

1. 제3의 길: ‘좌’와 ‘우’ 넘어서기
2. 거버넌스와 선치(善治): 정부 개혁에 대한 호소

제6장 세계화에 대응하기 위한 현대 중국의 정치사조

1. 세계화와 반(反)세계화
2. 민족주의: 포스트 냉전시대의 반응

맺음말
1. 중국 지식집단의 ‘현대적 특성’
2. 정치사조의 개입원리
3. 정치사조의 세 가지 면모

참고문헌

저자 소개
저자 류젠쥔
푸단대학 국제관계와 공공사무학원 정치학과장, 교수, 박사생 지도교수로서 중국 고금의 정치제도와 비교정치, 사회 거버넌스와 기층 거버넌스를 주로 가르치고 연구하고 있다. 현재 푸단대학 당대중국연구센터 주임이며, 마르크스주의학원 부원장을 겸하고 있다. 또한 상하이시 민정국 정책자문위원을 맡아 학자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단위중국(單位中國)』, 『전환시대 중국정치의 논리(當代中國政治思潮)』, 『사구중국(社區中國)』이 있다.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