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단행본

단행본

단행본

한국 현대사의 재조명

발행사항
서울 : 명인문화사, 2007
형태사항
582 p. ; 24 cm
ISBN
9788995767450
청구기호
911.07 한171ㅎ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0995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0995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한반도의 분단에 대한 ‘내인론’과 ‘외인론’의 논쟁과 한국전쟁에 대한 ‘내전’과 ‘국제전’의 논쟁에 대하여 ‘복합’이라는 용어를 활용하여 가치중립적인 분석을 하고 있다. ‘분단에서 전쟁으로’, ‘한국전쟁에 대한 다차원적 고찰’, ‘전쟁의 유산과 평화를 위한 미래’라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 총 1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분단에서 전쟁으로’에서는 총 5장에 걸쳐서 38선의 분할과 분단고착화 과정, 분단직후 남북한의 무력충돌, 이승만과 김일성 연구의 주제로 기존의 연구보다 한층 다양한 주제를 심도 있게 분석한다. 제2부 ‘한국전쟁에 대한 다차원적 고찰’에서는 기존의 한국전쟁 연구와 같이 단일한 측면에서 분석에서 벗어나 다양한 연구 주제를 바탕으로 총 6장에 걸쳐서 한국전쟁을 설명한다.

제3부 ‘전쟁의 유산과 평화를 위한 미래’에서는 총 4장에 걸쳐서 한국전쟁 이후의 상황을 분석하고, 평화를 구축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한반도의 분단, 전쟁과 그 이후를 객관적이고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하고 있는 ‘한국현대사의 재조명’은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외국의 1차 자료에 대한 분석과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오랫동안 축적한 연구들을 집대성한 것으로 한국 현대사 연구에 더 없이 중요한 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서 문

제1부 분단에서 전쟁으로

제1장 한반도 분단의 성격: 국제적 성격이 우세한 복합형 분단
1. 서 론
2. 분단원인과 유형론: 내인론과 외인론, 복합론과 가변론
3. 1948년 체제분단의 형성과정
1) 1945년 미국의 38선 획정과 국토분단
2) 한반도 진주 직후 미 ? 소의 정권 구상
(1) 미국의‘정무위원회’구상: 이승만과 김구 활용 구상
(2) 소련의 일방적 행동
3) 신탁통치를 둘러싼 좌우대립: 국제형 분단에 내쟁적 요소 가미
(1) 신탁통치안 결정과 김구의 반탁운동
(2) 조선공산당의 노선 전환
(3) 반탁통일론(반탁→탁치폐기→통일) 대 지지통일론(모스크바결정지지→임시정부수립→통일): 우리의 힘을 과신하는 두 대립되는 가정
4) 좌우합작의 실패
(1) 좌우합작 주도세력
(2) 국제정치 속의 좌우합작: 미국의 공산화 방지 전략과 소련의 견제
5) 미국의 단독행동 모색과 그 교착, 1946년-1947년 3월
6) 미국의 탁치안 파기와 한국문제의 유엔이관: 상호 상승된 분단, 1947년 9월- 1948년 5월 63
7) 이상주의적 남북협상의 실패, 1948년 1월-4월
(1) 남북협상 주도 세력
(2) 남북협상에 대한 엇갈린 평가
4. 결 론

제2장 38선 획정의 국제적 요인: 한반도 분할과정의 재조명(1941-1945)
1. 서 론: 한반도 38선 분할의 비사(秘史)
2. 38선 획정에 관한 해명
1) 초기 미 정부의 공식 해명
2) 러스크 대령의 38선 획정 주장
3. 일본 황군의 정 ? 전략과 미 ? 소의 대항 전략
1) 일본군의 정 ? 전략
2) 미 ? 영국의 대항 전략: 소련과의 연합전선 추구
4. 한반도 분할의 기원: 미 ? 소의 연합승전 전략
1) 한반도 장래문제 논의
2) 일본군의 조선 내 전략 조정과 종전(화평) 공작
3) 연합국의 일본 화평공작에 대한 대응
4) 미국군의 최종 작전 전략과 소련과의 연합전선
5) 원자탄 투하와 소련의 대일 참전
6) 소련군의 대 조선 승전 전략
5. 한반도 38선 분할 최종 과정
6. 결 론

