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단행본

단행본

단행본통일 인문학 연구총서 012

코리언의 생활문화 낯섬과 익숙함

발행사항
서울:,선인,,2014
형태사항
268p. ; 23cm
ISBN
9788959337149
청구기호
331.5 건17ㅋ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5077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5077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민족공통성 두 번째 시리즈 제1권인 <코리언의 생활문화, 낯섦과 익숙함>은 지역별 비교분석과 더불어 심층인터뷰를 보강함으로써 한국인과 탈북자, 재중 조선족, 재러 고려인, 재일조선인 생활문화의 차이와 공통성을 해명하고 있습니다. 제1장에서는 코리언 생활문화를 바라보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곧 코리언 생활문화가 이산, 분단 등으로 필연적으로 변용될 수밖에 없는 현실을 가벼이 여긴 채 특정한 생활문화의 전형을 설정하고 이 전형을 기준으로 코리언의 범주를 정하는 배제 패러다임에서 벗어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제2장과 제3장에서는 코리언의 언어, 의식주를 비교하는 가운데 코리언 생활문화 통합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습니다. 제2장에서는 코리언의 민족어 사용 실태와 현실을 분석하는 가운데 코리언의 민족어 통합을 위해서는 민족어를 단일한 하나의 언어로 만든다는 “민족어 통일”이라는 관점을 지양하고, 한국(조선)어의 다양한 풍미를 살려온 민족어의 풍부함과 다양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다양성과 상호공존, 상호학습을 전제로 하는 “민족어 통합”이라는 관점으로 우리의 인식을 전환할 것을 역설하였습니다. 제3장에서는 미술전시 기획에서 사용되고 있는 ‘네크라스’ 개념을 차용하여 코리언의 의식주에 대한 문화적 분석을 시도하였습니다. 목걸이의 장식물 하나하나가 독립적이면서도 연결되어 있듯이 코리언의 생활문화는 일정 정도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도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의 고리가 문화적 속성이라는 것입니다.

한편 제4장, 제5장, 제6장에서는 한국인과 재일조선인, 한국인과 재중 조선족, 남북한 주민의 통과의례, 가족생활문화, 교육문화의 구체적인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습니다. 그 결과 제4장에서는 일본문화와의 접촉으로 인해 재일조선인의 통과의례에 혼성성과 변용성이 나타나지만, 그 변용이 전통과 멀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통과의 교집합이 계속 확대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밝혔습니다. 제5장에서는 한국인과 재중 조선족이 가족을 강조하는 유교문화를 공유하고 있고 부계가족의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부계가족의 특징은 사회경제적 조건과 현대적 생활방식에 따라 점차 변용되어가고 있음을 규명하였습니다. 그리고 제6장에서는 공적 혹은 사적자본 투입과 같은 제도적 차이로 인해 남북한 교육의 공공성과 개방성에서는 차이를 보였지만, 남북한 주민들 모두 보다 나은 사회계급 획득을 위한 방편으로 교육을 인식하는 도구성에서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음을 해명하였습니다. (발간사 中)
목차

제1장 코리언 생활문화 비교연구
1. 머리말
2. 코리언 생활문화 비교연구는 왜 필요한가?
3. 코리언 생활문화 비교연구를 어떻게 할 것인가?
4. 맺음말

제2장 코리언의 민족어 현실과 통합의 미래

1. 머리말
2. 코리언의 일상생활과 민족어
3. 민족어 통합의 의미와 실천과제
4. 맺음말

제3장 코리언 생활문화와 의식주

1. 머리말
2. 코리언의 생활문화와 문화 네크라스(Necklace)
3. 코리언의 의생활문화
4. 코리언의 식생활문화
5. 코리언의 주생활문화
6. 맺음말: 문화의 새로운 창조 가능성과 전망

제4장 한국인과 재일조선인의 통과의례 비교연구

1. 머리말: ‘의례’라는 소통의 창구 지점에서
2. 돌: 외형적 변용 용인과 내적 의미 유지
3. 결혼: 형식의 혼성화와 ‘흥’의 극대화
4. 장례: 한국식과 일본식의 중층적 형태
5. 맺음말: 다양성의 인정과 문화접점의 확대

제5장 한국인과 재중 조선족의 가족생활문화

1. 머리말
2. 결혼관: 국제결혼과 족외혼에 대한 인식
3. 자식의 성별에 대한 선호도
4. 부모부양에 대한 인식
5. 맺음말

제6장 남북한 교육문화 비교연구

1. 머리말
2. 교육책임의 주체에 대한 인식
3. 교육과 사회진출의 상관관계
4.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