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로그인

통일연구원 전자도서관

소장자료검색

  1. 메인
  2. 소장자료검색
  3. 단행본

단행본

단행본

글로벌 전망 2030: 러시아의 전략적 시각

대등서명
Стратегический глобальный прогноз 2030 : краткий вариант
발행사항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2012
형태사항
484 p. : 도표 ; 23 cm
ISBN
9788974647070
청구기호
331.544 딘829ㄱ
일반주기
원저자명: под редакцией А.А. Дынкина
소장정보
위치등록번호청구기호 / 출력상태반납예정일
이용 가능 (1)
1자료실00015116대출가능-
이용 가능 (1)
  • 등록번호
    00015116
    상태/반납예정일
    대출가능
    -
    위치/청구기호(출력)
    1자료실
책 소개
한국어판 서문

장기 예측을 하자면 글로벌 트렌드에 대한 체계적 분석이 필요하고, 그 결과 구체적인 평가와 정책 제안이 가능해진다. 러시아가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고, 글로벌 트렌드 및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국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 같은 방법이 합리적일 것이다.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산하 세계경제 및 국제관계연구소(IMEMO) 소속 학자들이 그동안 축적해온 경험과 독창적 예측 방법에 의거하여 우리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장기 트렌드의 질적 특징들을 밝힐 수 있게 되었다.

이와 유사한 포괄적 장기 예측은 UN과 기타 국제기구, 그리고 미국, EU, 중국 등에서 특히 주목 받고 있다. 널리 알려진 이런 범주의 연구로는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 아틀란틱 카운슬(Atlantic Council) 등이 내놓은 2010년부터 2025년 사이의 글로벌 트렌드 전망을 들 수 있다.

20여 년의 과도기(1992-2010년)를 겪은 오늘의 러시아는 세계 주요 국가들이 내놓는 미래 예측을 그대로 참고의 틀로 사용하기 어려운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는 러시아의 정치 및 전문가 엘리트들이 그 사이 경험한 성숙한 변화에서 기인한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2008-2009년에 발생한 글로벌 경제위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히 이 두 번째 요인은 글로벌 차원의 행위자들에게 경제, 재정, 안보, 기술, 그리고 기후 변화 등의 영역에서 “새로운 규범” 탐색의 필요성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바야흐로 러시아는 정치, 군사, 경제, 사회 영역에서 세계적 상황변화에 적절히 참여하고 적응해야하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세계화의 큰 흐름을 거스르면서 한 국가의 성공적 변화가 불가능한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이번에 발간하는 『글로벌 전망 2030 -러시아의 전략적 시각-』은 IMEMO 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장기 전망 프로젝트의 연장선상에서 추진된 것이다. 금번 장기 전망이 2001년 의『새 천년의 경계에 서있는 세계』 그리고 2007년의 『세계경제 전망 2020』과의 비교에서 갖는 차별성은, 경제 전망에 대한 포괄적 비전 제시와 함께 국제사회의 트렌드에 대한 이념적, 사회적, 국제정치적, 안보적 차원에서의 평가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학제 간 연구의 산물인 『글로벌 전망 2030 -러시아의 전략적 시각-』은 다양한 글로벌 이슈, 지역, 그리고 개별 국가를 꾸준히 연구해온 대규모 전문가 그룹이 마련한 미래 비전에 기초하고 있다. 그리고 통계 자료로는, GDP 예측, 노동생산성, R&D 투자, IMEMO 자체의 독창적 방법으로 산출된 지표 등이 활용되었다.

상이한 성격의 변화들(이를테면, 경제, 재정, 인구변화, 사회적 트렌드, 과학 발전과 기술변화, 이데올로기의 역할, 사회 심리적 경향과 문화 과정 등) 사이의 긴밀한 연관 관계들에 대한 진지한 탐구한 결과, 우리는 향후 20년 동안 전개될 글로벌 차원의 질적 변화에 대한 조망을 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접근 방법은 세계 경제와 글로벌 정치 질서의 지속적, 혹은 변화 가능한 트렌드는 물론 국제 체제의 여러 주체, 구조, 제도, 그리고 주요행위자들에 대한 집중적 연구를 가능하게 한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의 으뜸가는 과제는, 우리가 발견한 글로벌 경제 및 정치의 주요 트렌드들이 러시아와 세계에 어떤 위기와 도전들을 제기하고 있는지 밝히는 일이다.

