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단행본

단행본

단행본까치글방 154

중국철학사. 1

대등서명
中國哲學史
발행사항
서울:,까치,,1999
형태사항
xiii, 825p.; 23cm
총서사항
까치글방
ISBN
9788972912217
청구기호
152 풍67ㅈ
일반주기
부록 : p.647-810 馮友蘭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1483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1483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중국철학의 거대한 모습을 제대로 드러낸 기념비적인 저술로 평가받는 역작. 이 책이 높이 평가받는 이유는 철학사를 설술하면서 사료를 쓴 사람의 입장에 충실했다는 데 있다. 진위를 떠나서 그 사료가 내표한 시대적, 사상적 맥락을 빼놓지 않고 고찰했고 문구해석에 치우치지 않아 전체사상을 알 수 있도록 서술한 점도 이 책의 장점이다.

풍우란은 중국철학의 역사를 크게 자학시대와 경학시대로 나눴다. 중국사회 각 분야에서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난 대변혁의 시기를 춘추전국시대와 청나라 말엽의 중국과 서양 교섭시대 두 번으로 잡고 1차 변혁시기를 자학, 그 이후로 2차 변혁 때까지의 기간을 경학시대라 불렀다.

자학시대는 백가쟁명의 시기. 공자, 묵가, 맹자, 노자, 장자, 순자, 한비자 등의 새로운 학설이 활발하게 등장한 때다. 경학은 새로운 주장이 있지만 대부분이 자학시대 이론에 근거해 주장을 펼친 시기를 일컫는다. 금문경학, 불학, 도학, 주자와 육상산 왕양명의 철학 등이 이 시기에 해당한다.

