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정보
위치 | 등록번호 | 청구기호 / 출력 | 상태 | 반납예정일 |
---|---|---|---|---|
이용 가능 (2) | ||||
1자료실 | G0018274 | 대출가능 | - | |
1자료실 | G0018275 | 대출가능 | - |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 G0018274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 등록번호
- G0018275
- 상태/반납예정일
- 대출가능
- -
- 위치/청구기호(출력)
- 1자료실
책 소개
이 연구는 북한 중산층을 세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의 특징을 분석했다. 첫 번째, 권력형 중산층은 당, 행정, 군 안에서 지위나 권한을 이용하여 부를 축적하는 중하위직 간부 또는 관리자 집단이다. 권력형 중산층은 양호한 출신성분, 입당, 군복무와 같은 필수요건을 요구한다. 두 번째 유형인 전문가형 중산층은 특수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고등교육을 이수한 사람들로 출신성분이 취약하나 학력자본을 활용하여 부를 축적한다. 주로 이들은 교육, 기술, 보건, 예술 부문에 종사한다. 세 번째 유형은 상업형 중산층으로 일반 노동자, 가정주부, 학생, 은퇴자 등 가장 광범위한 인구집단을 포괄한다. 이들은 대체로 하루의 노동시간 대부분을 상업활동에 할애하고, 상업활동을 통해 획득한 소득으로 생활을 영위한다.
세 유형의 중산층 분석을 통해 몇 가지 특성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북한의 중산층은 공식 직업으로 획득한 소득이 불충분하여 추가적인 소득 경제활동을 병행한다. 대체로 문서상 공식 직업을 유지하면서도 비공식적으로 상업활동을 병행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이러한 이중적 경제활동은 가구의 이원적 소득구조를 형성한다.
둘째, 북한의 중산층은 복수의 경제활동의 병행으로 인해 계급 내 모순적인 위치에 있다. 공식 직업 지위에서는 생산수단 및 노동력에 대한 통제권을 갖지 못하지만, 비공식 경제활동에서는 자본, 노동력, 의사결정 등에 대한 통제권을 갖는 경우가 많다.
셋째는 비공식적 연결망자원이 중산층의 계층 지위를 획득하고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 특히, 권력형 중산층은 비공식적 연결망자원 중 혈연적 연결망자원의 동원이 다른 유형의 중산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
넷째, 출신성분이라는 특수한 형태의 정치자본이 사회적 이동을 제약한다. 출신성분이라는 정치자본은 수직적 사회이동을 제약하는 요소로 작동할 뿐만 아니라 중산층 내에서 수평적 이동을 제약한다. 따라서 권력형 중산층과 전문가형 및 상업형 중산층 간에는 이동의 장벽이 존재한다.
다섯째, 구(舊) 중산층과 신(新) 중산층 간의 갈등이 내재되어 있다. 구(舊) 중산층은 출신성분에 따른 계층구조에서 기본군중 가운데 영예군인, 전사자 가족, 피살자가족, 애국희생자 가족, 제대군인 등을 의미한다. 이들에 대한 국가의 보훈 및 복지 역량의 하락으로 그들의 생활수준은 점차 하락한다. 반면, 출신성분의 계층구조에서 하위에 위치한 복잡군중 및 적대계급에서 속해 있던 일부 주민들은 시장을 기반으로 상업적 성공을 거둬 생활수준이 크게 향상되었는데, 이들이 신(新) 중산층이다. 신 중산층이 성장할수록 구 중산층의 상대적 박탈감은 증대할 수 있다. 따라서 자원배분을 둘러싸고 구 중산층과 신 중산층 간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소득, 소비지출, 자산 보유의 세 가지 측면에서 중산층의 경제적 지위를 규정해보고자 하였다. 2010년대 중후반 4인가구를 기준으로 북한의 중산층은 첫째, 1년 소득이 700~2,000달러 정도이고, 둘째, 한 달에 100달러 내외의 지출을 할 수 있으며, 셋째, 생활 필수 지출 이외의 여유자금이 있어 소득의 10% 정도를 저축할 수 있다. 