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단행본

우리는 왜 서로를 미워하는가: 편 가르기 시대 휘둘리지 않는 유권자를 위한 정당정치 안내서

대등서명
Why we're polarized
발행사항
파주 : 윌북, 2022
형태사항
342 p. : 도표 ; 22 cm
ISBN
9791155814888
청구기호
340.942 클231ㅇ
일반주기
원저자명: Ezra Klein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9381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938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 지금 이 시대 미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젊은 저널리스트 에즈라 클라인의 첫 책
★ 정치경제학자 프랜시스 후쿠야마 추천
★ VOX 창립자이자 《뉴욕 타임스》 칼럼니스트의 날카로운 시선
★ 현장에서의 경험과 인터뷰, 방대한 전문 자료를 한데 모은 정치 양극화의 모든 것
★ 출간 즉시 언론과 지식인의 찬사를 받은 책

언론 혁신의 선두주자 VOX의 창립자이자, 《뉴욕 타임스》 칼럼니스트, 자신의 이름을 딴 팟캐스트 진행자인 에즈라 클라인. ‘클라인 저널리즘’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로 독보적 정치 평론가로 이름을 날려온 그가 첫 책을 출간했다. 시대의 변화를 날카롭게 읽어내고 그 안에서 사람들의 행동 동기까지 관찰하는 날렵하고 독창적인 평론으로 유명한 그가 주목한 주제는 시대의 분열을 만들어내는 ‘정치 양극화’다. 우리 편과 저쪽 편만 있는 정치, 빨간색과 파란색으로만 구분되는 정치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다르지 않다.
이 책의 특징은 양극화를 만들어내는 한 인물을 악으로 설정한다거나 유권자 개인의 비합리를 지적하며 비난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같은 시스템을 가진 사람들이라면, 그리고 같은 심리 기제를 가진 인간이라면 ‘서로가 서로를 미워하는’ 이 문제적 메커니즘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저자는 역사적·심리적·인구지리학적·정치학적 원인을 꼼꼼히 탐색해나간다.
버락 오바마를 포함하여 일선의 정치인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해온 저자가 귀 기울여온 현장의 목소리와, 인터넷 태동기부터 매체의 변화를 목격해온 젊은 저널리스트 자신의 목소리는 외부자와 내부자로서의 시선이 교차하는 상호보완적인 관점을 보여주며 더욱 풍요로운 논의의 장으로 이끈다. 그의 군더더기 없는 간명한 어법은 독자들에게 한순간도 지루할 틈을 주지 않는다.
도대체 왜 우리는 서로를 미워하며, 양극화에 해법은 있는 것일까? 이 질문에 응답하는 클라인의 명쾌한 분석을 실은 이 책에 미국의 주력 언론은 모두 찬사에 가까운 비평을 내놓았으며, 지식인들의 추천은 물론 독자들도 자신들을 돌아보게 하는 양서로 꼽았다. CNN은 올해의 정치서가 될 것이라 호평을 보냈고, 지금도 아마존 리뷰는 ‘우리를 각성시키는 책’이라며 계속 쌓여가고 있다.