목차

상권

일러두기 ⅹ
머리말1 ⅹⅰ
머리말2 ⅹⅱ
머리말3 ⅹⅲ
제1편 자학시대
제1장 서론 = 3
1. 철학의 내용 = 3
2. 철학의 방법 = 5
3. 철학에서의 논증의 중요성 = 6
4. 철학과 중국의 "의리지학" = 8
5. 중국철학의 약점과그 까닭 = 9
6. 철학의 통일성 = 12
7. 철학과 철학자 = 15
8. 역사와 철학사 = 16
9. 역사와 쓰인 역사 = 18
10. 서술식 철학사와 선록식 철학사 = 22
11. 역사는 진보적이다 = 23
12. 중국철학사 사료 선택의 기준 = 25
제2장 자학시대 통론 = 27
1. 자학시대(子學時代)의 개시 = 27
2. 자학시대 철학 발달의 원인 = 29
3. 자학시대의 종결 = 38
4. 고대 대(大)과도기 의 종결 = 41
5. 고대의 저술체재 = 42
제3장 공자 이전과 당시의 종교·철학사상 = 47
1. 귀신 = 47
2. 술수 = 53
3. 하늘 = 60
4. 일부 사람들의 개명적인 사상 = 62
5. 인간의 발견 = 64
제4장 공자와 유가의 흥기 = 79
1. 중국역사상 공사의 위치 = 82
2. 전통적 제도와 신앙에 대한 공자의 태도 = 93
3. 정명론 = 101
4. 계술을 통한 창작자로서의 공자 = 107
5. 적(直)·인(仁)·충(忠)·서(恕) = 112
6. 의(義)·리(利)와 성(性) = 124
제5장 묵자와 전기 묵가 = 129
1. 묵자에 관한 고증 = 129
2. 「경」, 「경설」, 「대취」, 「소취」 6편의 시대 = 135
3. 조직단체로서의 묵학도 = 136
4. 공리주의 의 묵자 철학 = 141
5. 무엇이 인민의 큰 이익인가? = 145
6. 겸애 = 152
7. 종교적 제재 = 160
8. 정치적 제재 = 167
9. 덧붙이는 말 = 172
제6장 맹자와 유가 중의 맹자학 = 177
1 맹자의 포부와 중국역사상 그의 위치 = 177
2. 주(周)의 제도에 대한 맹자의 태도 = 180
3. 맹자의 이상적인 정치·경제 제도 = 184
4. 성선(性善) = 196
5. 맹자의 반(反)공리주의 = 208
6. 천(天)·성(性)및 호연지기 = 210
제7장 전국시대의 "백가 학설" = 215
1 양주와 도가의 흥기 = 217
2. 진중자 = 233
3. 허행과 진상 = 234
4. 고자와 기타 인성론자 = 236
5. 윤문과 송경 = 240
6. 평몽, 전변, 신도 = 249
7. 추연과 기타 음양오행가의 언설 = 258
제8장 『노자』와 도가중의 『노자』학 = 273
1. 노담과 이이 = 273
2. 『노자』학과 장자학 = 277
3. 초나라 사람 정신 = 281
4. 도(道)·덕(德) = 283
5. 사물에 대한 관찰 = 289
6. 처세의 방법 = 294
7. 정치·사회 철학 = 298
8. 욕망과 지식에 대한 『노자』의 태도 = 301
9. 이상적인 인격과 이상적인 사회 = 304
제9장 혜시와 공손룡 및 기타 변자 = 309
1. 변자 학설의 대체적인 경향 = 309
2. 혜시와 장자 = 313
3. 「천하편」에 서술된 혜시 학설 10사 = 316
4. 혜시와 장자의 차이 = 324
5. 공손룡의 "백마론" = 327
6. 공손룡이 말한 "지(指)"의 의미 = 330
7. 공손룡의 "견백론" = 332
8. 공손룡의 "지물론" = 337
9. 공손룡의 "통변론" = 340
10. "합동이(合同異)"와 "이견백(離堅白)" = 344
11. 「천하편」에 서술된 변자 학설 21사 = 349
12. 감각과 이지 = 353
제10장 장자와 도가 중의 장자학 = 355
1. 장자와 초나라 사람 정신 = 355
2. 도(道)·덕(德)·천(天) = 358
3. 변화의 철학 = 362
4. 무엇이 행복인가? = 363
5. 자유와 평등 = 369
6. 죽음과 불사 = 378
7. 순수경험의 세계 = 383
8. 절대적 소요 = 389
9. 장자학과 양주의 비교 = 391
제11장 『묵경』과 후기 묵가 = 395
1. 전국시대 묵가의 상황 = 395
2. 『묵경』 중의 공리주의 = 398
3. 인식론 = 403