『글로벌 전망 2030 -러시아의 전략적 시각-』이 한국어 번역판이 출간된다니 참으로 반가운 일이다. 이 책을 통해 러시아 연구자들의 시작에서 본 세계의 미래, 한국의 미래 전망이 한국 국민과 학계 인사들 사이에 널리 소개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책의 발간이 러시아와 한국 양국 사이의 협력 관계에도 적잖게 기여할 것으로 믿는다.

알렉산드르 딘킨
IMEMO 소장
목차

한국어판 서문/ 3
서론/ 17

제1부 이데올로기와 글로벌 거버넌스/ 39

제1장 이데올로기적 과정/ 41
1.1. 이데올로기적 근거
1.2. 세계의 주요 이데올로기
1.3. 지배 이데올로기 간의 관계
1.4.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과정
1.5. 종교의 균형
1.6. 기존 이데올로기 체계의 진화
1.7. 새로운 이데올로기의 형성
1.8. 대안적 세계화 모델의 이데올로기
1.9. 이데올로기와 국제관계
1.10. 국제체계에서의 문화 간 상호작용
1.11. 글로벌 거버넌스 이데올로기

제2장 글로벌 거버넌스/ 79
2.1. 글로벌 거버넌스의 개념과 조건
2.2. 글로벌 거버넌스의 행위주체
2.3. 글로벌 거버넌스의 대상과 분야
2.4. 글로벌 거버넌스의 제도 및 기구
글로벌 거버넌스와 중국
제도적 변화
주요 행위자들 간의 대립
UN 개혁에 대한 전망
글로벌 시민 사회
2.5. 글로벌 거버넌스의 내용: 목적과 과제
2.6. 글로벌 거버넌스의 형태와 방법의 진화
2.7. 글로벌 거버넌스의 발전 전망
국제 관료제의 진화
글로벌 거버넌스 구상의 중심지
정보기술의 역할
글로벌 거버넌스의 동향

제2부 세계 경제/ 109

제3장 세계 경제의 역학구도/ 111
3.1. 글로벌 위기의 여파
3.2. GDP 성장 전망
3.3. GDP 구조
3.4. 자본축적
3.5. 인구변동과 노동자원
3.6. 노동생산성

제4장 장기적 발전 요소/ 126
4.1. 세계화
세계 무역
다국적기업
외국인직접투자(FDI)
세계 엘리트 기업의 지형도 변화
FDI 산업 분야별 구조
‘직접투자’의 개념 변화
경영의 진화
금융시장의 발전
FDI 외 상품의 발전
금융 시스템의 성숙도 제고
4.2. 혁신
GDP의 기술집약도
기술적 우선과제
기술집약적 사업
R&D를 비롯한 기업 혁신기능의 국제화

제5장 주요 산업 부문 및 분야/ 147
5.1. 서비스 부문
주요 동향
‘지적’ 서비스
정보통신기술
5.2. 공업
분야
일반 동향
상품시장 발전 동향
글로벌 경쟁과 효율성
5.3. 에너지
일반 동향
석탄
석유
천연가스
원자력에너지
재생에너지
5.4. 농업

제6장 전략적 규제 방향/ 170
6.1. 국제무역
6.2. 세계금융
6.3. 환경
개발의 생태화
기후의 변동
기후 보존을 위한 개별국의 방안

제3부 글로벌 사회문제/ 183

제7장 전반적 사회발전 동향/ 185
7.1. 정치 시스템 및 권력기관, 시민사회
국내정세전망
정보기술과 정치적 진화
7.2. 기업의 사회적 책임: 자선사업에서 시민기업으로
7.3. 근로관계 및 조율시스템

제8장 세계 인구동향/ 207
8.1. 전체동향
8.2. 선진국 인구전망
8.3. 이주문제

제9장 교육 및 보건, 빈곤문제/ 217
9.1. 세계 교육제도
전체동향
교육 내용 및 방법론 개선
평생교육 확대
글로벌 교육 공간의 형성 및 국가 간 교육제도의 표준화
노동력의 이동성 증대
9.2. 세계 보건제도
9.3. 세계 빈곤문제