둘 중 하나만 선택하는 정치가 바꿔놓은 세계를 어떻게 마주해야 할까?
정치 양극화는 확실히 근 몇십 년간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를 관통하는 하나의 현상이 되었다. 그리고 양극화된 정치가 우리 삶까지 갈라놓는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 양극화의 근본적인 문제는, 네 편 아니면 내 편 이렇게 편 가르기 형태로 정치를 바라보게 된다는 점이다.
두 가지 선택지만 있는 세계에서 우리의 라이프스타일과 삶의 영역만을 보고 정당을 유추할 수 있는 확률 또한 상당히 높아졌다. 이렇게 삶의 영역이 이분법으로 갈라지는 세계는 당연히 좋은 세계라고 할 수 없다. 정당의 정책이나 이념의 다양성은 두 가지로 갈라질 수 있는 영역이 아닌데도 이러한 세계에서 우리는 하나만을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놓일 수밖에 없다. 게다가 이 선택으로 나의 정체성이 드러나기 때문에 우리는 당을 선택함으로써 나를 표출하는 정체성 정치에 깊숙이 관여하게 된다.
두 편이 생겨날 때의 또 하나의 문제는, ‘상대편이 지는 것’을 목적으로 정치적 선택을 하게 된다는 사실이다. 이 책에서는 편 가르기 정치가 되었을 때 우리 행동의 기저원리를 유명한 심리학 실험을 통해 증명하고 있는데, 우리에게 이득이 없을 때조차도 상대방을 지게 하는 선택을 하게 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편 가르기 정치는 인간의 오래된 본능에 기초한, 상대를 적으로 인식하는 오래된 집단 심리를 자극한다. 이때의 정치는 마치 팀 스포츠와 유사하게 바뀌게 된다는 게 저자가 다양한 연구를 내놓으며 내린 결론이다.
이렇게 무의식과 비이성이 만들어내는 정치에서는 정책에 의한 투표가 불가능해지고, 올바른 정당정치로서의 정치 참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가난한 사람이 부자를 위해 투표하고, 똑똑한 사람이 최악의 정치적 선택을 하는 것은 이 두 개의 선택지가 만들어낸 집단 심리에 그 원인이 있다.
또한 저자는 시스템의 문제를 지적한다. 양극화는 어느 하나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것이 유기적으로 작동하는 시스템, 외부 변화 속에서 끝없이 심화하는 하나의 메커니즘으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팬덤에 가까운 정치, 상대가 싫어서 투표하는 선거, 상대를 비방하며 자신을 당화하는 미움의 정치는 양쪽 모두에게 상처만을 안긴다.

저널리스트로서, 시대의 변화를 바라보는 관찰자로서 매체가 만들어내는 양극화의 역학
에즈라 클라인이 바라보는 시선에는 언론인으로서의 내부자이자, 대안 언론의 창립자로서 미디어의 변화를 몸소 지켜보며 성장해온 한 세대의 날카로운 시선이 담겨 있다. 특히 인터넷 언론이 성장하고, 또 유튜브라는 새로운 매체가 생겨나면서 우리는 더욱더 선택적인 정보만을 취하게 되었다.

디지털 혁명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방대한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공했지만, 동시에 상상할 수 없을 만큼 더 많은 선택지를 제공했다. 선택의 폭발적 증가는 관심 있는 사람들과 무관심한 사람들 간의 간격을 더 넓혔다. 더 많아진 선택으로 인해 뉴스광들은 더 많이 배우게 되었지만 무관심한 사람들은 덜 알게 되었다.

그렇다고 우리가 더 다양한 의견에 노출될 때, 덜 양극화하는 것은 아니다. 실험에 따르면 상대편의 의견을 들을수록 양극화의 감정이 더 심해졌다고 한다. 특히 저자에 따르면 보수를 전하는 언론일수록 그 메시지가 더욱 보수화되는 경향이 있다고 말한다. 보수 언론은 가장 깊숙이 몰두하는 독자들을 위한 타깃에 가까운 메시지를 전한다.

디지털 뉴스가 불러온 선택과 경쟁의 폭발은 그러한 셈법을 뒤집었다. 독점적 비즈니스 모델의 전략이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인 만족을 제공하는 것이라면, 디지털 비즈니스 모델의 전략은 특정 사람들에게 가장 매력적이면 되는 것이다.