4. "논변"(論"辯") = 412
5. 『묵경』의 "동이의 논변" = 423
6. 『 묵경』의 "견백의 논변" = 427
7. 여타 변자에 대한 『묵경』의 논변 = 434
8. 겸애설에 대한 『묵경』의 변호 = 437
9. 당시의 여타 학파들에 대한 논변 = 441
제12장 순자와 유가 중의 순자학 = 449
1. 순자의 학문 = 449
2. 공자와 맹자에 대한 순자의 견해 = 451
3. 주의 제도에 대한 순자의 견해 = 453
4. 천(天)과 성(性) = 457
5. 순자의 심리학 = 464
6. 사회와 국가의 기원 = 472
7. 예론과 악론 = 476
8. 왕(王)·패(覇) = 478
9. 정명 = 483
제13장 한비와 기타 법가 = 497
1. 법가의 학설과 당시의 사회, 정치, 경제 각 방면의 추세 = 497
2. 법가의 역사관 = 503
3. 법가의 세 파 = 505
4. 세 파와 한비 = 508
5. 법의 중요성 = 509
6. 명실을 바르게 = 513
7. 상벌을 엄하게 = 514
8. 성악(性惡) = 518
9. 무위 = 524
10. 법가와 당시의 귀족 = 531
제14장 진한 무렵의 유가 = 535
1. 예에 관한 일반 이론 = 536
2. 음악에 관한 일반 이론 = 543
3. 상례에 관한 이론 = 547
4. 제례에 관한 이론 = 555
5. 혼례에 관한 이론 = 563
6. 효에 관한 이론 = 566
7. 「대학」 = 572
8. 「중용」 = 585
9. 「예운」 = 597
제15장 『역전』과 『회남홍렬』중의 우주론 = 599
1. 『주역』의 기원과 『역전』의 작자 = 599
2. 8괘와 음양 = 604
3. 우주간모든 사물의 변화발전 = 612
4. 우주간 사물 변화의 순환 = 614
5. 역상(易象)과 인간사 = 618
6. 『회남홍렬』 중의 우주론 = 627
제16장 유가의 육예론과 유가의 독존 = 635
1. 유가의 육예론 = 635
2. 유가가 독존할 수 있었던 원인 = 639
부록
부록 1 원유묵(原儒墨) = 647
1. 토론의 주제 = 647
2. 유(儒)가 반드시 은 민족과 유관한 것은 아니다 = 651
3. 은.주 문화의 동이문제(異同問題) = 654
4. 유의 "고언복" = 656
5. 유와 "상축" = 659
6. 『주역』 = 662
7. 삼년상 = 664
8. 은 민족의 "예연"유무 = 667
9. 공자와 "은과의 밀접한 관계" 여부 = 671
10. 유의 기원(起原) = 675
11. 유(儒)·협(俠) = 678
12. 묵가의 기원 = 680
13. 유·협의 공동도덕 = 683
14. 묵가와 일반 협사의 차이점 = 688
15. 유가 및 묵가 교의(敎義)의 사회적 배경 = 690
부록 2 원유묵보(原儒墨補) = 699
부록 3 원명법음양도덕(原名浩陰賜道德) = 713
1. 명가의 기원 = 713
2. 법가의 기원 = 722
3. 음양가의 기원 = 725
4. 도가의 학설이 은사들의 인생태도에서 받은 영향 = 727
5. 제자(諸子)는 왕실 관직에서 나왔다는 유흠의 설에 대해서 = 731
부록 4 원잡가(原雜家) = 735
1. 머리말 = 735
2. 전국시대 말에서 진한시대에 걸친 사상통일 운동의 역사적 원인 = 736
3. 전국시대 말의 도술통일설(道術統一說) = 739
1) 순자의 왕제론(王制論) = 740
2) 『장자』 「천하천」의 도술통일론 = 746
3) "학설 주창자는 법 에 귀속시킨다"는 한비자의 주장 = 751
4. 잡가 총론 = 756
5. 『여씨춘추』 = 764
1) 방술통일론(方術統一論) = 766
2) 의·리론(義利論) = 767
3) "비공(非攻)" 반대와 박장(薄葬) 등의 주장 = 771
4) 덧붙이 는 말 = 773
6. 『회남내편』 = 774
1) 무위의 도(道無爲) = 775
2) 본말론적 도술통일설 = 780
7. 한대의 그밖의 여러 학자들의 잡가적인 경향 = 785
8. 덧붙이는 말 = 789
부록 5 『맹자』 호연지기장 강해(『孟子』浴然之氣章解) = 791
역자 참고 문헌 = 811
대본 교정표 = 815
상권 인명 색인 = 819