제4부 국제관계 시스템 및 안보리스크/ 229

제10장 국제정치 발전 동향/ 231
10.1. 국제정치 시스템의 질적 변화
전환기의 종료
세계화의 효과
국제관계의 주요 행위자
국제관계 시스템의 잠재적 분열요소
10.2. 국제정치 시스템의 구성
새로운 시스템 구축
다극체제
통합, 지역화, 국제레짐
국제 리더십
10.3. 국제정치 행동의 결정 요인
경제
안보와 힘의 요소
군비통제
내정 상황 및 대외관계
협력의 중요성

제11장 분쟁과 극단적 시나리오/ 260
11.1. 국제분쟁의 전개과정
핵보유강국
기타 핵보유국
인도-파키스탄
인도-중국
11.2. 국제분쟁
이란
중앙아시아
기타 지역
11.3. 복합유형의 분쟁

제12장 안보위협/ 272
12.1. 군사력 역할
핵무기
미사일방어체제(MD)
정밀무기
항공우주분야 정보 및 군사장비
무기거래
12.2. 위험기술 및 원료 확산
핵확산
북한
이란
핵 테러
미사일기술
기타 대량살상무기(WMD) 및 군사기술
화학무기
생물무기
방사능무기
12.3. 국제테러
12.4. 새로운 안보위협
기후
자원전쟁

제5부 세계발전의 중심 및 기타 지역/ 289

제13장 미국/ 291
13.1. 발전속도 및 특징
13.2. 경제구조의 변화
13.3. 인구증가와 인간 잠재능력 향상
교육의 역할
보건
13.4. 순환적?파생 문제
13.5. 사회?경제제도의 기능 변화
기업부문
영리 및 비영리 경제 분야의 결합
13.6. 세계경제관계
13.7. 국내 정치발전의 주요 경향
13.8. 대외정치의 주요 방향
대외정치에서 다국적기업, 영리 및 비영리단체
미국과 NATO

제14장 유럽연합(EU)/ 324
14.1. 사회?경제 발전
14.2. EU 국가 및 지역 간 격차 해소
14.3. 제도적 구조의 진화
14.4. 주요 외교정책의 벡터
14.5. EU 주요 국가 및 지역의 발전 특성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북유럽
중동부 유럽

제15장 아시아 태평양 지역/ 370
다국적기업과 지역통합
15.1. 중국
경제 현대화
국내정치 안정
대외정치 노선
15.2. 일본
경제동향
혁신시스템 재편
대외경제 부문
국내정치 변화의 분기점
15.3. 한반도: 변화와 통일의 시나리오
통일의 단계
경제성장 둔화 ? 통일의 부담
중국˙일본과의 ‘3각체제’ 구축

제16장 동남아시아와 호주/ 399
16.1.아세안(ASEAN)
ASEAN과 국제노동분업
인구
지역통합
주요 국내정치 경향
ASEAN에 대한 위협
ASEAN과 러시아
16.2. 호주
세계 경제의 원료기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
인구와 이민
경제 전략
에너지
대외경제부문
지역통합 참여
정치발전

제17장 인도와 남아시아/ 410
17.1.인도
경제동력
인구변화
현대화와 사회의 질적 발전 문제
정당정치 구조의 진화
사회정치 경향과 위협요소
17.2.파키스탄
주요 사회경제적 지향점
파키스탄의 당면 과제
17.3.남아시아 기타 국가들

제18장 중동과 아프리카/ 416
18.1.중동
경제동력
인구와 이민 동향
정치전망
이슬람 요소
지역통합
미래의 도전과 위협요소
18.2.북아프리카
경제동력
인구와 이민 동향
지역통합
미래의 도전과 위협요소
18.3.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경제동력
인구와 이민 동향
사회정치 전망
빈곤문제
대외경제관계와 대외요소
지역통합
미래의 도전과 위협요소

제19장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 431
19.1.지역 동향
경제동력
인구 및 노동시장
구조적 변화
혁신
정치 체제
역내지역 간 분쟁 가능성
대외관계
대외정책의 지향점
대외 경제 분야
19.2 브라질
경제 동향
사회 및 국내 정치 상황
대외경제 관계
세계강국의 위상
19.3 멕시코
경제 동향
사회 국내 정치 상황
대외 경제 분야
국제 사회에서의 입지

결론/ 445
러시아에 주는 시사점: 위기와 기회/ 447

통계지표/ 456
통계지표 해제/ 456

집필진 및 한국어판 번역진/ 476

역자후기/ 481