언론의 산업적인 측면에서 이전에 지역에 기반한 언론이나 지면 신문들에 비하면 이제 전국화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언론은 독자의 정체성을 노리게 된다. ‘많은 독자’들의 니즈를 만족시키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언론은 타깃화된 독자들을 노리면서 더욱더 양극화한다.
또한 고도로 산업화된 미디어는 메시지 자체가 더 ‘자극적’이고 ‘오락적’인 선택 취사가 심해지므로, 저널리스트의 보도는 더 자극적이고 오락적인 형태로, 더 중요한 정책적인 보도를 넘어서게 된다. 이것은 미국에서 트럼프의 자극적인 발언 하나로 중요한 정책 뉴스가 묻히고, 한국에서도 이슈에 가까운 뉴스가 우리 삶에 중요할 수 있는 정책 문제를 덮어버리며 자극을 경쟁하는 현시대의 언론 문법과도 같은 원리다.
책에서는 언론과 정치와의 불가분의 관계를 분석하며 오늘의 뉴스와 오늘의 정치가 어떻게 극단의 무한루프를 형성해가는지 알기 쉽게 설명한다. 정치 양극화 메시지가 매체를 통해 유기체처럼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현상은 우리 모두가 돌아봐야 할 지점이다.

MZ 세대의 저널리스트가 말하는 분열을 헤치고 나아갈 아주 합리적이고 개인적인 방법
이 책은 가히 ‘이 시대 양극화에 대한 모든 것’인 동시에 양극화를 만드는 사회 내 모든 구조와 시스템을 밝힘으로써, 그 시스템의 소용돌이 안에서 휘둘리지 않는 개인의 자각을 촉구한다. 상대를 비난하고 시스템을 비난하면서 나를 자각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정치 양극화에 브레이크는 없을 것이다.
양극화 시대를 바라보는 저자의 시선은, 흔히 보는 지나치게 냉소적인 비평과는 거리가 멀다. 우리의 정치는 분명 이전보다 진보해왔고, 그동안 논의하지 않았던 다양한 인권과 사회문제의 이해도 또한 높아졌다는 것에서 그는 희망을 발견한다. 변화된 사회 속에서 부정적인 갈등만을 찾아내지 않고 이 시대가 지닌 장점을 잃지 않은 채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을 찾고자 하는 것, 이는 시대를 읽는 젊은 비평가로서 에즈라 클라인이 보여주는 독특한 점일 것이다.
책에서는 또한 양극화의 시대를 헤쳐나가는 개인적인 멘탈 관리 방법도 찾아볼 수 있다. “정체성 마음챙김” 같은 에즈라 클라인만의 독특한 대안법은 ‘정체성 정치’로 더욱 양극화되어가는 우리에게도 울림을 전한다. ‘저쪽 편에 나와는 전혀 다른 한 무리가 있어서 나는 그들과 싸워 이겨야 한다’는 이분법이 아닌, ‘왜 우리는 이렇게 둘로 나뉘어 싸우고 있을까?’하는 자각과 ‘그 원인이 혹시 저쪽 편이 아닌 기성 정치가 짜놓은 프레임에 있는 것은 아닐까?’ 깊이 생각해보는 것.
저자의 메시지는 일견 개인의 문제로 축소시키는 건 아닌지 생각해보게 하지만, 지금 바로 여기에서 ‘내가 해볼 수 있는 움직임’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과연 정치란 영원히 풀 수 없는 숙제가 아닌, ‘수많은 나’가 풀어야 하는 숙제가 아닌가? 편 가르기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미움의 정치’를 헤쳐가는 방법을 함께 모색해보자고 말하는 클라인의 목소리는 귀 기울일 말한 가치가 충분하다.
목차

들어가며: 일어나지 않은 일

1장 어쩌다 민주당원은 진보주의자가, 공화당원은 보수주의자가 되었을까
2장 딕시크랫 딜레마
3장 집단을 대하는 당신의 뇌
4장 당신 마음속의 언론 비서관
5장 인구 통계적 위협
6장 좌파-우파를 뛰어넘은 미디어 분열
7장 설득 이후의 선거
8장 시스템이 비합리적이 될 때
9장 민주당과 공화당의 차이
10장 양극화 관리하기, 그리고 우리 자신 관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