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전체

전체

연구원발간물기타 2024-08

KINU 2024 글로벌 통일인식조사

개인저자
통일연구원
발행사항
서울: 통일연구원, 2025.2.10
형태사항
175 p. ; 26cm
총서사항
기타
청구기호
000 기타24-08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2)
1자료실G0018671대출가능-
1자료실G0018672대출가능-
이용 가능 (2)
  • 등록번호
    G0018671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 등록번호
    G0018672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 통일공공외교 플랫폼 확대를 통한 국제사회의 한반도 통일 지지 여론 추세 파악 • 올해 최초로 세계 시민을 대상으로 시행한 ‘글로벌 통일인식조사’는 ‘통일담론의 글로벌화’를 위한 첫 단추로 세계 시민의 여론을 확인하여 향후 정부의 통일 정책에 반영해 나가기 위한 목적에서 추진함. • 2024 글로벌 통일인식조사는 한반도 통일, 북핵, 북한인권, 국가 이미지 등의 조사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미국, 일본, 호주, 영국, 프랑스, 독일, 폴란드, 베트남 8개국 시민들을 대상으로 약 9,000명의 응답자에게 30개의 문항을 온라인 방식으로 조사하였음. • 이번 조사의 가장 큰 의의는 주요 국가들의 시민들이 직접 한반도 통일 관련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마련함으로써 세계 시민의 ‘통일 눈높이’에 맞는 수요자 중심의 통일공공외교 확대 추진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있음.유관국 국민들로부터 직접 의견을 청취하는 통일인식조사는 통일공공외교의 주요한 수단이다. 이는 공공외교의 다음과 같은 기본정의(공공외교법 제2조)에서 출발한다: 공공외교란 “국가가 직접 또는 지방자치단체 및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문화, 지식, 정책 등을 통하여 대한민국에 대한 외국 국민들의 이해와 신뢰를 증진시키는 외교활동”을 의미한다. 통일공공외교는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한반도 통일에 대한 유관국 국민들의 이해와 신뢰를 증진시키는 일체의 활동이다. • ‘글로벌 통일인식조사’는 앞으로도 매년 실시하여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 확보 및 국내외 통일연구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축적에 기여해 나가도록 할 예정임.
목차
I. 글로벌 통일인식조사: 목적, 개요, 요약 1. 조사 목적 12 2. 조사 개요 13 3. 조사결과 요약 14 II. 통일에 대한 국제여론 1. 남북한 통일의 당위성 22 2. 남북한 통일 지지 이유 24 3. 남북한 통일의 가능성 26 4. 남북한 통일 가능성에 회의적인 이유 28 5. 통일 추진 핵심 가치 30 6. 통일 시 바탕이 되어야 할 체제 32 7. 한국이 주도하는 통일 34 8. 통일을 위해 필요한 요소 36 9. 통일공공외교의 방식 38 III. 북핵문제 및 비핵화 이슈 1. 북한의 핵개발에 대한 의견 40 2. 북한 비핵화 실현 가능성 42 3. 북한의 핵무기 개발의 자국 위협 인식 44 4.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대한 대응방안 46 5. 한국의 핵무기 개발·도입에 대한 동의 여부 48 IV. 북한인권 문제 및 탈북민 사안 1. 북한 인권 상황 인식 52 2. 항목별 북한 인권 침해 상황 인식 54 3. 북한 인권 상황 개선의 주체 56 4. 북한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한 방안 58 5.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 60 V. 유관국 인식 및 국가 이미지 1. 한국에 대한 유관국 인식 64 2. 북한에 대한 유관국 인식 66 3. 한반도 통일과 유관국의 협력 68 4. 남북한에 대한 친밀도 70 5. 통일이 자국에 미치는 영향 71 VI. 미국 1. 미북대화 필요성 76 2. 북한의 미국에 대한 군사적 공격 가능성 77 VII. 일본 1. 일·북 관계와 납치자 문제 80 2. 일·북 관계와 북핵문제 81 VIII. 호주 1. 호주의 외교정책에서 한국과의 관계 중요성 84 2. 한국의 인도-태평양 다자안보협력체 참여 86 IX. 영국 1. 영국의 대북 제재 강화 필요성 90 2. 영국 북아일랜드 분쟁의 시사점 92 X. 프랑스 1. 한국-나토 협력의 필요성 96 2. 남북한 스포츠 단일팀의 필요성 98 XI. 독일 1. 독일 통일 요인과 통일시 유관국 도움 102 2. 독일 통일의 성과와 사회발전에 대한 인식 104 XII. 폴란드 1. 폴란드 체제 전환 경험의 시사점 108 2. 북한의 러시아 군수품 지원 및 핵개발에 대한 인식 109 XIII. 베트남 1. 한국에 대한 지식 112 2. 한국의 베트남 및 아세안과의 협력 필요성 114 부록 1 [공통 문항 조사결과] 117 부록 2 [국가별 문항 조사결과]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