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연구원발간물

동서 화해사상으로 본 통일공동체의 상과 과제

발행사항
서울: 통일연구원, 2020
형태사항
349 p.; 23 cm
ISBN
9791165890223
청구기호
000 기타20-01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1자료실G0017701대출가능-
1자료실G001770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G001770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 등록번호
    G001770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본 연구는 남북한이 과거의 적대적 갈등 관계를 청산하고 평화체제 구축과 통일공동체 수립으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화해의 과정에 초점을 맞춰 다음과 같은 근본적 질문에 대해 정치사상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화해의 의미는 무엇인가? 갈등과 분쟁의 종식 또는 부재가 화해인가? 폭력의 부재가 화해인가? 폭력은 부재하더라도 비폭력적 갈등이 지속될 경우 이를 화해로 볼 수 있는가? 용서와 망각, 관용, 경제적 보상, 치유와 화해의 관계는 무엇인가? 화해를 위한 전제 조건은 무엇인가? 화해는 평화로 나아가기 위한 과정인가 아니면 그 자체로 목적인가? 화해를 위한 구체적 수단과 방법, 절차는 무엇이 있는가? 화해 이후 갈등 재발을 막고 화해를 지속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는 정치사상적 관점에서 이러한 근본적 물음에 대해 성찰하고 이를 통해 화해의 의미와 조건, 화해를 위한 수단과 방법, 갈등의 재발을 막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위한 방안 등에 대해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Ⅱ부에서는 서양에 초점을 맞춰 고대 그리스 시대 플라톤의 화해 사상과 나치 독일의 홀로코스트 이후 화해를 고민한 아렌트(Hannah Arendt)의 화해 사상에 대해 살펴본다. Ⅲ부에서는 동양에 초점을 맞춰 “구동존이”를 중심으로 한 유교의 화해 사상, 조선 건국을 배경으로 고려의 정치세력과 조선의 건국세력 간 화해, 해방 이후 좌우 이념 대립 과정에서 정치 세력 간 화해를 모색한 안재홍과 조소앙의 화해 사상에 대해 살펴본다. Ⅳ부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사례에 초점을 맞춰 미국 남북전쟁 이후 남부와 북부 사이의 화해 과정과 독일 통일 이후 동서독 사이 화해를 모색하는 과정에 나타난 정의와 화해의 딜레마에 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V부에서는 본 연구가 남북한 평화 체제 구축과 통일 공동체 수립을 위해 제시하는 함의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본 연구는 다양한 행위자들 사이에 다양한 방식으로 화해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화해 방법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화해가 공론의 장에서의 토론과 설득, 강력한 리더십을 통한 이해 조정과 합의 도출 및 제도화, “공적인 정치세계” 창설, 화이부동과 구동존이, 정치적 사면과 복권, 대동단결과 삼균주의, 국립묘지 안장과 같은 상징적 화해조치, 처벌 대신 진실을 기록으로 남기는 방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는 갈등을 경험한 사회와 집단이 공동체로서 유지되기 위해서는 때로는 “정의의 원칙”에 대한 “근본적 화해” 대신 하버마스(Jurgen Habermas)가 “공론장”으로 부르는 또는 아렌트가 “공적인 정치세계”로 부르는 정치적 공간을 창출하고 이 공간에서 대화와 타협을 통해 합의가 상대적으로 쉬운 절차에 대해 우선적으로 합의함으로써, 또는 상호 이해갈등을 조정하고 필요할 경우 잠재적으로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언급을 회피함으로써 “정치적 화해”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함을 다양한 정치사회적 맥락 속에서 보여준다. 동시에 본 연구는 제노사이드나 나치의 유대인 집단 학살 등과 같이 보편적 인륜에 반하는 행위의 경우는 “정치적 화해”의 문제가 아니라 우선 사실을 명확히 밝히는 “진실의 문제,” 정의의 원칙을 바로 세우는 “처벌의 문제,” 그리고 “피해자”가 “가해자”를 용서하는 “용서의 문제”로 접근해야 함을 강조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남북한 간 화해와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남북한 간 통일공동체 수립을 대비하는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남북한 간 통일공동체 수립을 위해 무엇보다도 마음과 정신의 화해와 공존, 그리고 통합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현재 좌우 이념의 극한 대립을 보여주고 있는 대한민국 정치부터 적대감을 극복하고 공존의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동서양 화해의 정치사상에 초점을 맞춰 화해의 다양한 측면과 다양한 방식에 대해 살펴보는 본 연구가 향후 남북한 간 화해와 평화체제를 구축하고 남북한 간 통일공동체 수립을 대비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갈등을 넘어 화해로|김범수 1. 들어가며 2. 화해의 다면성과 다층성 3. 동서양의 화해사상 4. 마치며: 화해의 의의와 과제 Ⅱ. 서양의 화해사상 1. 고대 아테네 사회의 갈등을 통해 본 공존과 화해|황옥자 2. 정치적 화해의 스펙트럼: 어떤 정치, 어떤 화해인가?|김비환 Ⅲ. 동양 및 한국의 화해사상 1. 유교정치사상에 나타난 화해 개념과 전통 |안외순 2. 조선 건국과정의 재검토: 고려 세력과의 화해 노력과 한계|이하경 3. 경계 위에 놓인 중도의 화해사상: 안재홍과 조소앙을 중심으로|윤대식 Ⅳ. 현대 사회의 화해사상 1. 내전기 미국의 전사자, 갈등에서 화해의 존재로: 남북한 화해를 위한 상상|하상복 223 2. 통일 이후 독일의 화해사상: 정의와 화해의 딜레마를 중심으로|표광민 3. 맺음말: 통일 이후 독일 화해의 한반도 평화에의 함의 Ⅴ. 결론: 한반도 통일 공동체의 상(像)과 과제|박의경 1. 분열과 갈등의 역사를 넘어 2. 화해, 공존, 평화의 순환구조 3.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한 민주주의의 역할 4. 한반도에서의 평화로운 통일 공동체 구상 5. 통일 공동체를 향한 우리의 과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