중산층의 가구는 실물자산으로 대체로 자전거, 선풍기, 전기밥솥 등을 보유하고 있고, 손전화를 대부분 이용한다. 냉장고, 세탁기, 컴퓨터와 같은 고가 전자제품에 대한 보유율이 계속 높아지면서 생활양식 측면에서 상층과의 격차가 점차 좁혀지고 있다. 2000년대 전후 시기에는 식량 소비량, 컬러TV의 보유, 외화의 보유와 같은 지표들이 계층분류의 기준으로 유효했으나, 2010년 이후에는 차별성이 약화되었다. 2010년대 들어 북한 주민들의 생활수준 향상, 북중 무역의 급격한 증가, 달러라이제이션의 가속화 등 북한경제의 구조적 변화는 계층분류 기준이 달라진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중산층의 소비행태에서 모방을 통한 유행과 확산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자본주의 모방 경향과 한국산 제품이 중산층 유행의 표본이 되고 있다. 중산층의 소비는 개인의 기호와 취향이 체화된 형태의 소비, 실용주의를 넘어선 상징 소비, 시공간이 결합한 소비 등으로 차별화된다. 중산층의 욕망과 정체성에서 자녀 세대의 계층 재생산 욕망과 상층으로의 지향성이 특징으로 나타난다. 자본 축적을 통해 개인주의를 체득하며 욕심과 행복, 체제 의구심 등 개인화의 욕망을 보여준다.
중산층 유형 중에서도 권력형 중산층은 전문가형 중산층과 상업형 중산층보다는 소비생활이 좀 더 여유있고 풍요로운 편이며, 단속 또는 검열과 같은 통제에서도 자유롭다. 반면, 전문가형 중산층이나 상업형 중산층은 자녀교육에 집중 투자하고 평양을 동경하는 등 권력 획득에 대한 갈망을 보인다.
북한의 중산층은 계층 지위 획득 및 재생산 그리고 사회이동 측면에서 사회자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북한에서 뇌물, ‘덕과 정’의 실천, 지원사업 참여 등은 사회적 자본의 성격을 띤다. ‘덕과 정’의 실천과 지원사업의 참여로 공동체 안에서 사회구성원들과 신뢰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획득하는 사회 자본은 사적 이익실현을 위해 뇌물을 통해 얻는 사회자본과는 성격이 다르다.
출신성분, 즉 토대는 약하지만 경제자본의 우위적 지위에 위치한 중산층은 사회자본을 축적하여 계층의 상향이동을 꾀한다. 경제력을 갖춘 중산층 여성들은 남편의 출세를 돕거나 자녀의 성공을 통해 계층의 상승이동을 추구하기도 한다. 지난 20년 동안 진행된 중산층의 성장은 북한사회의 개방성과 역동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변화이다. 계층 상승이동에 성공한 경우 사회의 급격한 변화보다는 사회의 안정과 통합을 더 선호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북한 중산층의 성장이 반드시 사회변혁 또는 체제이행의 동력을 형성할 것이라고 전망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자영업자 및 중소기업가와 같은 임파워된 중산층의 규모가 늘어나면 출신성분과 같은 정치자본에 의한 불평등한 분배구조와 경제잉여에 대한 권력층의 약탈적이고 기생적인 의존행태에 불만이 누적되어 사회변혁을 요구하는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목차
요약
ChapterⅠ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목적
2. 연구의 내용
3. 연구 방법
ChapterⅡ 이론적 배경
1. 중산층 정의와 분류
2. 북한 계층에 관한 선행연구
ChapterⅢ 북한 중산층의 결정요인과 유형
1. 북한 문헌 속 중산층의 정의와 생활양식
2. 중산층의 결정요인
3. 중산층의 유형
ChapterⅣ 북한 중산층의 경제적 지표와 자본축적
1. 중산층의 경제적 지위와 측정 지표
2. 중산층의 경제자본의 형성과 축적
ChapterⅤ 북한 중산층의 생활양식과 소비문화
1. 중산층의 생활양식
2. 중산층의 소비문화
3. 중산층의 사회적 속성
ChapterⅥ 북한 중산층의 사회적 자본
1. 사회적 자본의 개념
2. 사회적 자본의 활용
3. 중산층의 사회이동
ChapterⅦ 결 론
1. 요약
2. 함의
참고문헌
최근 발간자료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