하권

일러두기 ⅹⅰ
제2편 경학시대
제1장 경학시대 통론 = 3
제2장 동중서와 금문경학 = 9
1. 음양가와 금문경학파 = 9
2. 음양가 사상 중의 우주 구조 = 11
3. 전한시대 유자들 가운데 동중서의 위치 = 14
4. 원·천·음양·오행 = 16
5. 사계 = 20
6. 천수에 부합하는 인간 = 25
7. 성·정 = 30
8.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 = 35
9. 정치철학과 사회철학 = 42
10. 재이 = 50
11. 역사철학 = 54
12. 춘추대의 = 63
제3장 양한 무렵의 참위와 상수학 = 75
1. 참과 위 = 75
2. 이른바 상수학 = 77
3. 음양의 수 = 81
4. 팔괘 방위 = 84
5. 괘기 = 88
6. 맹희와 경방 = 90
7. 음률과 괘의 배합 = 96
8. 기타 위서 = 100
9. 음양가와 과학 = 106
제4장 고문경학과 양웅·왕충 = 107
1. "고학"과 유흠 = 107
2. 양웅 = 110
1) 『태현』 = 112
2) 『법언』 = 119
3. 왕충 = 124
1) 자연주의 = 126
2) 당시 일반 사람들의 견해에 대한 비판 = 128
3) 역사에 대한 왕충의 견해 = 133
4) 방법론 = 135
5) 성설 = 137
6) 운명에 대한 견해 = 138
제5장 남북조의 현학(상) = 145
1. 현학가와 공자 =145
2. 하안·왕필과 현학가의 경학 = 148
3. 완적, 혜강, 유령 = 163
4. 『열자』내의 유물론과 기계론 = 172
5. 「양주편」의 자유분방한 인생관 = 175
제6장 남북조의 현학(하) = 189
1. 향수와 곽상 = 189
2. 독화 = 192
3. 우주간 사물의 관계 = 196
4. 자연과 인간사의 변화 = 199
5. 무위 = 202
6. 성지 = 207
7. 소요 = 213
8. 제물 = 217
9. 지인 = 223
제7장 남북조의 불학과 불학에 대한 당시의 쟁론 = 231
1. 중국 불학과 중국인의 사상 경향 = 231
2. 불가와 도가 = 234
3. "육가 칠종" = 238
1) 본무종 = 239
2) 본무이종 = 241
3) 즉색종 = 242
4) 심무종 = 246
5) 식함종 = 249
6) 환화종 = 249
7) 연회종 = 250
4. 승조가 논한 세계의 기원 = 251
5. 승조의 부진공 이론 = 255
6. 승조의 물불천 이론 = 257
7. 승조가 말하는 성인 = 262
8. 승조의 반야무지 이론 = 265
9. 도생의 돈오성불 사상 = 269
10. 신멸과 신불멸에 대한 당시의 논변 = 283
제8장 수당의 불학(상) = 293
1. 길장의 이제 이론 = 293
2. 현장의 『성유식론』 = 298
1) 공·유를 모두 떠난 유식교 = 299
2) 식의 사분 = 300
3) 제1능변인 아뢰야식 = 302
4) 제2능변인 말나식과 제3능변인 전6식 = 308
5) 일체유식 = 313
6) 삼성, 삼무성, 진여 = 325
7) 식의 전변을 통한 지혜의 완성 = 329
3. 법장의 『금사자론』 = 334
1) "연기를 밝힘" = 335
2) "색이 공임을 변별함" = 336
3) "3성의 약술" = 338
4) "무상을 현시함" = 338
5) "무생의 설명" = 339
6) "오교의 논술" = 340
7) "10현 통론" = 343
8) "6상의 개괄" = 349
9) "보리의 성취" = 349
10) "열반에 듦" = 351
11) 주관적 유심론과 객관적 유심론 = 352
제9장 수당의 불학(하) = 355
1. 천태종의 『대승지관법문』 = 355
1) 진여·여래장 = 355
2) 3성 = 359
3) 공상식과 불공상식 = 363
4) 만법의 상호 포섭 = 364
5) 지관 = 369
6) 제불의 염성 = 373
7) 깨달음과 깨닫지 못함 = 375
8) 천태종과 유식종·화엄종과의 비교 = 377
9) 담연의 "무정도 불성이 있다"는 설 = 378
2. 혜능, 신회, 종밀 = 380
1) 혜능·신회와 선종 = 380
2) 무념 = 382
3) 무념에 대한 다른 해석 = 385
4) 종밀이 서술한 선종 칠가 = 389
5) 종밀의 "종"과 "교"화합 = 401
6) 종밀이 서술한 오교 = 404
제10장 도학의 흥기와 도학 중 "도·불"의 요소 = 417
1. 한유 = 418
2. 이오 = 423
3. 도학과 불학 = 432
4. 도교 내의 일부 사상 = 434
5. 도교 내의 과학정신 = 439
제11장 주렴계와 소강절 = 441
1. 주렴계 = 441
1) 「태극도설」 = 442
2) 「태극도설」과 「 통서」 = 447
2. 소강절 = 454
1) 태극과 8괘 = 456
2) 「선천도」와 기타 그림 = 460
3) 특수 사물의발생 = 464
4) 사람과 성인 = 465
5) 세계 연표 = 469
6) 정치철학 = 474
제12장 장횡거와 이정 = 477
1. 장횡거 = 477
1) 기 = 478
2) 우주간 사물이 따르는 법칙 = 481
3) 우주간의 몇몇 보편 현상 = 482
4) 횡거가 말한 천문 지리 = 484
5) 성설 = 487
6) 천인 합일 = 490
7) "불교와 도교"에 대한 비판 = 495
2. 정명도와 정이천 = 496
1) 천리 = 498
2) 불교에 대한 비판 = 506
3) 형이상과 형이하 = 507
4) 기 = 510
5) 성 = 511
6) 음양, 선악의 소장 = 515
7) 명도가 말한 수양방법 = 517
8) 이천이 말한 수양방법 = 526
제13장 주자 = 531
1. 리·태극 = 533
2. 기 = 540
3. 천지·인·물의 생성 = 544
4. 인·물의 성 = 548
5. 도덕과 수양방법 = 555
6. 정치철학 = 560
7. 불가에 대한 평론 = 564
제14장 육상산·왕양명과 명대의 심학 = 569
1. 육상산 = 569
2. 양간 = 576
3. 주륙이동 = 583
4. 주자 이후의 리학 = 590
5. 진헌장과 담약수 = 591
6. 왕양명 = 594
1) 「대학문」 = 595
2) 지행합일 = 600
3) 주왕이동 = 602
4) "도교와 불교"에 대한 비평 = 607
5) 사랑의 차등 = 609
6) 악의 기원 = 612
7) 동정 합일 = 616
8) 양명의 심학이 야기한 반동 = 619
7. 왕기와 왕간 = 622
제15장 청대 도학의 계속 = 629
1. 한학과 송학 = 629
2. 안원과 이공과 일부 도학자 = 630
1) 리기 = 634
2) 성·형 = 641
3. 대진 = 647
1) 도·리 = 649
2) 성·재 = 654
3) 리 추구의 방법 = 660
4) 악의 기원 = 663
5) 대진과 순자 = 666
제16장 청대의 금문경학 = 671
1. 청말의 입교개제운동 = 671
2. 강유위 = 674
1) 공자의 입교개제 = 674
2) 『대동서』 = 680
3. 담사동 = 687
1) 인과 "에테르" = 688
2) 유무와 생멸 = 690
3) 대동의 정치 = 692
4) 교주론 = 696
4. 요평 = 698
1) 경학 1변 = 698
2) 경학 2변 = 701
3) 경학 3변 = 702
4) 경학 4변 = 705
5) 경학 5변 = 707
5. 경학시대의 종결 = 709
부록6 남북조의 신도가(상) = 711
1. 현학과 공자 = 711
2. 명리 = 717
3. 왕필 = 720
1) "무(無)" = 721
2) 의미(義)와 리(理) = 724
역자 참고 문헌 = 729
대본 교정표 = 731
역자 후기 = 735
하권 인명 색인 = 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