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단행본

단행본

단행본

김재권과 물리주의

Jaegwon Kim & physicalism

발행사항
서울 : 아카넷, 2008
형태사항
302 p. : 삽화 ; 22 cm
ISBN
9788957331194
청구기호
114 김53ㄱ
일반주기
표제관련정보: A series of special lectures by distinguished scholars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1675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1675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현대 철학의 거장 김재권, 그의 심리철학을 토론한다!

김재권은 '속성 예화 이론', '심물 수반론' 등 심리철학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이론들을 제시해온 현대 철학의 거장이다. 현대 심리철학은 20세기 후반부터 인간의 내면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려는 노력을 벌였는데, 김재권은 바로 그 중심에 서 있다.

김재권이 최근 심신관계를 설명하는 이론으로 내놓은 것은 바로 '기능적 환원주의'이다. 아에 따르면 마음은 자연현상의 일부이며, 특히 심성적 사건 대부분은 뇌의 사건으로 환원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입장은 김재권의 최근 저서 "물리주의"에서 더욱 명료하게 제시되어 철학계 안팎에서 많은 쟁점을 낳았다.

이 책은 이러한 쟁점들을 하나하나 짚어보고 "물리주의"에 담긴 김재권의 이론과 사상을 토론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심리철학에 정통한 연구자 10명이 김재권 심리철학의 이론적 배경과 기반뿐 아니라 그 성과와 문제점, 과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면밀하게 살피고 있다. 이 책을 통해 현대 철학의 선단인 심리철학의 핵심 쟁점을 짚어보고, 발전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

1부 심성과 인과

제1장 인과성과 환원.이좌용
1. 조건부 환원
2. 배제와 폐쇄
3. 환원적 설명
4. 속성과 개념
5. 환원의 의미와 한계
6. 인과성의 두 개념

제2장 김재권의 심성 인과론의 문제 : 두 마음의 간극.김선희
1. 서론
2. 배제 논변과 심성 인과의 두 가지 모델
3. 심성 인과의 환원 모델 : 지향적/기능적 마음
4. 심성 인과의 부수현상 모델 : 현상적 마음
5. 지향적 마음과 현상적 마음의 간극이 일으키는 문제

제3장 배제 논변과 심적 인과.선우환
1. 김재권의 배제 논변
2. 과잉결정 대안
3. 배제 논변이 기반하는 인과 개념
4. 결론

제4장 인과적 배제의 문제와 인과적 양립주의.하종호
1. 메커니즘의 착상 불가능성
2. 동시적이면서 법칙적인 동치자
3. 인과적 배제
4. 인과적 양립주의
5. 인과적 양립주의 논변의 오류

2부. 환원과 물리주의

제5장 유형 물리주의와 기능주의 환원론의 만남.훙창성
1. 환원하는 이유
2. 김재권의 기능주의 환원론과 그 결론
3. 퍼트남의 존재론적 전회와 기능주의의 존재론적 오류
4. 유형 동일론과 기능주의 환원론의 만남
5. 새로운 존재론의 시도

제6장 김재권의 조건부 환원주의.최훈
1. 서론
2. 수반 논변과 기능적 환원
3. 사례 차원의 인과
4. 총체적 고통과 국지적 고통
5. 결론

제7장 기능적 환원과 물리주의.이종왕
1. 서론
2. 기능적 환원에 대한 동의
3. 기능적 동일론
4. 국지적 심신 동일론
5. 명료화되어야 할 의문들
6. 결론

제8장 물리주의와 사건 동일성.정대현
1. 문제 제기
2. 데이비드슨의 사건 기술성 논변
3. 김재권의 사건 반기술성 논변
4. 사건의 동일성과 동인성
5. 후기적 관찰

제9장 철저하지 못한 물리주의.백도형
1. 서론
2. 환원되지 않는 부수현상, 감각질
3. 존재 계층 실재론과 진리 대응설
4. 결론

제10장 비환원적 유물론은 과연 신화인가?.신상규
1. 비환원적 유물론이란?
2. 인과적 배제 논변
3. 김재권의 기능적 환원주의
4. 기능적 환원주의의 난점들
5. 거의 충분한 비환원적 유물론

필자 약력

저자 소개
저자 하종호
고려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브라운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고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식론 ? 심리철학 ? 종교철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 『종교철학』, 『심리철학』(공역), 『물리계 안에서의 마음』, 『마음과 몸』, 『물리주의』, 『종교의 철학적 의미』를 우리말로 옮겼다.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김선희
건국대 교양학부 교수.
작가의 다른 작품
저자 백도형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숭실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을 쓰던 1992년부터 1994년까지, 그리고 연구년이던 2003년에 심리철학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인 김재권 선생이 재직하는 브라운대학교 철학과에서 방문학자로 연구했다. 석사과정에서는 역사학과 사회과학의 과학철학에 흥미를 갖고 있다가 그 연장선상에서 데이비슨의 행위론을 주제로 석사논문을 썼다. 박사과정에서 심리철학과 형이상학, 특히 심신 문제로 관심을 전환한 이래 지금까지도 연구를 이어 가고 있다. 그리...
작가의 다른 작품

알라딘에서 제공한 저자 정보입니다.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