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단행본

단행본

기증도서나남신서 1257

생존에서 존엄으로: 비판이론의 민주주의이론적 전개와 우리 현실

From 'survival' to 'dignity' : the development of critical theory as democratic theory and the Korean reality

개인저자
장은주 지음
발행사항
파주 : 나남, 2007
형태사항
327 p. ;. 23 cm
총서사항
나남신서
ISBN
9788930082570
청구기호
340.22 장68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G001445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G001445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우리는 지금 ‘모욕사회’를 살고 있다. 사람을 사람이 아닌 ‘기계’나 ‘도구’나 ‘동물’ 또는 그 비슷한 어떤 것으로 대하는 사회가 모욕사회다. 이 모욕사회의 이면은 ‘속물사회’다. 저마다 사람들이 지닌 어떤 중요한 인간적 측면들은 아주 손쉽게 무시당하고 만다. 오로지 그 어떤 인간적 가치로도 걸러지지 못한 날선 욕망만이 지배한다. 이 사회에서는 도대체가 사람 사는 사회로서의 ‘품위’가 없다. 이 책은 우리의 이 품위 없는 속물적 모욕사회에 대한 어떤 대안 모색의 산물이다.
분명한 것은 우리의 이 모욕사회가 단순히 어떤 개인적 차원의 문제나 일시적이고 우연적인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문제는 사회적이고 제도적이다. 우리 사회 전체를 지배하는 체계적인 삶의 양식의 문법이 문제다. 어떻게 이런 모욕사회를 넘어설 수 있을까? 내게 그 문제는 무엇보다도 ‘민주주의’의 문제다. 민주주의가 지닌 해방적 잠재력의 문제다. 나는, 오늘날의 조건에서 그리고 무엇보다도 규범적 관점에서, 모든 사람이 존엄성을 누리면서 당당한 시민으로 살 수 있는 민주공화국에 대한 전망을 실현하는 것 말고는 우리의 이 모욕사회를 극복할 다른 길은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목차
책머리에 5 프롤로그 ‘생존의 정치’에서 ‘존엄의 정치’로: 오늘날 우리에게 ‘진보’란 무엇인가? 1. 들어가는 말 15 2. 진보에 대한 ‘철학함’의 빈곤 17 3. 진보에 대한 존엄성 개념 22 4. 존엄의 정치를 위하여 30 제1부 왜 민주주의인가? : ‘탈근대’의 미몽을 넘어서 제1장 계보학적 사회비판을 넘어서: 니체와 사회비판 1. 니체의 유령 39 2. 허무주의의 사회철학 42 3.《계몽의 변증법》의 ‘계보학’ 46 4. ‘탈근대주의’의 계보학적 사회비판 52 5. ‘계보학’을 넘어서 54 제2장 세계화의 도전과 민주주의의 장래: ‘정치적 근대성’의 사회문화적 지평 확장을 위하여 1. 세계화와 민주주의의 위기 61 2. 정치적 근대성의 종언? 67 3. 정치적 탈근대주의:하나의 탈출구인가? 76 4. 정치적 근대성의 사회문화적 지평확장을 위하여 86 제3장 민주주의와 사회비판: 하버마스의 민주주의이론적 비판사회이론/ 기획을 통해 본 민주주의의 의미 1. 민주화의 역설? 95 2. 비판이론의 반도덕주의? 100 3. 공론장과 하버마스의 민주주의이론적 사회비판 기획 109 4. 생활세계와 민주주의 114 5. 민주주의의 의미 125 제2부 시민사회와 사회문화적 민주화의 과제 제4장 사회문화적 가치지평과 민주주의: 헤겔의 시민사회론을 통해 본 ‘민주적 인륜성’의 이념과 문제 1. 한국 민주주의의 한계와 ‘시민사회’ 133 2. 시민사회:자유주의냐 공화주의냐 136 3. ‘시민사회’와 ‘부르주아 사회’ 144 4. 인륜성으로서의 시민사회 156 5. 민주적 인륜성의 이념 171 제5장 다시 제기된 문제:경제냐 문화냐 / 신자유주의의 ‘문화적 식민화의 논리’와 그람시 시민사회론의 실천적 함축 1. 경제냐 문화냐 177 2. 그람시에서 시민사회적 문화와 경제 182 3. ‘헤게모니’와 자본주의의 ‘문화적 식민화’ 192 4. 경제개혁과 문화개혁 200 제6장 시민사회의 해방적 잠재력: 하버마스의 시민사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시민사회의 힘, 우연인가? 207 2. 비판이론의 생활세계이론적 전회 212 3. 생활세계이론적 시민사회론 216 4. 생활세계의 민주적 잠재력: 의사소통 구조의 힘인가 사회문화적 투쟁의 결과인가? 227 제3부 존엄한 시민들의 공화국 제7장 사회정의와 인간의 존엄성: 마갈릿의 ‘품위 있는 사회’의 기획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평등주의를 넘어서 237 2. 품위 있는 사회 242 3. 품위 있는 사회와 정의로운 사회 250 4. 인간의 존엄성과 정의 258 제8장 사회권의 이념과 인권의 정치 1. 사회적 인권? 269 2. 인권의 보편성과 인권철학 273 3. 사회권의 도덕적 정당성 277 4. 사회권의 법적 정당성 286 5. 사회권과 인권의 정치 293 제9장 존엄한 시민들의 공화국: 민주적 연대성과 공공성의 이념 1. 한국 시민운동의 위기와 ‘공공성’의 문제 299 2. 공공성 개념의 공동체주의적 전제에 대한 몇 가지 단서 306 3. 민주공화국의 이념:두 개의 대안적 민주주의 모델 310 4. 민주적 연대성의 이념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