제3장 해방직후 남북분단과 38도선 군사적 충돌
1. 서 론
2. 해방 직후 미 ? 소군의 38도선 분할점령과 갈등
3. 미소공동위원회 기간의 38선 충돌
1) 1차 미소공위 기간의 충돌
2) 2차 미소공위 기간의 충돌
4. 남북한 정부수립 전후 38선 충돌
5. 38선 군사적 충돌의 성격

제4장 분단고착화 이후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1948-1950: 철수에서 적극개입으로의 변화 과정
1. 서 론
2. 분단정부 수립 이후 주한미군 철수과정
1) 주한미군 철수를 둘러 싼 미국 내의 논쟁: 국무성과 국방성의 갈등
2) 한국의 안보위기와 미군 철수 중단
3) 대한민국 정부의 승인과 미군 철수 재개
4) 미군 철수 완료와 한반도 전쟁 가능성 증대
3. 점령군 철수 이후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1) 미국의 이중적 태도: 이승만 견제와 공산주의 봉쇄
2) 전쟁가능성 정보와 대응책 강구 실패
4. 미국의 한국전쟁 참전 결정과정
1) 미국의 한국전에 대한 인식: 스탈린의 전쟁
2) 미국의 군사개입 과정
3) 미국의 전면적 군사개입: 지상군 파견 결정
5. 결 론

제5장 이승만과 김일성, 그리고 한반도 냉전체제의 형성
1. 서 론
2. 해방정국에서 이승만과 김일성의 정치노선
1) 이승만의 반소 ? 반공노선
2) 김일성의 친소 ? 반미노선
3. 남북한 정부수립과 이승만 ? 김일성의 통일노선
1)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2) 김일성의 국토완정론
4. 한국전쟁과 냉전 대립의 심화
1) 남한의 반공노선 강화
2) 북한의 반미 ? 반제노선 강화
5. 결 론

제2부 한국전쟁에 대한 다차원적 고찰

제6장 6 ? 25전쟁은 복합전으로 시작되었다: 내전설과 남침유도설에 대한 비판적 조망
1. 서 론
2. 6 ? 25전쟁은 내전이 아닌 국제전이다.
1) 6 ? 25전쟁 내전설의 주요 내용
2) 내전을 6 ? 25전쟁의 주요 원인이 아닌 전쟁의 배경으로 밖에 볼 수 없는 이유
3. 6 ? 25전쟁은 미국이 유발했나?: 남침유도설에 대한 비판적 인식
1) 북한의 남침을 유도한 미국의 ‘음모’는 과연 있었을까?
2) 애치슨이 선을 그은 의도
3) 남과 북의 반응
4) 의도하지 않은 결과
5) 전쟁 직전 미국의 한국 방위 확인
6) 커밍스의 모자이크와 옹진
4. 결 론: 복합전이라는 인식

제7장 한국전쟁과 한국자본주의: 국가 중심 발전문제를 중심으로
1. 서 론: 경제적 측면에서 바라본 전쟁의 이중성
2. 원조의존 축적론과 농업희생 축적론
3. 농지개혁을 어떻게 볼 것인가?
4. 경제정책을 둘러싼 논쟁
5. 시장 중심과 국가 중심
6. 결 론:한국전쟁과 남북한 경제체제

제8장 한국전쟁의 사회학 연구의 쟁점과 과제: 분단과 전쟁을 넘어 통일과 평화의 사회를 향하여
1. 서 론
2. 연구 개관: 분단과 전쟁의 사회학
3. 한국전쟁을 둘러싼 사회학 연구 동향과 쟁점
1) 인구 이동과 지역 변동 문제
2) 이산가족 연구와 월남인 문제
3) 사회구조 변동과 계급 ? 계층 문제
4) 전쟁과 반공이데올로기
5) 전쟁과 민간인 학살 문제
6) 전쟁과 여성 문제
7) 새로운 연구방법론에 따른 한국전쟁의 사회학
4. 결 론: 과제와 전망

제9장 기억과 조망: 한국문학과 6 ? 25라는 명제
1. 서 론
2. 6 ? 25와 한국소설의 응전
3. 전쟁의 기억과 조망: 6 ? 25와 한국소설의 성취
1) 전쟁의 입체적 조망: 홍성원의『남과 북』
2) 아버지 시대의 역사화: 김원일의『불의 제전』
3) 반공이데올로기의 전복: 조정래의『태백산맥』
4) 망령들의 축제와 기억의 윤리: 황석영의『손님』
4. 결 론: 남은 과제와 전망

제10장 6 ? 25전쟁과 유엔의 역할
1. 서 론
2. 6 ? 25전쟁의 발발과 유엔의 역할
3. 인천상륙작전 성공과 유엔의 역할
4. 결 론

제11장 한국전쟁과 미일관계의 변화: 일본평화조약 협상을 중심으로
1. 서 론
2. 한국전쟁 전 일본평화조약 구상
3. 한국전쟁과 일본평화조약
4. 덜레스- 요시다 회담
5. 결 론

제3부 전쟁의 유산과 평화를 위한 미래

제12장 한국분단의 특수성과 두 한국: 지역냉전, 적대적 의존, 그리고 토크빌 효과
1. 서 론: 문제의 제기
2. 한국분단과 두 한국의 정체성: ‘부분’, ‘전체’, ‘관계’
3. 한국분단의 3층 구조와 편제
1) 국제-지역-민족, 또는 국제-민족-국내 수준의 중첩과 위계
2) 동아시아 지역냉전의 특징과 한국분단
4. ‘대쌍관계동학’과 ‘적대적 의존’의 재론
5. 한국분단과 토크빌 효과: 분단 영향의 역설과 영역 전이- 산업화, 시민사회, 민주주의
1) 분단의 효과와 영향- 일반적 고찰
2) 분단의 토크빌 효과 (I):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3) 분단의 토크빌 효과 (II): 산업화, 체제발전, 그리고 대역전
6. 결 론: 대칭적 ‘적대적 의존’에서 비대칭적 ‘적대적 의존’으로

제13장 한국전쟁이 남긴 명제와 과제: 군사분야
1. 서 론
2. 전쟁과 평화문제
3. 전쟁수행과 군사전략
4. 작전형태와 전술
5. 한국전쟁과 한국군

제14장 6 ? 25전쟁이 남긴 포로문제
1. 서 론
2. 포로대우와 희생자 발생
1) 국군과 유엔군의 공산포로 대우
2) 북한군과 중국군의 아군 포로 대우
3. 포로송환과 ‘강제억류’
1) 미귀환국군 포로
(1) 발생경과와 규모
(2) 북한에서 미귀환 국군포로의 생활
2) 좌익빨치산포로와 반공유격대포로
(1) 미송환 인민군 포로
(2) 반공유격대 포로
4. 송환거부포로와 제3국행 포로
1) 송환거부포로
2) 제3국행 포로와‘조국’
5. 결 론

제15장 6 ? 25전쟁의 유산: 한반도에서의 평화의 제도화
1. 서 론
2. 한반도 평화체제의 쟁점들
1) 정전협정 대체의 당위성에 대한 재고
2) 체제전환의 형식과 당사자 문제
3) 정전협정 대체와 관련한 고려사항들
3. 제도화(Institutionalization)의 장애요인들
1) 북한 정치 ? 사회 체제의 속성
2) 북한의 협상관과 협상 목표
3) 한국 집권자들의 업적주의
4. 제도적 구속력의 확보
1) 미국의 대북 강경정책과 북한의 대남정책
2) 북한 딜레마와 한국정부의 대북 설득력
5. 결 론

▒ 집필진 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